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직렬통신

Search Result 424, Processing Time 0.068 seconds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ial communication using only one pin (단일 핀을 이용한 직렬 통신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Cha, Jeong-tae;Park, Sang-bong;Heo, Jeong-hwa;Jeong, Dae-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5.10a
    • /
    • pp.372-374
    • /
    • 2015
  • 최근 가전제품, 모바일 장비, 웨어러블 컴퓨터 등의 IoT 분야에서 센서 정보를 주고 받는 직렬 통신 방식이 사용된다. 기존의 SPI와 I2C 직렬 통신 방식은 클럭과 데이터 2개의 핀을 사용하여 비교적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사용되는 사물들이 점차 작아지고, 데이터 전송 정보의 양이 적어지면서 전송 속도보다는 하드웨어의 단순화가 중요한 설계요소가 되는 응용분야가 늘어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일 핀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직렬로 송 수신하는 회로를 설계하고 FPGA로 구현하였다. 제안된 단일 핀 직렬 통신 프로토콜은 적은 양의 데이터를 저속으로 통신하는 IoT 제품에 적합하다.

A Study on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rial communication using only one pin (단일 핀을 이용한 직렬 통신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 Park, Sang-Bong;Heo, Jeong-Hwa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 no.3
    • /
    • pp.83-85
    • /
    • 2015
  • It has been increased that communicate each other things such as consumer electronics, mobile equipments and wearable computer with serial communication protocol. The conventional method of SPI and I2C high speed serial communication is widely used with 2 pin of clock and data pin. It has been more important than the speed of data transfer to simplify the hardware structure because the IoT components is reduced the hardware complexity.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protocol and implementation of serial data transfer with only one pin. The proposed protocol is suitable for the mobile products that send and receive the small amount of data with low speed and low power consumption.

Implementation of Muti-channel Serial Device of Embedded Linux System for Remote Control Monitoring System (원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다중 채널 직렬 장치 구현)

  • Park, Se-Hyun;Park, Se-Hun;Kim, E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v.9 no.1
    • /
    • pp.876-879
    • /
    • 2005
  • 원격 제어 모니터링 시스템을 위한 임베디드 리눅스 시스템의 다중 채널 직렬 장치를 설계하였다. 제안된 장치는 다중 채널 직렬 장치의 효과적인 처리를 위한 내부에 FIFO, Sate Machine, 인터럽트를 구성하고 있으며 임베디드 리눅스에서 효과적인 디바이스 프로그램을 가능하게 한다. 다중 채널의 직렬 장치의 기존의 접근 방식은 개별 직렬 장치를 일일이 접근하고 있으나 본 장치에서는 다중 채널의 직렬 장치를 한 개의 직렬 장치로 간주하여 접근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장치는 다중 채널 직렬 입출력 구동에 효율적으로 작용하며 기존의 다중 채널 직렬 장치 보다 접근 속도가 빠르다. 본 장치는 수질 측정과 같은 센서들 사이의 거리가 멀거나 센서와 모니터링 시스템의 사이의 거리가 먼 원격 제어 모니터링에 효과적이다.

  • PDF

High Speed Serial Communication SRIO Backplane Implementation for TMS320C6678 (TMS320C6678기반의 고속 직렬통신용 SRIO backplane 구현)

  • Oh, Woojin;Kim, Yangsoo;Kang, Min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6.05a
    • /
    • pp.683-684
    • /
    • 2016
  • The up-to-date high-performance DSP or FPGA employs SRIO(Serial Rapid IO) as a high-speed serial communications. SRIO is an industry standard regulated upto Ver 3.1.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backplane having a transmission rate to 15Gbps based on a TI DSP. The back plane icould be used to High-speed video transmission, and will be adopted to connecting multiple DSPs for scalable architecture. This paper will discuss the design constraints for a high-speed communication and multiple-core operation.

  • PDF

Agent System for Remote Control with Software (소프트웨어 원격 제어를 위한 에이전트시스템)

  • 임인채
    • Proceedings of the Korea Association of Information Systems Conference
    • /
    • 2002.11a
    • /
    • pp.283-288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원격 제어하기 위해 상용화된 적외선 수신부의 회로를 변경하여 컴퓨터의 직렬포트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MAX232를 이용한 수신부를 개발하고, 컴퓨터에서 리모컨의 적외선 수신이 가능한 직렬통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아울러 수신된 적외선신호를 일반 응용프로그램에서 적용이 가능한 형태로 신호를 변환한 다음 산업체 현장에서의 각종 응용소프트웨어에 적용 할 수 있도록 한다.

  • PDF

Software Remote Control System With InfraRed (적외선을 이용한 소프트웨어 원격제어 시스템)

  • 임인채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4.06a
    • /
    • pp.135-139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원격제어 하기 위해 상용화된 적외선 수신부의 회로를 변경하여 컴퓨터의 직렬포트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MAX232 ONE-CHIP 컴퓨터를 이용한 수신부를 개발하고, 컴퓨터에서 리모컨의 적외선 수신이 가능한 직렬통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아울러 수신된 적외선 신호를 일반 응용 프로그램에서 적용이 가능한 형태로 신호를 변환한 다음 각종 응용 소프트웨어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 PDF

Implementation of An Embedded Communication Translator for Remote Control (원격 제어를 위한 임베디드 통신 변환기 구현)

  • Lee Byung-Kwon;Chon Young-Suk;Jeon Joong-Nam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3D no.3 s.106
    • /
    • pp.445-454
    • /
    • 2006
  • Almost of industrial measuring instruments usually are equipped only with serial communication devices. In order to connect these instruments to internet, we implement an embedded translator. This device has the hardware components composed of one WAN port, two LAN ports, and two UARTs, and functions as a communication translator between serial and internet communication. it also provides web-based monitoring function that is absent from existing serial-to-ethernet converter. The hardware is implemented using the KS8695 network processor which s an ARM922T as processor core. We have installed the boa web server and utilized the CGI function for internet-based remote control, added the IP sharing function which allows the network with private IP addresses to access the internet, and developed a serial-to-ethernet translation program. Finally, we show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developed translator that remotely monitors the solar energy production system.

A High Performance Serial Protocol-P1355 (새로운 고성능 직렬접속 프로토콜 P1355의 표준화 동향)

  • Jun, Y.I.;Kang, S.M.;Han, W.Y.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9 no.4
    • /
    • pp.23-34
    • /
    • 1994
  • 직렬 접속 프로토콜은 두개 이상의 근거리 시스템간의 정보 교환에 사용된다. 현재까지 공식적인 기관에서 표준화되어 제정된 직렬 접속 규격들이 가지고 있는 성능은 전송 속도 측면에서 수 kbps에서 최대 10Mbps급에 한정되어 있는 관계로 수백 Mbps 혹은 수 Gbps급에 달하는 직렬 접속 프로토콜 성능을 요구하는 고성능 통신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을 위한 새로운 직렬 접속 규격이 요구되고 있다. IEEE에서 표준화 작업중인 Multi-CPU 병렬 시스템을 위한 접속 규격인 P1355 접속 규격은 경제적이며 용이한 확장성을 가지는 칩과 칩간외에 보드와 보드간 혹은 랙과 랙간의 연결이 가능한 표준 규격안이다. P1355 접속 프로토콜은 특성이 서로 다른 DS, TS, HS link 규격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은 선로 동작 속도 측면에서 각각 200Mbps, 250Mbps, 1Gbps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사용되는 데이터 심볼의 코딩 방식, 접속로 동작 초기화 및 오류 제어, 접속로의 물리적 성능 및 규격 등에서 차이를 가지고 있다. P1355는 일반적인 통신용 전송 선로에서 요구되는 물리 계층의 BER 성능보다 $10^5$에서 $10^10$배 향상된 선로 BER 특성과 이러한 하위 계층 특성을 바탕으로한 패킷 손실이 없는 간결한 상위계층 프로토콜을 특징으로 하며, 차세대 통신 수단인 ATM교환기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 접속 규격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Integrated Monitoring of Semiconductor Fabrication Equipments (반도체 제조장비의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통신 시스템 구조)

  • Min, Seung-Jung;Oh, Sam-Kw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0.10b
    • /
    • pp.1259-1262
    • /
    • 2000
  • 반도체 제조장비로 구성된 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직렬통신, 병렬통신, TCP/IP 통신 또는 별도의 개발 시스템을 사용한다. 기존의 단일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은 동일한 통신시스템을 사용하는 장비들의 그룹만을 모니터링 하는 시스템이다. 그러나 다양한 반도체 제조장비의 모니터링을 위해서는 통신 장비들의 추가 변경이 가능한 구조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기존의 단일 장비 모니터링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하여 직렬통신장비, 병렬통신장비, iQ 망 통신, TCP/IP 통신을 하는 반도체 제조장비의 통합 모니터링을 위한 통신 시스템 구조를 제시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