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형도

Search Result 9,665,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Laboratory Studies on Three-Dimensional Morphology in a Narrow Wave Tank (3차원 해저지형변환에 관한 조파 수조에서의 실험적 연구)

  • Oh, Tae-Myoung;Robert G. De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6 no.4
    • /
    • pp.375-388
    • /
    • 1994
  • When conducting movable bed tests in a narrow wave tank, the hydrodynamics and morphology are assumed to be two-dimensional; hence, any three-dimensional patterns such as cross-tank variations of the profiles are neglected or averaged to represent the mean profiles at the measuring time. In this paper, six movable bed tests were carried out with a fairly fine sand to investigate (1) whether or not three-dimensional features can occur in relatively narrow wave tanks, and (2) various possible interrelationships and causes of the three-dimensionality. These movable bed studies suggested that there was a relatively slow feedback between the hydrodynamics and the morphology that led to initiation and growth of 3-D morphological features, resulting in cross-tank profile variations under certain stages of profile development, especially when the profile approached an equilibrium with overall stability.

  • PDF

Study on Topographical Changes by Frame of Wooden Groyne at the Riparian of the Pyungchang River (유도틀 설치에 따른 평창강 수변의 지형변화 연구)

  • Kim, Byoung-Moon;Kim, Hyun-Ho;Hwang, Gil-Son;Kim, Dong-Oug;Park, Jung-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70-970
    • /
    • 2012
  • 최근 치수의 기능을 수행하면서 원래 자연하천의 모습을 보전 혹은 복원하는 "생태하천 복원 공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공법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 내 시설물의 조성 시 유황에 따른 자연 하안 유도와 습지형태의 생물 서식공간 조성 유무를 평가하기 위하여 평창강 일원에 목재 유도틀을 설치하고 이에 따른 지형변화, 저서무척추동물을 포함한 수생생물들의 서식특성을 분석하였다. 평창강 금당계곡 일원을 대상으로 RMA-2 모형의 범용프로그램인 SMS 모형을 통해 수리 특성분석을 실시하였고 안산에 있는 수리모형 실험장에서 기본 수리특성 실험 후 수리적 안정성이 확보된 지점에 목재 유도틀을 2009년 9월에 설치하여 유도틀 설치 전과 설치 후 2010년 10월까지의 지형변화를 분석하였다. 지형의 측량은 광파측정기(니콘 DTM-520)로 하였으며 측량된 자료를 이용하여 Contour Map을 작성하여 지형변화를 분석하였고, 유도틀 설치지역을 중심으로 2010년에 3차에 걸쳐 지형 및 생물상 변화에 대한 정량 및 정성조사를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유도틀 설치 후 2010년 하절기에 집중호우에 의한 유도틀의 파손 및 형태변형 등 문제가 없어 수리적으로 안정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지형 변화의 측면에서는 유도틀 조성 전 사질로 되어있던 단순한 선형의 하안이 유도틀 설치 후 다양한 하상재질 및 형태가 변화했으며 유도틀의 배치에 따라서 굼치 및 둠벙형 습지가 형성되었다. 유도틀 설치지역의 3개지점(상부, 중간배후습지, 하부)에서 저서무척추동물에 대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설치된 유도틀의 중간지점에서 가장 높게 종의 서식이 확인되었으며 상부지점과 하부지점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왔으나 상부지점 보다는 하부지점이 양호하게 나타났다. 조사시기별 개체수의 변화에서는 종수변화와 패턴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깔다구와 꼬마줄날도래등 특정종의 증식이 많았다. 또한, 굼치 및 둠벙형 습지 내에 어류의 치어 및 유어, 양서류, 파충류등 다양한 생물의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는 유도틀에 의해 생성 및 유도된 지형변화가 하천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생물들에게 다양한 피난처 및 은신처 역할을 잘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PDF

A Study on the Efficient Mainten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지형정보의 효율적 유지관리 방안)

  • Lee, Bo-M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3
    • /
    • pp.1-12
    • /
    • 2009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xisting problem of geo-spatial information maintenance and then, show maintenance strategies suitable for new integrated environments. We look for AS-IS which is provider-centered, top-down, and also drive implications from analyzing oversea best practice. For analyzing of geo-spatial maintenance pattern, we polled about 20 local governments and private enterprise to find out AS-IS of geo-spatial information and result in maintenance pattern and component. From this, we suggest 4 kinds of strategies. This study shows the strategy not only which decide the question about the problem of existing geo-spatial maintenance but which find a way of combining and utilizing all geo-spatial information which is 8 criteria basic geographical information. This is a win-win program of all organization which produce, construct, make full use of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 PDF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Sado, Yeosu City, Korea (여수 사도의 지형 및 지질경관 특성)

  • Kim, Hai-Gyoung;Koh, Yeong-Koo;Oh, Kang-Ho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20 no.1
    • /
    • pp.35-43
    • /
    • 2013
  • This study is intended to provide resources of on-the-spot experience learning activities for students by 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in Sado(including Jungdo and Jeungdo). There are nine types of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from NIER(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r seventeen types of it,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from KEI(Korea Environment Institute). Such geomorphological and geological landscapes are useful as a place for on-the-spot learning activities that various types of geographical and geological features suggested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xtbooks and also as a basic data for ecotourism and geotourism for visitors in Sado. In addition, specific targets to be investigated for geographical and geological heritage suggested by KEI should be determined in terms of conservation value through professional and thorough field investigation.

Applying Fractals and Agent-Based Simulation to Explore the Role of Terrain in Combat Effectiveness (프랙탈 차원과 에이전트 기반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지형이 전투효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Cho, Sung-Jin;Lee, Sang-Heo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Simulation
    • /
    • v.18 no.4
    • /
    • pp.21-28
    • /
    • 2009
  • In the past, most of battle occurred in flatland and simple military force size gave a big influence in combat result. However, after the World War I, most of battles took place at the various terrain features such as forest, downtown, jungle and many others. Therefore, terrain factor exerts big influence on battle with weapon system in the ground warfare. However, effect of terrain has been explained only by quantitative manner in the battle. Furthermore, combat simulation and modeling applied a method that lower the combat capability of battle factors. In this paper, we present instrumentation that evaluate impact of terrain using fractal dimension. We determine the fractal dimension value by the "box counting dDimension" and density to calculate impact of terrain. Furthermore, we analyzed correlation with fractal dimension and density for battle result that obtained from the EINSTein model which is an agent-based simulation. We compare with 'Stalingrad battle' result out of battle example and analyzed. This study presented a method combat effectiveness that effect of terrain calculate quantitatively using fractal dimension.

UAV Application Technology for Detection of Coastal Topography (연안지형 변화 탐지를 위한 UAV 활용기술)

  • Lee, Geun Sang;Kim, Young Joo;Choi, Yun 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45-445
    • /
    • 2022
  • 최근 새만금 방조제 건설이 완료됨에 따라 주변 연안지역의 지형에 많은 변화가 감지되었다. 본 연구대상지는 격포해수욕장으로서 새만금 사업 준공 후 연안침식에 따른 모래 유실 등으로 인해 양빈사업 등이 검토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지형 변화 탐지를 위한 UAV (Unmanned Aerial Vehicle) 활용기술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총 3회에 걸쳐 UAV 영상을 촬영하였다. 영상촬영은 DJI Inspire 2 UAV를 활용하였으며 VRS(Virtual Reference Service) 측량성과와 연계하여 Pix4D Mapper SW를 통해 정사영상과 수치표면모델(DSM; Digital Surface Model)을 제작하였다. 먼저 2018. 6. 29 ~ 2018. 12. 10 사이의 지형변화 탐지를 수행한 결과 침식과 퇴적의 최대값은 각각 2.56m와 2.24m로 나타났으며 평균적으로는 0.01m의 퇴적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2018. 6. 29 ~ 2019. 6. 14 동안의 침식과 퇴적의 최대값은 각각 2.31m와 2.28m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0.02m의 침식이 발생하였다. 또한 2018. 12. 10 ~ 2019. 6. 14 사이에는 침식과 퇴적의 최대값이 각각 2.28m와 2.55m로 나타났으며 평균값은 0.03m의 침식이 발생하였다. 지형변화를 보다 상세히 모니터링하고자 퇴적과 침식구간을 나누어 분석을 수행한 결과, 2018. 6. 29 ~ 2018. 12. 10 사이에는 0.5m 이내의 침식과 퇴적구간 면적이 각각 13,324.4m2와 14,667.3m2로 퇴적구간의 면적이 1,342.9m2 만큼 높게 나타났으며, 2018. 12. 10 ~ 2019. 6. 14 사이에는 0.5m 이내의 침식과 퇴적구간 면적이 각각 16,176.6m2와 11,723.0m2로 침식구간의 면적이 4,453m2 만큼 높게 나타났다. 또한 2018. 12. 10 ~ 2019. 6. 14 사이에는 0.5m 이내의 침식과 퇴적구간 면적이 각각 16,821.6m2와 11,126.4m2로 침식구간의 면적이 5,695.2m2 만큼 크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이 UAV 영상 기반의 연안지형 모니터링을 수행할 경우 시계열 지형변화를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이러한 업무는 새만금 방조제 건설에 따른 지형변화의 영향평가 등 다양한 연안업무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River Zone Automatic Determination Technique by Grid-based Design Flood Level Influence Area (계획홍수위 영향범위 자동결정을 통한 정밀 하천구역 설정기법 개발)

  • Lim, Dong Hwa;Lee, Choon Ho;Shin, Hee Jae;Sim, Gyoo 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312-312
    • /
    • 2022
  • 우리나라는 하천법 및 소하천정비법에 의거하여 하천기본계획 수립 또는 하천의 지정 및 변경고시 시 하천구역을 지정하고 있다. 하천구역은 일반적으로 제방부지 및 제방하심측 토지경계를 기준으로 지정하나, 제방이 존재하지 않는 무제부 구간의 경우 명확한 제방경계가 없는관계로 하천법 제 10조 3항에서 5항까지 별도의 기준을 통해 하천구역 지정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천구역 설정 시 기준으로 삼는 횡단측점 자료의 경우 그 특성상 하천의 종단방향으로 불연속적인 특징을 갖고 있어 평면상 정확한 경계의 파악이 어려우며, 도로·철도 등 선형시설경계를 하천구역으로 설정 시 편입용지의 보상기준이 모호하여 다량의 민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하천정비 시 기본계획이 수립되어 각 횡단측점별 결정된 계획홍수위를 기반으로 인접 지형의 홍수위 영향범위를 자동으로 추출하여 하천구역을 정밀하게 결정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정립하고자 한다. 첫째로, 하천중심선의 각 측점의 위치정보와 하천의 지형을 위상정보체계로 구성하여 DB를 구축하였다. 둘째로, 측선과 측선사이 절점에 계획홍수위를 선형보간하여 부여하고 이를 지형도의 최단거리에 위치한 지형의 격자표고와 비교해 침수여부를 판단한다. 셋째, 최단거리 지형격자가 침수로 판단될 시 인접한 8개 지형격자의 지형표고와 홍수위를 비교하여 반복적으로 위 과정 수행을 통해 계획홍수위 기반 침수범위를 추출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수치지형도에 중첩시켜 최종 정밀 하천구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산정된 정밀한 하천구역 경계설정을 통해 하천 내사유지 편입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명확한 하천구역 구획기준을 정립하여 토지소유주와 담당부처 간 논의 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고, 하천구역의 신속하고 정확한 구역설정을 통해 하천인근의 토지이용 고도화 및 효율적인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Geomorphic Resources of Mt. Palgong, in Daegu (대구 팔공산의 지형자원)

  • JEON, Young-Gweon
    • Journal of The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of Korea
    • /
    • v.18 no.4
    • /
    • pp.247-259
    • /
    • 2011
  • This research aimed to analyse geomorphic resources of Mt. palgong(i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through some field surveys, and then to clarify geomorphic feature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geological boundary of the south slope(granite) is more clear than one of the north slope(granite bedrock and metamorphic sedimentary rock). Small basins are along with fault line between granite bedrock and metamorphic sedimentary rock. 2) It is estimated that relatively big valleys on the north slope are due to local climate, geomorphic and geological features. 3) Tor, sheeting joint, gutter are well developed both on the south slope and on the north slope, however the development of polygonal cracking and boulder stream are more dominant on the south slope; river cliff, pool, waterfall are more dominant on the north slope with valleys that well developed. 4) Scenic geomorphic landscapes are mainly developed in Dongsan valley and Chisan valley on the north slope. 5) There are many interesting geomorphic resources in the viewpoint of storytelling in Mt. Palgong. So the specific design to utilize such resources is required

Analysis of hydraulic gradient variation according to topographic gradient and rainfall in unconfined aquifer (자유면 대수층에서 지형 경사와 강우를 고려한 수리경사 변동 분석)

  • Kim, Byung-Woo;Kang, Dong-hwan;Jo, Won Gi;Park, Kyoung-deok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6 no.10
    • /
    • pp.691-695
    • /
    • 2023
  • In this study, two sections with different topographic gradients were in the Hyogyo-ri area, the hydraulic gradients were calculated for each section, and the hydraulic gradient fluctuations according to the topographic gradient and rainfall were analyzed. The variations of the hydraulic gradient within the research site was large in the section with steep topographic gradient and small in the section with gradual topographic gradient. The influence of the variation in hydraulic gradient due to rainfall was high in the section with steep topographic gradient, and low in the section with gradual topographic gradie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hydraulic gradient fluctuations in unconfined aquifer showed as a complex effect of topographic gradient and rainfall.

Exploration for Underwater Topography using Interferomtric Metho (간섭계 방식을 이용한 수중지형탐사 방안 연구)

  • Kim, Myoung-Bae;Kwak, Kang-Yu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9 no.3
    • /
    • pp.275-281
    • /
    • 2011
  • To acquire an underwater topographic information is necessary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ructures in marine and inland water. It consists of water depth information by bathymetric survey and underwater bottom topography image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side scan sonar in different way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high quality data by means of engineering site survey, it is necessary to apply simultaneous acquisition of two information and carry out the integrated interpretation to each other.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obtain information of the underwater topography and water depth at the same time using interferometer technique, and to validate interferometer technique with accuracy esti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