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 인식

Search Result 337,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Characterization of Non-structural Flood Mitigation Measures (비구조적 홍수저감대책 고찰)

  • Song, Jae-Ha;Jang, Ho-Yoon;Ch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29-429
    • /
    • 2011
  • 우리나라는 연중 강우량의 계절적 편중이 심하여 약 2/3이 6월-9월에 집중하는 기상학적 요인과, 국토의 약 70%가 산악지역으로 되어있는 지형학적 요인 등 홍수에 취약한 자연특성을 갖고 있으며, 특히 하천, 도시 저지대, 해안 및 산지에서는 홍수범람, 내부배제 불량, 해일, 산사태 등으로 매년 많은 인명피해와 재산상의 손실이 크게 발생하고 있다. 또한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이상기후 현상과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한 불투수면적의 증가 등으로 인해서 극한 홍수의 발생빈도가 높아가고 있으나, 기존 수방시설물의 홍수배제능력 부족 등으로 매년 많은 피해를 입고 있는 실정으로, 구조적인 대책만으로는 재해피해를 경감시키는데 한계가 있음을 인식하여 구조적 대책과 더불어 토지이용규제 및 개발규제, 홍수터관리, 홍수예경보 등 비구조적 재해대 비능력 향상이 시급한 현황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구조적 수방기술의 발전은 비교적 높은 수준에 도달해 있지만, 구조적 대책에 비해 비구조적 대책의 개발 및 적용은 미흡한 형편이므로, 비구조적 홍수대책의 종합적 정비 및 효율적 운영방법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홍수유형별 발생원인별 대표적인 비구조적 홍수대책을 국내외 적용사례를 조사하여 분석하고, 비구조적인 홍수방어대책들에 대한 장단점 및 적용성 등의 정성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국내 여건에 적합한 홍수위험구역 설정방안을 제시하고자, 국내의 다양한 하천공간 확보를 위한 관련규정인 하천구역, 홍수관리구역, 수변구역, 상수원보호구역, 친수구역, 홍수위험구역, 자연재해위험지구, 방재지구 등에 대하여 조사하였으며, 국외 사례로 영국의 홍수위험구역 평가제도, 미국의 홍수터 관리 프로그램, 호주의 하천공간 분류 기준, 일본의 하천공간 설정 기준 등에 대한 고찰을 수행하였다. 또한 국내 홍수보험 제도의 문제점 분석 및 제고방안을 제시하고자, 현재 소방방재청 주관으로 시행되고 있는 풍수해보험제도에 대한 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미국에서 시행되고 있는 국가홍수보험프로그램, 프랑스의 자연재해보험, 스위스의 자연재해보험풀 제도, 일본의 홍수보험제도에 대하여 심층적인 고찰을 수행하였다.

  • PDF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ultifunctional river restoration framework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 프레임웍의 개발과 적용)

  • Kim, Ji sung;Jeon, Ho Seong;Hong, Il;Kim, Kyu Ho;Kim, Woo R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5-5
    • /
    • 2017
  • 최근의 하천복원사업은 인위적으로 축소 또는 소실된 하천공간을 지형학적으로 되돌리기 위한 방향과 강이 가진 자연의 역동성의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하천공간 확보라는 측면에서 구하천 구역을 복원하려는 시도가 이뤄지고 있고 대표적으로 청미천, 함평천, 황구지천 등에서 기존의 제방을 후퇴시키고 과거의 하천공간을 하천으로 되돌려 주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구하도 또는 폐천부지 복원사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으며, 복원된 공간규모가 크지 않아 사업의 효과를 크게 장담할 수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따라서 홍수에 안전하며 자연과 인간이 공존하는 터전으로의 공간복원, 그에 따른 하천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레저와 레크레이션이 가능한 친수공간 조성 등 하천기능의 강화와 융합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계획과 설계의 절차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유역기반의 문제점과 그 원인에 대한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해법으로 하천공간 확대의 필요성이 도출되어야 한다. 이후, 하천공간 복원 및 활용과 관련된 기본방향이 설정되며 세부 복원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 복원목적과 목표가 세워진 후, 복원대상지를 선정하고 공간 활용방안이 제시되면, 목표달성 여부 판단을 위한 효과분석이 필요하다. 만약, 기대효과를 달성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면 복원목표 재설정 및 복원대상지의 재선정이 필요할 것이다. 이와같이 하천공간 복원사업을 시행함에 있어 간결하고 단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다차원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제안된 하천공간 복원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으로 인해 영향을 미칠 수 있고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물리, 생물, 사회, 경제 등의 다양한 분야의 구조를 통합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함으로서 임시방편 수준의 파괴된 하천복원사업에 변화를 주고 프레임워크를 통해 하천공간복원에 대한 응집력 있는 접근법을 적용하도록 촉진하여 복원사업에 참여하는 사람들 간에 공통의 유대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water stability and cyanobacteria occurrence using monitoring of vertical water temperature (연직수온 모니터링을 통한 수체안정화도 산정과 남조류 발생 비교분석)

  • Joo, Yong-Eun;Chong, Sun-A;Yi, Hye-Suk;Lee, Bo-Mi;Kim, Ho-Joon;Choi, Kwang-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49-449
    • /
    • 2018
  • 최근 국내 하천과 호수에서 수온상승 및 기후변화로 인한 녹조발생이 빈번하게 나타남에 따라 녹조발생원인과 예측에 대한 중요성이 빠르게 인식되어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 구간의 연직 수온분포를 분석하고, 측정된 수온분포와 유해 남조류 세포수를 바탕으로 수체안정화도와 남조류의 발생을 비교하였다. 낙동강수계의 8개보를 선정하여 2015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주 1회, 수심 1m 간격으로 측정한 수온을 분석했으며, 유해 남조류 세포수는 환경부 조류경보제 및 수질예보제에서 측정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수온 모니터링 분석 결과 2015년과 2016년 모두 5월 이후 수온성층이 형성되었고, 8월에 비교적 강한 수온성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칠곡보와 강정고령보에서 상대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수심이 깊고 체류시간이 긴 지형적 특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형성된 수온성층은 안정된 상태로 지속되지 않고 주로 강우 시에 상 하층간의 수온구배가 줄어들어 혼합되는 전도현상이 관찰되었다. 수체안정화도 산정 결과 역시 2015년, 2016년 모두 수온성층 결과와 비슷하게 5월에 수체안정화도가 급증하다 9월 이후에 크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index별로 Schmidt stability, Bouyancy Frequency 항목에서 이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또한 5월 이후 수체안정화도가 증가하는 시기에 남조류 세포수의 현존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관찰되어 남조류의 발생과 수체안정화도의 증가는 시기적으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체안정화도와 남조류 세포수와의 상관성은 2016년이 높았으며 그중 강정고령보에서 상관계수가 Schmidt stability는 0.78, Bouyancy frequency는 0.65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2015년의 경우 9월 이후 수체안정화도와 수온이 감소하였지만 남조류 세포수는 증가하여 경향이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저수온성의 남조류가 우점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조류 발생 및 예측 등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있어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질 모니터링 및 기상인자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Migration Agent for Seamless Virtual Environment System in Grid Computing Network (그리드 컴퓨팅 네트워크에서 Seamless 가상 환경 시스템 구축을 위한 마이그레이션 에이전트 구현 및 성능 평가)

  • Won, Dong Hyun;An, Dong-Un
    • KIPS Transactions on Computer and Communication Systems
    • /
    • v.7 no.11
    • /
    • pp.269-274
    • /
    • 2018
  • MMORPG is a role-playing game that tens of thousands of people access it online at the same time. Users connect to the server through the game client and play with their own characters. If the user moves to a management area of another server beyond the area managed by the server, the user information must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o be moved. In an actual game, the user is required to synchronize the established and the transferred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migration agent server in the virtual systems. We implement a seamless virtual server using the grid method to experiment with seamless server architecture for virtual systems. We propose a method to minimize the delay and equalize the load when the user moves to another server region in the virtual environment. Migration Agent acts as a cache server to reduce response time, the response time was reduced by 50% in the case of 70,000 people.

Autonomous Drone Navigation in the hallway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 (실내 복도환경에서의 컨벌루션 신경망을 이용한 드론의 자율주행 연구)

  • Jo, Jeong Won;Lee, Min Hye;Nam, Kwang Woo;Lee, Chang Woo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3 no.8
    • /
    • pp.936-942
    • /
    • 2019
  • Autonomous driving of drone indoor must move along a narrow path and overcome other factors such as lighting, topographic characteristics, obstacles.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 drone in the hallway because of insufficient texture and the lack of its diversity comparing with the complicated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study an autonomous drone navigation using Convolution Neural Network(CNN) in indoor environment. The proposed method receives an image from the front camera of the drone and then steers the drone by predicting the next path based on the image. As a result of a total of 38 autonomous drone navigation tests, it was confirmed that a drone was successfully navigating in the indoor environment by the proposed method without hitting the walls or doors in the hallway.

Watershed Algorithm-Based RoI Reduction Techniques for Improving Ship Detection Accuracy in Satellite Imagery (인공 위성 사진 내 선박 탐지 정확도 향상을 위한 Watershed 알고리즘 기반 RoI 축소 기법)

  • Lee, Seung Jae;Yoon, Ji Wo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0 no.8
    • /
    • pp.311-318
    • /
    • 2021
  • Research has been ongoing to detect ships from offshore photographs for a variety of reasons, including maritime security, identifying international trends, and social scientific research. Due to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R-CNN models for object detection in photographs and images have emerged, and the performance of object detection has risen dramatically. Ship detection in offshore photographs using the R-CNN model has also begun to apply to satellite photography. However, satellite images project large areas, so various objects such as vehicles, landforms, and buildings are sometimes recognized as ships.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methodology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hip detection in satellite photographs using R-CNN series models. We separate land and sea via marker-based watershed algorithm and perform morphology operations to specify RoI one more time, then detect vessels using R-CNN family models on specific RoI to reduce typology. Using this method, we could reduce the misdetection rate by 80% compared to using only the Fast R-CNN.

Frame Analysis of Media Reports on 'Game Self-Regulation': In Connection with the Game Self-Governance Organization of KOREA(GSOK) ('게임 자율규제'에 대한 언론 보도의 프레임 분석 : 한국게임정책자율기구의 자율규제 시스템과 연계하여)

  • Park, Hyun-Ah;Lee, Jae-Jin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21 no.4
    • /
    • pp.43-58
    • /
    • 2021
  • In the current discourse landscape where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on game self-regulation are opposed,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improvement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media reports on self-regulatory policies or perceptions. From July 2018 to June 2020, all articles reported for about two years were selected and the final 325 data were used for the study. For detailed frame analysis, the first and second frames were derived inductively. I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analyzed that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opic of self-regulation, the use of objective data, and the diversity of information sources were insufficient throughout the report.

Pine Wilt Disease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무인항공기를 이용한 딥러닝 기반의 소나무재선충병 감염목 탐지)

  • Lim, Eon Taek;Do, Myung Sik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1 no.3
    • /
    • pp.317-325
    • /
    • 2021
  • Pine wilt disease first appeared in Busan in 1998; it is a serious disease that causes enormous damage to pine trees. The Korean government enacted a special law on the control of pine wilt disease in 2005, which controls and prohibits the movement of pine trees in affected areas. However, existing forecasting and control methods have physical and economic challenges in reducing pine wilt disease that occurs simultaneously and radically in mountainous terrain. In this study, the authors present the use of a deep learning object recognition and prediction method based on visual materials using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to effectively detect trees suspected of being infected with pine wilt disease. In order to observe pine wilt disease, an orthomosaic was produced using image data acquired through aerial shots. As a result, 198 damaged trees were identified, while 84 damaged trees were identified in field surveys that excluded areas with inaccessible steep slopes and cliffs. Analysis using image segmentation (SegNet) and image detection (YOLOv2) obtained a performance value of 0.57 and 0.77, respectively.

A Study on the Strategy for Developing Specialized Collections of Gyeongbuk Library (경북도서관 특화장서 개발 전략 연구)

  • Yoon, Hee-Yoon;Oh, Seon-Ky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1
    • /
    • pp.143-168
    • /
    • 2021
  • In most countries, public libraries play a role as a knowledge and information hub for local communities, a complex cultural space, and a third place for meeting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work of public libraries for this purpose, the key point is systematic collection development, and the established collection is essential for all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In particular,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must perform legal duties as a comprehensive knowledge information center for metropolitan governments, and develop, preserve, and service specialized collections that are difficult for other public libraries. Therefore, we analyzed the development cases of specialized collections of public libraries in large cities in foreign countries and local representative libraries in Korea, surveyed the degree of awareness of specialized collections for employees of public libraries and the cultural to geography in Gyeongbuk region. Based on the background information,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plan and establishment strategy of the Gyeongbuk Library specialized collection, which was named "Gyeongbuk Knowledge and Cultural Heritage."

A Study on the Analysis and Expansion Plan of Public Library Services in the COVID-19 Pandemic (코로나19에 대응하는 공공도서관 서비스 분석 및 확대방안 연구)

  • Seon-Kyung O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57 no.3
    • /
    • pp.119-141
    • /
    • 2023
  • The COVID-19 pandemic has significantly changed the landscape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services that public libraries around the world have been providing since modern times. In particular, as social distancing has become routine, the contraction of cultural activities and the shift to online platforms have negatively impacted library visitation and use services, greatly reducing borrowing and reading, use of spaces and facilities, interlibrary loan services, program operations, and outreach servic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ervices provided by public libraries in Korea and abroad in response to COVID-19, and proposed practical ways to improve and expand services in response to COVID-19 based on the results of a survey of librarians' perceptions. Specifically, these include improving the online reservation system for reading and borrowing services and developing and providing various outreach services, acquiring and expanding electronic resources, expanding online program services (reading, culture, lifelong learning, etc.), strengthening library services for vulnerable populations, providing information portal services related to new infectious diseases, strengthening facilities and space provision services, preparing infectious disease response guidelines, and providing education and training to strengthen librarians' capabilit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