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선 검출

Search Result 601, Processing Time 0.055 seconds

Line Detection Using Log Hough Transform (Log-Hough 변환을 이용한 직선검출)

  • 정헌상;황의봉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3 no.3
    • /
    • pp.118-123
    • /
    • 1999
  • Hough transform is well employed to retect or recognize the lines in image processing or in computer vision. Curve of the logarithm of ranges against the bearing does not change its shape according to data trints. This fact suggests that calculation cost can be remarkably reduced. An effective line detection algorithm is represented.sented.

  • PDF

Three-Dimensional Direction Code Patterns for Hand Gesture Recognition (손동작인식을 위한 3차원 방향 코드 패턴)

  • Park, Jung-Hoo;Kim, You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3.07a
    • /
    • pp.21-22
    • /
    • 2013
  • 논문에서는 제스처 인식을 하기 위해 필요한 특징 값을 3차원 방향 코드로 구현한 특징 패턴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검출된 데이터 좌표끼리 직선을 만들고 직선들의 사이각의 합 연산을 이용해서 특징 변곡점을 추출한다. 추출된 변곡점끼리 직선을 생성한 후, 8방향 코드와 깊이 값을 병합시킨 24방향 코드를 맵핑 시켜준다. 맵핑된 방향 코드들을 한 패턴으로 생성한다. 생성된 패턴에서 인식에 불필요한 방향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 특정 규칙을 적용한 필터링을 적용하여 필터링된 패턴을 추출하게 된다. '배너코드를 이용한 8방향 패턴'과 비교해서 더 효과적인 패턴이 추출됨을 확인하였다.

  • PDF

Normalization Algorithm of Rotated Car Plate using Advanced Hough Transform (개선된 허프 변환을 이용한 기울어진 자동차 번호판의 정형화 기법)

  • Jung Ho-Young;Kim Ha-Young;Yoon Hee-Joo;Cha Eu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4.11a
    • /
    • pp.907-91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자동차 번호판 인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해 자동차 번호판을 정형화하는 법을 제시한다. 번호판의 테두리 직선을 찾기 위해서 Hough 변환과 Mask 를 사용한 방법을 제시하고, 그 방법을 사용하여 다수의 기울어진 번호판 영상을 정확하게 정형화할 수 있었다. Hough 변환과 Mask 를 이용한 직선 검출 방법은 두꺼운 에지 성분이나 저해상도 영상의 경우에도 효과적으로 직선을 검출해냄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Method of Vanishing Point Estimation in Natural Environment using RANSAC (RANSAC을 이용한 실외 도로 환경의 소실점 예측 방법)

  • Weon, Sun-Hee;Joo, Sung-Il;Choi, Hyung-Il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8 no.9
    • /
    • pp.53-62
    • /
    • 2013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 of automatically predicting the vanishing point for the purpose of detecting the road region from natural images. The proposed method stably detects the vanishing point in the road environment by analyzing the dominant orientation of the image and predicting the vanishing point to be at the position where the feature components of the image are concentrated.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stage, the image is partitioned into sub-blocks, an edge sample is selected randomly from within the sub-block, and RANSAC is applied for line fitting in order to analyze the dominant orientation of each sub-block. Once the dominant orientation has been detected for all blocks, we proceed to the second stage and randomly select line samples and apply RANSAC to perform the fitting of the intersection point, then measure the cost of the intersection model arising from each line and we predict the vanishing point to be located at the average point, based on the intersection point model with the highest cost. Lastly,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are performed to verify the performance in various situations and prove the efficiency of the proposed algorithm for detecting the vanishing point.

Finger Counting Algorithm in the Hand with Stuck Fingers (붙어 있는 손가락을 가진 손에서 손가락 개수 알고리즘)

  • Oh, Jeong-su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1 no.10
    • /
    • pp.1892-1897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 finger counting algorithm for a hand with stuck fingers. The proposed algorithm is based on the fact that straight line type shadows are inevitably generated between fingers. It divides the hand region into the thumb region and the four fingers region for effective shadow detection, and generates an edge image in each region. Projection curves are generated by appling a line detection and a projection technique to each edge image, and the peaks of the curves are detected as candidates for finger shadows. And then peaks due to finger shadows are extracted from them and counted. In the finger counting experiment on hand images expressing various shapes with stuck fingers, the counting success rate is from 83.3% to 100% according to the number of fingers, and 93.1% on the whole. It also shows that if hand images are generated under controlled conditions, the failure cases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A Vision-based Detection of Container hole for Container Location Measuring (컨테이너 위치 측정을 위한 비전 기반의 컨테이너 홀 검출)

  • Lee, Jung-hwa;Kim, Tae-hyung;Yoon, Hee-joo;Cha, Eui-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10a
    • /
    • pp.713-716
    • /
    • 200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vision-based detection of container hole for container location measuring. We use a method for container position using detection of diagonal container holes, because containers have holes that are linked to spreader headblocks. First, we extract images from spreader and detect straight lines to detect container in images using hough transform. Next, proposed method finds positions of cross at the right angles and set candidates of the corner that is linked to spreader headblocks. Finally, this method performs template matching to detect a right corner of container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proposed method performed well at detection of container position.

  • PDF

A Study on New RGB Space Transformation for Face Detection (새로운 RGB 영역 변환을 이용한 효과적인 얼굴 검출에 관한 연구)

  • 정원석;이형지;정재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0.09a
    • /
    • pp.453-456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색상정보를 이용한 얼굴 검출 알고리즘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여러 개의 얼굴 검출에 적용되는 이 알고리즘은 피부색의 학습 과정과 입력영상에 대한 얼굴 검출 과정으로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피부색이 본 논문에서 제안한 새로운 RGB 영역에서 직선을 이루는 특징을 이용하여 학습 data를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data를 입력영상에 적용함으로써 1차 얼굴 후보영역을 결정한다. 그런 후 1차 후보영역을 세로방향과 가로방향으로 투영시킴으로써 최종 얼굴 영역을 찾아낸다. 실험을 통해 이 알고리즘은 기존의 색상정보를 이용한 얼굴검출 방법에 비해 얼굴 개수에 상관없이 높은 검출 성공률을 보여주었다.

  • PDF

Measurement of Spinal Curvature by Using Enhanced Hough Transform on X-ray Imaging (X-ray 영상에서 개선된 허프 변환을 이용한 척추만곡도 측정)

  • Jeong, Hyang su;Kim, Kwang Bea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05a
    • /
    • pp.360-362
    • /
    • 2018
  • 본 논문에서는 X-ray 영상에서 척추 영역을 추출 및 분석하여 척추만곡도를 자동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X-ray 영상에서 어깨뼈와 골반뼈 등과 같이 필요 없는 영역을 제거한 ROI(Region of Interest)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된 ROI 영역에서 척추 에지를 검출하기 위해 가우시안-라플라시안(Laplacian of Gaussian) 필터를 적용하여 척추 에지를 검출한다. 추출된 척추 영역을 척추의 Apex를 기준으로 Above Apex와 Below Apex 영역으로 구분하고 허프 변환(Hough Transform) 기법을 적용하여 두 영역에 대한 ($r,{\theta}$) 허프 공간을 구한다. ($r,{\theta}$) 허프 공간에서 척추만곡도 측정에 필요한 수평 직선만을 검출하기 위하여 수직 직선을 나타내는 교점들의 영역을 제거하여 척추만곡도 측정에 필요한 영역을 추출한다. 제안된 척추 추출 방법을 다양한 X-ray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전문의가 척추만곡도를 효과적으로 측정하고 분석할 수 있는 척추 영역이 추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Split Image Coordinate for Automatic Vanishing Point Detection in 3D images (3차원 영상의 자동 소실점 검출을 위한 분할 영상 좌표계)

  • 이정화;김종화;서경석;최흥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07e
    • /
    • pp.1891-1894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분할 영상 좌보계 (split image coordinate: SIC)를 제안하여 3차원 영상의 주요 특징 중의 하나인 유, 무한 소실점을 그 위치의 무한성이나 카메라의 보정과 관계없이 정확하게 자동 추출하였다. 제안한 방법에서는 가우시안 구 (Gaussian sphere) 기반의 기존 방법들과는 달리 영상 공간을 누적 공간으로 활용함으로써 카메라 보정이나 영상의 사전정보가 없어도 원 영상의 정보 손실 없이 소실점을 추출할 수 있고, 영상을 무한대까지 확장한 후 분할하여 재정의 함으로써 유, 무한 소실점을 모두 추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정확한 소실점의 검출을 위하여 직선 검출 과정에서는 방향성 마스크 (mask)를 사용하였으며, 직선들의 군집화 (clustering) 과정에서는 기울기 히스토그램 방법과 수평/수직 군집화 방법을 적응적으로 적용하였다. 제안한 방법을 합성 영상 및 건축물 (man-made environment) 영상에 적용시켜 유, 무한 소실점들을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Periondontal Disease Detection in Dental Radiography by ROI segment (관심영역을 이용한 치과용 방사선 영상에서의 자연치아 주위 미세변화 검출에 관한 연구)

  • 안용학;이정헌;채옥삼
    • Journal of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Engineers of Korea SP
    • /
    • v.41 no.6
    • /
    • pp.73-80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dical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etection of periodontal disease. The proposed method is the method of an automatic image alignment and detection of minute changes, to overcome defects in the conventional subtraction radiography by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 that is necessary for getting subtraction image and ROI(Region of Interest) focused on a selection method using the structured features in target images. And the method services accuracy, consistency and objective information or data to results. In result, easily and visually we can identify minute differences in the affected parts whether they have problems or not, and using appl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