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the Source Area of the Stones from Stone-cultural Properties -Geomorphological and Petrological Approach for the Iksan Area-

석조문화재의 석재공급지에 관한 연구 -익산 지역에 대한 지형학적 및 암석학적 접근-

  • Cho Ki-Man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Jwa Yong-Joo (Department of Earth & Environmental Science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조기만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 좌용주 (경상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Published : 2005.03.01

Abstract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granite landforms in the Iksan area. Moreover we investigated the source areas of stones which are used to build the Mieruksaji west stone pagoda. Joint is most identifiable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structure in the Iksan area. Direction of J1 joint appears to be N71°E∼EW, and that of J2 joint ranges N20°W∼N20°E. Cross-pattern joint is predominant in the study area, and linen.-pattern vertical joint is also observed. Tor and corestone are easily found as geomorphological features in the study area. Corestones forming for are almost 2∼3 m across and 2∼3 m or over 5 m high. Their hardness is mainly of hammer bounce. Tower-type and castle-type of for are characteristic in the Mireuksan granites. Other geomorphological features such as tafoni, gnamma are also observed in the study area. Petrographical and geochemical features of the stones used for the Mireuksaji west stone pagoda are compared with those of the granites cropped out nearby, and indicate that the stones from the Mieruksaji west stone pagoda are quite similar to the Mireuksan granites. In the Mireuksan we can easily find lots of old traces for rock cutting.

본 연구에서는 익산의 미륵산 일대의 화강암 지형경관에 대한 지형학적 및 지질학적 특성을 파악하고, 더불어 미륵사지 서탑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를 추정하였다. 절리는 익산 지역에서 가장 뚜렷한 지형학적 및 지질학적 구조이며, J1 절리의 방향은 N71°E∼EW이고 J2 절리의 방향은 N20°W∼N20°E의 범위를 나타낸다. 절리의 형태를 세분할 때 연구지역에서는 cross형의 절리가 우세하며 또한 linear형의 수직절리도 관찰된다. 지형적 특징으로 토어와 핵석도 관찰되는데, 토어를 이루는 핵석들은 2∼3m의 길이에 2∼3m 또는 5m 이상의 높이를 가진다. 그들의 경도는 주로 hammer bounce에 속한다. 미륵산 화강암에서 나타나는 토어는 tower형과 castle형이 우세하다. 한편 타포니와 나마 등과 같은 지형적 특징도 나타난다. 미륵사지 서탑의 석재와 인근 미륵산 화강암의 암석기재적 및 지구화학적 특징들을 비교할 때, 이 두 암석들은 매우 유사함이 지적되어 미륵산이 석재의 공급지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미륵산에서는 과거 채석의 흔적이 다수 발견되기도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동희, 2002, 화강암지형의 세계, 한울아카데미, 32 p
  2. 김주환, 1982, 절리와 화강암 풍화와의 관계고찰, 동국지리, 3, 1-17
  3. 김혜자, 1982, 서울부근의 tafoni현상에 관한 연구, 상명여자사범대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p
  4. 박경식, 2001, 탑파, 예경, 12 p
  5. 양희제, 2004, 익산 미륵사지석탑의 석재에 대한 보존과학적 특성과 기원암석의 성인적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4 p
  6. 이상헌, 1996, 감은사지 삼층석탑(동탑)과 나원리 5층 석탑의 암석과 풍화현상의 특징에 대한 연구, 보존과학회지, 5, 41-68
  7.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최석원, 김만갑, 2004, 감은사지 서탑의 풍화훼손도 진단 및 석재의 산지 추정, 자원환경지질, 37, 569-583
  8. 정창희, 고석진, 1963, 한국지질도 함열도폭 1 : 50,000, 국립지질조사소, 29 p
  9. 좌용주, 이상원, 김진섭, 손동운, 2000,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에 대하여. 대한지질학회지, 36, 335-340
  10. 좌용주, 조기만, 김건기, 김욱한, 2002, 석조문화재에 사용된 화강암 석재의 구별 및 공급지 파악에 대한 연구: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의 예. 대한지질학회 제57차 추계공동학술발표회 초록집, 74 p
  11. 홍만섭, 김영원, 1969, 한국지질도 삼례도폭 1 : 50,000, 국립지질조사소, 32 p
  12. Twidale. C.R., 1982, Granite landforms, Elsvier, 224 p
  13. Ward, S.H., 1981, Gamma-ray specotrometry in geological mapping and uranium exploration. In Skinner, B. J. (ed.),Econ. Geol. Seventy-Fifth Anniversary Volume, 1905-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