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학적 특징

Search Result 16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곰소만 조간대 바지락형성 장소의 지형학적 특성과 하르팍티쿠스 요각류의 분포

  • 이인태;전승수;서해립;서호영;손창수;선서경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Technology Conference
    • /
    • 2001.10a
    • /
    • pp.251-252
    • /
    • 2001
  • 현재 곰소만에는 크고 작은 111개의 바지락 양식장 (98년 기준)이 허가되어 있는 곳으로 우리나라 바지락 총생산의 약 30%를 차지하는 대표적인 바지락 생산지이다. 그런데 곰소만의 경우, 바지락 양식장의 모든 위치는 만의 중앙부를 기준으로 모두 동쪽에 분포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바지락 양식장이 어떤 지형적 특징에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 등, 2001). 본 연구에서는 곰소만의 지형 특징을 토대로 그곳에서의 퇴적작용을 이해한 후, 지형적으로 구분되는 대표적인 곳에서 중형저서생물인 하르팍티쿠스 요각류의 분포를 조사하여 바지락형성 장소의 지형학적ㆍ생물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중략)

  • PDF

Petrologic and Geo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Micrographic Granite in the Ijin-ri Area, Ulsan (울산 이진리 미문상화강암의 암석학적 및 지형학적 특성 연구)

  • Kim, Sun-Woong;Kim, Haang-Mook;Hwang, Byoung-Hoon;Yang, Kyoung-Hee;Kim, Jin-Seop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8 no.3
    • /
    • pp.211-221
    • /
    • 2009
  • This study illust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crographic granite and the topographic features around Ijin-ri. Light-brown to light- gray granite is composed of intergrown fine-grained quartz + orthoclase, displaying micrographic textures. Miarolitic cavities are abundant. Many micro-landforms including tor, tafoni, and gnamma occurred in the micrographic granite of the study area. Tafoni is dominant in the north and gnamma is dominant in south. From our study of the occurrence and textural properties, two alteration zones were clearly identified; one is an external zone (A) characterized by abundant of small sized miarolitic cavities and the other is an internal zone (B) having them less than zone A. The former is dominant in north, and the latter is dominant in south. Particular geomorphologic features such as fluting cores and raised rims are present in the Ijin-ri area. This suggests that development of miarolitic caviti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the various geomorphologic features. Consequently, the petrogenesis of the micrographic granite is related to geomorphologic features in the external zone typified by abundant tafoni such as the tiger rock, and the formation of a platform as micro-landforms is influenced by thetextural differences of host rock in the internal zone.

Analysis of Flood Runoff using GIUH Model (GIUH 모형을 이용한 홍수 유출해석)

  • Ahn Sang Jin;Kim Jin Geuk;Park Jae Hyun;Lee Heung Z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705-709
    • /
    • 2005
  • 수공분야에 매우 중요한 강우-유출 해석을 위해 미계측 유역이나 자료가 결핍된 유역에서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GIUH모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지형$\cdot$지질특성, 토지피복상태, 유역의 하천 분기특성 등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여 지형형태학적 특징과 Clark 단위도법을 이용하여 GIUH 모형을 보청천 유역의 산성지점에 비교하였다 그 결과 GIUH 모형을 이용한 수문곡선이 Clark 단위도법을 이용하여 작성한 수문곡선 보다 실측치와 유사한 결과가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Study on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from Stone-cultural Properties -Geomorphological and Petrological Approach for the Iksan Area-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익산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및 암석학적 접근-)

  • Cho Ki-Man;Jwa Yong-Joo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1
    • /
    • pp.24-37
    • /
    • 2005
  •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e landforms in the Iksan area.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source areas of stones which are used to build the Mieruksaji west stone pagoda. Joint is most identifiabl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tructure in the Iksan area. Direction of J1 joint appears to be N71°E∼EW, and that of J2 joint ranges N20°W∼N20°E. Cross-pattern joint is predominant in the study area, and linen.-pattern vertical joint is also observed. Tor and corestone are easily found as geomorphological features in the study area. Corestones forming for are almost 2∼3 m across and 2∼3 m or over 5 m high. Their hardness is mainly of hammer bounce. Tower-type and castle-type of for are characteristic in the Mireuksan granites. Other geo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afoni, gnamma are also observed in the study area. Petrographical and geochemical features of the stones used for the Mireuksaji west stone pagoda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granites cropped out nearby, and indicate that the stones from the Mieruksaji west stone pagoda are quite similar to the Mireuksan granites. In the Mireuksan we can easily find lots of old traces for rock cutting.

Analysis of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Gum River Basin using GIS (GIS 기법을 이용한 금강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 분석)

  • Lee, Mi-Seon;Park, Geun-Ae;Kim, Seong-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858-86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GIS기법에 의해 1:5,000 NGIS자료로부터 DEM과 하천망을 생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하천차수별 하천수, 하천연장과 평균하천연장의 하천특성인자와 유역면적, 유역평균폭, 최원유로연장, 하천총수, 총하천연장, 수계밀도, 수계빈도, 형상인자, 평균표고, 평균경사, 최대하천차수, 유역내 최고표고, 기복비 등의 유역특성인자들을 추출함으로써 수자원단위지도 기반의 단위유역별 지형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또한 대상유역을 금강권역상류, 금강권역중류, 금강권역하류유역으로 구분하여 지형학적 인자를 추출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선형 및 비선형 회귀곡선을 이용하여 인자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각 유역을 특징짓는 주요 인자들을 추출하였다.

  • PDF

제주도의 형성사

  • 원종관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6 no.7
    • /
    • pp.2-7
    • /
    • 1981
  • 제주도는 한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하고 환태평양조선대 즉, 호상열도에서 벗어난 대륙쪽에 있는 하나의 큰 화산도로서 백두산, 울릉도와 함께 지질학적으로 매우 흥미있는 대상이다. (table omitted) 본도는 제3기말 플라이오세에서부터 제4기에 이르는 동안의 화산활동의 산물로서 형성되었으며 화산지형으로서의 지형적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중략)

  • PDF

Analysis for River Network Classification based on Beta Distribution and Support Vector Machines (Beta Distribution 과 Support Vector Machines를 적용한 하천유역 분류 기법 개발)

  • Jung, Kichul;Shin, Ju-Yong;Um, Myoung-Jin;Park, Daer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1-411
    • /
    • 2019
  • 지형학적으로 다양한 형상을 가지고 있는 하천유역은 지역적 조건에 따라 뚜렷한 특징을 나타낸다. 이러한 조건은 하천유역의 발달 및 수문학적 특징에 영향을 미친다. 금회 연구는 여러 가지 유역의 특징 중 유역을 대표할 만한 특징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유용한 하천 유역 분류 기법을 제시하였다. 하천유역의 여러 특징 중 지류교차각(Tributary Junction Angle)은 유역을 분석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으며 다른 특징들과 함께 유역 구분을 위해 분석되어 왔다. 하지만, 지류교차각만 이용하여 유역 분류를 제시하는 기법은 연구되지 않았다. 하천유역 분류 기법 제시를 위해 수지형 유역, 평행형 유역, 부채형 유역, 직사각형 유역, 격자형 유역 등 5가지의 형태를 중심으로 50개의 하천유역을 사용하였고, 지류교차각의 Beta Distribution 모델을 적용하여 매개변수 추정치 산정 후 유역 분류를 위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변수 추정치는 각 유역 형태 구분을 위해 적용되었고, 이후 Support Vector Machines를 이용하여 하천유역 형태를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석을 통한 결과는 일반적인 통계기법과 다른 유역형태 구분 기법을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제안된 기법은 수지형, 평행형, 부채형 유역 형태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으며, 얻어지는 결과는 중요한 수문학적 정보 제공에 사용 될 것으로 판단된다. 금회 연구를 통해 Beta 분포형의 매개변수 추정치는 하천유역 분류 적용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하나의 주요 유역 인자로 유역 구분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로는 하천유역 분류를 통해 수문학적인 동질 유역을 구분하여 수문모델의 수행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수문모델 분석과 개발에 적용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Analysis of Damage Characteristics for Heavy Rai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지역적 특성에 따른 호우피해 특징 분석)

  • Kim, Dong Hyun;Kim, Jong Sung;Choi, Chang Hyun;Jung, Sung Eun;Kim, Hung 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109-109
    • /
    • 2018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자연재해의 빈도가 급증하고 있으며, 대규모 재산피해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자연재해로 인한 피해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기 위하여 지역적 특성과 재해 특징을 함께 고려한 적절한 대책 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적 특성(해안 지역, 산간 지역, 내륙 지역)에 따라 크게 3분류로 구분하였고, 지역별 호우피해 발생빈도를 함께 고려하여 피해 특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호우피해 특징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역별 피해액과 호우피해 발생빈도를 분석하였고, 지역별 피해액과 호우피해 발생빈도를 무차원화 하여 4가지 유형(Red Zone, Orange Zone, Yellow Zone, Green Zone)으로 분류하였다. 지역별로 평균 피해액 발생 빈도(I)와 최대 피해 발생빈도(II)로 피해유형을 구분하였다. 최종적으로 지역적 특징 3가지에 대하여 2가지 피해유형과 4가지 호우피해 발생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피해가 발생하는 Red Zone, Orange Zone의 경우 평균 피해액 발생빈도(I)는 30%이고, 최대 피해액 평균 발생빈도(II)는 23%로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활용한다면, 지형에 따른 호우피해 특징 파악 및 효과적인 방재대책 수집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Areal Reduction Factor in Nam River Watershed (남강댐 유역의 면적우량 감소계수 산정)

  • Lee, Jin-Ho;Ahn, Gyoung-Mo;Ham, Gye-Un;Yoon, Suk-Min;Lee, Tae-S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7-307
    • /
    • 2011
  • ARF(Areal Reduction Factor, 면적우량감소계수)는 지점강우량을 면적 평균 강우량으로 변환하는 환산계수로 정의되며, 유역의 지형학적 특성과 강우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반영한 유역단위의 ARF의 개발이 요구된다. 하지만 국내의 ARF는 대부분 한강유역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한강유역과 지형학적, 수문 기상학적 특징이 상이한 유역에 대하여 연구 결과를 적용하기는 많은 제약이 따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강댐 유역의 ARF를 산정하기 위해 7개의 강우관측소(산청, 삼가, 신안, 안의, 운봉, 태수, 함양)로부터 시강우자료(1990년~2010년)를 수집한 후 14개의 재현기간, 6개의 지속시간에 대한 지수형 ARF 회귀식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남강댐 유역의 지수형 ARF 회귀식의 결정계수는 0.80~0.99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남강댐 유역의 ARF와 첨두홍수량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남강댐 유역내의 산청유역을 대상으로 재현기간 100년, 지속시간 24시간에 대한 홍수량을 모의하였다. 그 결과 ARF의 적용 전 후의 첨두홍수량은 10% 이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강댐 유역의 기상학적 특성을 고려한 첨두홍수량 산정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ARF 회귀식이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ological Approach for Use Interpretation of a Cultural Heritage Site at Gochon-ri, Busan (부산 고촌지구 문화유적지의 용도해석을 위한 지질학적 접근)

  • Lee, Min-Joo;Han, Seung-Rok;Paik, In-Sung;Kim, Young-Seog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9 no.3
    • /
    • pp.373-387
    • /
    • 2009
  • Many cultural heritages with various periods includ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were discovered in Chulmamyeon, Busan. Detailed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investigation was performed due to archaeological importance of the study area. Aerial photographic analysis for geomorphology and analysis of vertical sedimentary sections to interpret the sedimentary characteristics were carried out. Many pebbles with specific features were discovered during the investig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origin of the pebbles are analysed based on their size, rock type and shape. The study area is located in a relatively low and gentle slope compared with neighboring regions. The strong N-S trending lineaments may influence the topographic features and the distribution of wells discovered in this area. The exposed sections during excavation are divided into several layers depending on colors and materials included. Some of the layers may be developed not by nature but by human activities. The similarity of the pebbles indicates that these pebbles may artificially be collected or produced for a specific purpose. This study shows that geomorphology and geology can be important in location and development of archaeological sites. Th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or the origin of the pebbles indicates that geological studies can be helpful to interpretation of archaeolog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