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업설명

Search Result 26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A study the effect of sex on choice of occupation and work location and on earnings : Comparison of on-site workers with home-based workers in the U.S. (성별(性別)이 직업과 시장노동 장소의 선택 및 소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미국의 직장근무자와 재택근무자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효정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 /
    • v.36 no.7
    • /
    • pp.123-141
    • /
    • 1998
  • 본 연구는 미국의 직장근무자와 재택근무자의 비교를 통해, 남성과 여성의 소득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설명하는 요소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1) 성별은 직업과 시장노동의 장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요소이다. (2) 직업 및 시장노동의 장소가 결정된 후에도 성별은 시간당 소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다. 연구자료로는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1990 [United States]: Public Use Microdata Sample: 1/10,000 Sample이 이용되었으며, 16세 이상, 65세 이하의 응답자로 일주일에 적어도 한 시간 이상 일하는 근로자를 중심으로 하여 7,272명이 연구 대상으로 고려되었다. 직업 및 시장노동의 장소에 대한 선택에서 성별의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판별분석이 행해졌으며, 분석 결과 교육수준, 연령, 인종, 남녀의 수, 주택구조와 함께 성별이 유의한 요소임이 밝혀졌다. 직업과 시장노동의 장소가 결정된 후 성별이 시간당 소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전체표본과 6개의 직업범주에 따라 회귀분석이 실시되었다. 전체표본을 대상으로 한 회귀분석의 결과, 시간당 소득을 예측하는데 있어서 성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6개의 직업범주에 따라 시간당 소득을 추정한 결과, 성별은 모든 직업범주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재택근무자가 되는 것은 시간당 소득을 규정하는데 있어서 유의한 변수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특정 직업 내에서 시장노동의 장소보다는 성별이 재택근무자에 있어서 소득의 차이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요소임을 암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는 직업 및 시장노동의 장소에 대한 결정이나 소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변수들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갖고 있지 않고, 또한 재택근무자의 표본수가 너무 적었기 때문에 일부 변수들은 직업의 선택이나 소득을 예측하기 위한 요소들로 포함될 수 없었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이를 보완해야 할 것이며, 최근 들어 우리 나라에서도 재택근무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나 아직 개념정의나 그 중요성과 가치, 그리고 실태 파악과 같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행해져야 할 것이다.

  • PDF

산업보건역학 연구사례 - 직업병 연구에서의 원인.결과 규명의 문제

  • Lee, Won-Cheol;Park, Jeong-Il;Maeng, Gwang-Ho
    • 월간산업보건
    • /
    • s.58
    • /
    • pp.22-29
    • /
    • 1993
  • 직업과 질병, 이 문제는 산업의학의 출발점인 동시에 가장 중요한 내용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 한 예로 직업성 일을 살펴 본다면 1775년 Percuval Pott이 굴뚝청소부 소년들에게서 음낭암(scrotal cancer)이 과다하게 발생하는 것을 보고한 이래 많은 암종과 이에 관련된 폭로물질들의 관련성이 밝혀져 왔다. 이러한 문제들은 주로 일정한 암이 과다하게 발생함(epidemic; excessive prevalence)으로서 제기되기 시작하며, 원인-결과의 관련성을 밝혀내는 유용한 도구들 중의 하나인 역학적 방법은 그 해답을 찾는데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떠한 이론들을 근거로 하여 A가 B의 원인이라던가, A와 B는 관련이 없었던가 하는 겨론에 도달하게 되는가? 본란은 지금까지 그 관련성이 밝혀진 직업과 질병들을 소재로 하여 이들이 역학적으로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원인-결과의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는지를(또는 의심이 가기는 하나 왜 아직도 확실한 결론에 도달하지 못하였는지를) 설명하고자 한다. 본란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하여는 기본적인 역학지식이 요구되기는 하나, 필요한 부분마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설명을 첨가하였다. 다행히도 현재 '산업보건'에 연재되고 있는 '직업병의 역학적 연구방법'과 '한국의 산업의학' 1993년 Vol. 31, No. 2-4에 걸쳐 연재된 '산업보건역학'에 역학의 개념과 방법론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이 서술되어 있으므로 이 분야를 처음 대하는 독자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이번호에서는 '서론'의 형식을 빌어서 원인-결과관계를 판단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조건들을 우선적으로 설명하고자 하였다. 여기에 설명한 개념들은 앞으로 계속 반복적으로 사용될 것이다.

  • PDF

A Study on Developing and Validating NCS Core Competency Tests for University Students: Focused on the Self-development Skill, Organizational Skill and Resources-management Skill (4년제 대학생의 NCS 직업기초능력 진단문항 개발 - 자기개발능력, 조직이해능력, 자원관리능력을 중심으로 -)

  • Lim, Se-yung;Park, Yoon-hee;Kim, Ji-young;Woo, Hea-jung;Lim, Min-Sub;Kim, Woo-cheol
    •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 /
    • v.37 no.2
    • /
    • pp.1-18
    • /
    • 2018
  • Recently human resources who have core competencies are regarded 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labor market. However, there are few limitation about instruments to measure university students' core competencies. Recognizing this limitation,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tests that could measure core competencies of students in universities. Among NCS core competencies, this study primarily focused on the self-development skill, organizational skill and resources management skill. This study concluded the proper definition of core competencies for university students, sub factors of 3 domains and questionnaire and validated its measurement.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과 직업가치가 창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창업자를 중심으로 -

  • Gong, Jong-Ho;Park, U-J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04a
    • /
    • pp.29-29
    • /
    • 2017
  • Holland(1997)의 직업성격유형은 네 가지 가정을 기초로 한다. 이 가정에 기초하여 직업성격유형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사람의 성격과 그 사람의 작업환경에 대한 지식은 진로선택, 직업변경, 직업성취 등에 관해서 중요한 결과를 예측할 수 있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선행연구와 이론을 바탕으로 본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성격유형을 6가지 (R IASEC )로 분류한 이론을 본 연구의 대상인 일반 창업자(대학생, 청년, 장년 등)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즉, Holland(1997)의 직업성격유형이론에 의한 현실적(Realistic)유형, 탐구적 (Invest igat ive)유형, 예술적 (Art ist ic)유형, 사회적 (Soc ia l)유형, 설득적(Enterprising)유형, 관습적(Conventional)유형의 분류를 본 연구에 적용하여 일반 창업자에게도 적용가능한지를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일반 창업자의 직업성격유형, 직업가치유형 (내적직업가치, 외적직업가치)에 따른 창업성과에 대한 변수간의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 구조 모형에서의 효과와 영향력을 분석하여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과 창업성과 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결과를 정립하고자 한다. 셋째, Holland의 직업성격유형 및 직업가치가 창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직업가치유형(내적직업가치 외적직업가치)이 창업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 PDF

A Comparison of Occupational Sex Segregation Trends in Three East Asian Countries:Korea, Japan, and Taiwan (동아시아 성별 직업분리의 변화 비교)

  • Han, Joon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3 no.1
    • /
    • pp.119-145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세 나라, 대만, 한국, 일본의 성별 직업분리의 추세를 비교하였다. 동아시아 사회의 성별 직업분리의 정도가 상식적으로 예상되는 것보다 지수상으로 낮게 나타나는 것에 대해 단일지수를 사용한 측정방법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수선형모형에 입각한 연관지수를 이용하여 직업분리에 단일 지수적 접근과 아울러 분리의 작업별 양상을 함께 비교하였다. 1960년과 1990년 사이에 동아시아 세 나라의 성별 분리지수는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세나라들 중에서 가장분리의 정도가 낮은 대만에서 감소의 폭 역시 크게 나타난다. 일본의 경우 1960년대 큰 폭의 감소가 있은 후 전반적으로 정체하는 경향을 보이며, 한국은 1960년대와 1980년대에 성별 직업분리의 감소경향이 두드러진다. 직업별 양샹을 보면 대만은 한국과 일본에 비해 행정관리직에서 여성의 비주이 계속 증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대한 설명 요인으로서 여성 인력 공급의 측면에서 여성의 직업경력의 연속성 보장과 함께 수요의 측면에서 기업조직 내의 인력 관리상의 유연성과 차별적 관행의 개선을 들 수 있다.

  • PDF

The Influence of Nursing Image, Job Value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First Year Nursing Students (간호학과 신입생의 간호사이미지, 직업가치관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Jang, Young-Mi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 /
    • v.17 no.3
    • /
    • pp.31-38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nurse image, job value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first year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7 to May 14, 2018 for 306 first year nursing studen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The average degree of nursing image at 4.12, job value score of 3.12, and nursing professionalism score of 3.98. Nursing professional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nursing image(r=.823, p<.001) and job value(r=.492, p<.001). The significant variables explaining nursing image(${\beta}=.760$, p=.000) and job value(${\beta}=.134$, p=.000) These factors explained 69% of nursing professionalism.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that consider the nursing image, job value of nursing students to help them establish an acceptable view of nursing professionalism.

Automatic Generation of Standard Classification Code (표준 통계 분류 코드 자동 생성)

  • Lim, Heui-Seok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6.05a
    • /
    • pp.388-390
    • /
    • 2006
  • 본 논문은 수동 코드 분류 규칙과 예제기반의 자동 학습을 이용하는 한국어 표준 산업/직업 코드 자동분류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산업과 직업에 대하여 설명하는 자연어를 입력받아 해당 산업/직업 분류 코드를 생성하는 시스템으로 수작업으로 구축된 규칙을 적용한 후 규칙이 적용되지 않는 레코드는 예제 기반의 학습을 이용한 자동 분류 시스템에 의해서 해당 코드를 할당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among Beauty Salon Workers (미용종사자의 직업관련 변수와 직업전문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Yoo, Eun-Ju;Juong, Suk-Hui;Shim, Sun-Nyu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7
    • /
    • pp.435-44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differences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by job-related variable and analyzed the effects of job-related variables and job professionalism on job satisfaction among a total of 144 beauty salon workers in Busan and Ulsa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ism was found by average monthly income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Second, in terms of correlations with variable, job professionalism revealed static correlation with average monthly income, employment period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while job satisfaction showed static correlation with average monthly income,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job professionalism. In employment perio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Third, regarding the influence of variables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became higher as average and job professionalism increased. In particular, job professionalism was the highest in terms of exploratory power. So a plan for allowing beauticians to improve confidence in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was presented.

Basic Study on the Inclus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Focus on Korea, Japan, and Taiwan (의료기사의 의료인 종별 포함에 관한 기초조사 연구: 한국, 일본, 대만을 중심으로)

  • Bon-Kyeong KOO;Chang Eun PARK
    • Korean Journal of Clinical Laboratory Science
    • /
    • v.56 no.1
    • /
    • pp.21-31
    • /
    • 2024
  • This study provides the underlying data on the inclusion of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category of medical personnel. Medical personnel are defined in the Medical Service Act as physicians, dentists, oriental medicine doctors, midwives, and nurses. In the act, medical technologists shall be classified into clinical laboratory technologists (clinical pathology technologists in the Korean language), radiological technologists, physical therapists, occupational therapists, dental technologists, and dental hygienists. Although South Korea's medical personnel do not include medical technologists, Japan and Taiwan define them as medical personnel. Various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such as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08,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Occupations 2017, Jap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09, Taiwan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0, and USA Standard Occupational Classification 2018 were compared. The education system for medical health technologists was explained to include 4-year university and 3-year junior college programs. The roles of medical technologists in medical practice, therapy, and medical assistance were outlined. These basic materials incorporate the need for discussions about the meaning of including medical technologists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These discussions will contribute to the legalization of medical technologists' professionality with regard to their inclusion in the type of medical personnel.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 Lee, Hyun-K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52
    • /
    • pp.33-61
    • /
    • 2003
  •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arly retirement and the subsequent career ending patterns and explain the phenomena in terms of social security policies and labor market perspectives. Although many older workers retire early, there are very few studies to examine how the retirees end their careers after quitting the long-time jobs. The paper investigates individual work experiences 55 through 61, identifies the career ending patterns, constitutes the micro and macro analytical models to estimate the impacts of labor market and work-related variables. The findings show that many older workers have diverse career ending patterns after long-time career jobs, that is, still working at age-55 job, exiting and reentering, sporadic work, retired permanently from age-55 job, a repeat of labor force entry. Also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pension, social security, labor market condition, work structure variables better explain the career ending behaviors than social psychological factors of health, education, attitudes toward retirement and job, ethnicity. Finally, this paper discusses theoretical importances of labor market perspectives and policy implications at the end of thes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