• 제목/요약/키워드: 직원 이직

검색결과 82건 처리시간 0.027초

계선조직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이 직원의 직업존중감 및 조직행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ine Office Manager's Leadership Styles on the Employee's Job Esteem and Organization Behavior)

  • 김운신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5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1호
    • /
    • pp.93-96
    • /
    • 2017
  • 본 연구는 의료서비스를 생산 제공하는 병원조직의 계선조직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이 부하직원들의 직업존중감과 조직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할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은 헤이컨설팅 그룹에서 제시한 6가지 리더십 스타일인 지시명령형, 비전제시형, 관계중시형, 집단운영형, 규범형, 육성형 리더십스타일을 사용하고자 한다. 각 리더십 스타일이 직원들의 직업존중감, 즉 부서 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수준, 직무몰입, 직무만족, 자기비전 자각 및 이직의사 등 조직행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과 직업존중감에 따른 조직행동, 즉 직무만족, 조직충성도, 자기계발의지, 이직의도 등에 대해서도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표본으로는 사립대학교병원 1개, 국립대학교병원 1개, 500병상 이상 규모의 종합병원 1개이며, 조사 및 분석에 활용할 개선조직은 진료행정부서인 원무과(부), 진료지원부서인 의무기록실(팀), 의료기사, 간호과(부)이다.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직원들이 가장 선호하는 관리자의 리더십 스타일을 도출함과 동시에 각 리더십스타일의 장단점을 통하여 직원들의 직업존중감 확대와 생산적인 조직행동이 조직성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사내교육의 재직기간에 대한 영향 연구

  • 장문경;김주호;유병준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벤처창업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32-234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사내교육이 직원들의 재직기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로, 실제 사설경비업체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생존분석방법으로 퇴직 확률을 추정함으로써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해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사내교육에 참여한 직원들이 그렇지 않은 직원들에 비해 퇴직할 확률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교육의 종류(직무교육과 마인드교육)에 따라 재직기간에 상이한 영향을 끼치며, 이를 바탕으로 회사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절한 사내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직원을 교육시킴으로써 우수 인재의 경쟁사로의 이직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핵심자기평가(CSE)와 일-가족 지원,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Core-Self Evaluation, Work-Family Facilitation,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 최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19-237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외식업계의 비정규직 직원을 대상으로 핵심자기평가, 일-가족 지원,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직원의 이직을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추후 이와 관련된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AMOS 4.0과 SPSS 1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상관관계 분석(correlation analysis) 그리고 공분산 구조분석(covariance structure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일-가족 방향 지원과 가족-일 방향 지원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가족 지원과 직장만족의 관계에 있어서는 가족-일 방향 지원만이 직장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직장만족은 직원의 이직을 줄이는 것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규명되었다.

  • PDF

호텔직원의 핵심자기평가, 지각된 고객언어폭력 및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rontline Hotel Employees' Core Self-evaluations, Perceived Customer Verbal Aggression and Turnover Intention)

  • 김태구;이계희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100-117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일선 호텔직원들의 개인자원으로서 핵심자기평가(자아존중감, 일반화된 자아효능감, 통제위치 및 정서적 안정성),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서 고객언어폭력(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결과로서 이직의도 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는 것이었다. 자료는 부산시내에 소재하는 10개의 특급호텔에 근무하는 일선직원들을 표본으로 하여 자기기입식 조사법에 의하여 수집되었다. 총 405부의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모형과 연구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적용하였다. 가설화된 것처럼, 분석결과는 핵심자기평가가 고객언어폭력에 대한 지각과 이직의도를 경감시키는 것을 보여주었다. 고객언어폭력은 이직의도를 증폭시킨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으며, 본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고 향후 연구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HR 데이터 기반의 퇴사 예측 모델 개발 (Development of a Resignation Prediction Model using HR Data)

  • 박연정;이도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21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0-103
    • /
    • 2021
  •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우수한 인적 자원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직원들이 이직 및 퇴사하는 이유를 연구한다. 이에 기업은 직원이 퇴사하기 전에 면담을 하거나 설문조사를 통해서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다. 하지만 설문조사에서는 직원들이 직장 생활을 하는 데에 불리할 수도 있는 의견을 드러내려고 하지 않아 정확한 결과를 얻기 힘든 것이 현실이다. 한편, 한국노동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기업이 요구하는 최소 학력 수준과 직원의 학력 수준 간의 차이가 클수록 이직 경향이 커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의 자료에 착안하여, 직원이 가지고 있는 객관적 데이터인 전공, 교육수준, 재직 중인 회사 유형 등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직원의 퇴사 여부를 예측하고자 한다. 퇴사 예측 모델을 생성하기 Decision Tree, XGBoost, kNN, SVM을 활용하였으며 각각의 성능을 비교했다. 이 결과, 지금까지 설문조사로 진행되었던 연구에서 파악하지 못한 다양한 요인을 알아낼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기업이 퇴사 예측 모델을 이용하여 직원이 퇴사하기 전에 미리 이를 인지하고 방지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종사원의 이직원인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Turnover Reason of Family Restaurant Cook Part Employee)

  • 유양자;윤지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22
    • /
    • 2001
  • 서울시내에 소재하고 있는 패밀리레스토랑 중 7개 업체 12개 점포의 조리 부서에 근무하는 147명을 대상으로 성별, 연령, 학력, 직위, 재직기간에 의한 이직 원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직원은 남성이 60명, 여성 87명으로 구성되어 있고, 20-29세가 차지하는 비율이 95.2%로 가장 많았다. 학력은 2년제 대졸 여성의 비율은 50.3%로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직원의 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위는 매니저 4.1%, 캡틴 13.6%, 직원 82.3%로 나타났으며, 재직기간은 2년 이하가 84.4%로 나타났다. 2. 성별에 따른 이직의 원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여성(3.06)이 남성(3.00)에 비해 이직요인에 대한 전체 평균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연령에 따른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종사자들의 이직 원인 차이는 전체적으로 50세 이상의 연령층(3.039)에서 이직에 대해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으며, 그 중 근무지 요인(4.000)과 경영불신 요인(4.000)이 가장 영향력 있는 변수로 나타났다. 4. 학력에 따른 이직의 원인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국내 석사 이상의 학력을 가진 종사자가 대부분의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요인으로는 근무 체계 요인(0.001), 타진로 모색요인(0.005), 개인적 문제 요인(0.034), 거주지 요인(0.014)로 모두 F값이 3.04보다 크게 나왔다. 5. 직위에 따른 이직 원인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근무체계 요인 캡틴급(3.63), 내부적 문제 요인매니저급(3.21), 조직내 인간관계 요인 캡틴급(3.45), 타진로 모색 요인 매니저급(3.17), 개인적 문제 요인 매니저급(3.22), 거주지 문제 요인 캡틴급(2.88), 경영불신 요인 캡틴급(3.20), 근무환경 요인 캡틴급(3.0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재직기간에 따른 이직 원인 요인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5년 이상 근무집단이 가정 높게 나타났다. 7. 기타 이직에 관한 견해의 차이를 성별로 분석한 결과, 이직 현상이 현재와 같이 지속될 것이라고 예상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대부분(85.0%)이 그럴 것이라고 응답했고, 이직이 소멸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도 소멸되지 않을 것이라고 대답한 응답자가 85.0%였다. 현재 재직 중인 직장이 어떻게 되길 바라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대부분(91.2%) 잘되기를 바란다고 응답했다. 8. 전체적으로 각 이직 원인 요인 중에 가장 높은 평균값이 나타난 요인은 근무체계 요인(3.45)이였고, 조직내 인간관계 요인(3.18), 타진로 모색 요인(3.11), 경영불신 요인(3.04) 순서였다. 나머지 요인들은 3점(보통이다) 이하로 이직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패밀리레스토랑 조리 부서 종사원은 높은 이직 성향이 보여 전문 인력 부족 현상을 겪고 있는 외식업계에서 이직이라는 문제가 여전히 해결해야할 중대한 과제로 남아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남성에 비해 높은 여성의 이직 성향은 근무 여건에 있어 성 차별적 요소의 잔재에 대해 간과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신의 직업에 대해 안정기로 접어들어야 할 50세 이상의 연령층에서 가장 높은 이직 성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나, 5년 이상 근속한 종사자의 높은 이직 성향, 그리고, 매니저급에서의 높은 이직 성향은 국내 외식업계가 평생 직장으로서의 위치까지 오르지 못하고 있음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 PDF

융복합 감성지능(EI)과 일-가정 갈등(WFC)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Convergence and Work-Family Confli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나병대;김중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8호
    • /
    • pp.207-220
    • /
    • 2015
  • 본 연구는 광고 산업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성지능(EI)과 일-가정 갈등(WFC)이 직무성과와 이직의도 등 조직효과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감성지능은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감성 활용의 수준이 높은 직원일수록 직무성과가 높았으며, 감성조절 능력이 높은 직원일수록 이직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가정 갈등은 조직 효과성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일로 인한 가정 갈등은 이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는 다른 산업에 비해 이직률이 높은 광고 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조직의 성과와 인적자원 관리를 위해 감성지능을 높이고 일과 가정의 갈등을 줄일 수 있는 조직문화 형성 및 적절한 제도의 확립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호텔 접객 직원의 핵심자기평가, 서비스 회복 행동, 직장만족,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e-Self Evaluation, Service Recovery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Hotel Frontline Staff)

  • 최현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18-133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호텔의 접객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핵심자기평가, 서비스 회복 행동, 직장만족 그리고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서비스 회복 행동을 보다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하고, 직장만족을 높이며, 이직의도를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호텔의 인사관리에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SPSS(10.0)와 AMOS(4.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공분산 구조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핵심자기평가는 서비스 회복 행동에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서비스 회복 행동은 직장만족을 높이는 것에 효과적인 요인이라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직의도와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장만족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병원 구성원의 조직 유효성 연구 :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를 중심으로 (Organization Effectiveness Studies of General Hospital Employees : Focusing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 임경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6호
    • /
    • pp.261-271
    • /
    • 2017
  • 본 연구는 병원 구성원의 직무 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 의사의 요인을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행정 직원, 의료 기사, 간호사 등 355 명을 인터뷰 조사 및 t- 테스트, ANOVA 및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행정 직원은 직무 만족은 낮고, 조직 몰입도가 높으며, 부정적 심성으로 이직 의도는 높게 나타났다. 의료 기사는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 수준은 낮지만 외부 취업 기회와 과도한 직무 량으로 이직의도가 있었다. 간호사는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 수준은 높지만 외부 취업 기회로 인해 높은 이직의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시책을 시범 사업 중인 중소병원의 부족 인력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고, 효율적인 병원 운영을 위한 시기적절 하고 실질적인 대처방안이 제시 될 것으로 기대 된다.

노인요양시설 직원의 직무만족 관련요인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시설특성을 중심으로- (The related factors of job satisfaction in care facilities for the aged)

  • 김효신;이인숙
    • 벤처창업연구
    • /
    • 제8권1호
    • /
    • pp.79-87
    • /
    • 2013
  • 노인요양시설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며 시설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직무만족은 시설운영의 효율성을 좌우하는 요인이 된다. 직원들의 직무만족이 저하되면 사기저하, 이직, 소진, 과다한 스트레스 등이 유발되어 서비스 저하와 시설운영의 비효율성을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직원의 직무만족 관련요인을 찾아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노인요양시설의 인적관리에 도움이 되는 변수를 제시하고 노인요양시설의 운영 효율화에 기여하고자 한다. 조사대상은 29개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직원들로서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152명이었다. 본 연구결과, 노인요양시설 직원의 직무만족 관련요인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서는 현재 시설에서의 근무년수이었고, 시설특성에서는 직원회의 결과의 반영정도였다. 즉, 현재 시설에서의 근무년수가 장기적일수록 직원의 직무만족이 높았고, 직원회의 시 직원들의 의견이 반영되는 정도가 높을수록 직원의 직무만족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노인요양시설 직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직원이 시설에 장기간 근무하도록 배려하는 것과 직원회의를 개최하여 직원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