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하수시스템

Search Result 631, Processing Time 0.04 seconds

Complexity of Groundwater Flow System in a Site Reflected in the Fluctuations of Groundwater Level and Temperature (지하수위와 수온 변동에 나타난 부지 규모 지하수 흐름장의 복잡성)

  • Jonghoon Park;Dongyeop Lee;Nam C. W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5 no.6
    • /
    • pp.563-570
    • /
    • 2022
  • This study was objected to show the complexity of groundwater flow system in a site-scale area as a design parameter of the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ly detection of pollutant leakage from a potential source of groundwater contamination (e.g., storage tank). Around the tanks, three monitoring wells were installed at about 22~25 m deep and groundwater level and temperature had been monitored for 22 months by 2-minute interval, and then compared with precipitation and temperature data from nearby weather station. Annual variation of groundwater level and its response to precipitation event, variation of groundwater temperature and delayed response to that of atmospheric temperature indicate the complexity of groundwater flow and flow paths even in the relatively small area. Thus, groundwater monitoring network for early detection of contaminant leakage should be designed with full consideration of the complexity of groundwater flow system, identified from the detailed hydroge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sit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ound water safety evaluation system using spatial relationships (공간관계를 이용한 지하수 관정의 안전도 평가를 위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Lee, Jae-Bong;Kwak, Hoon-Sung
    • The KIPS Transactions:PartD
    • /
    • v.11D no.1
    • /
    • pp.31-38
    • /
    • 2004
  • This paper is about to implement a system for ground water safety evaluation. Since ground water quality is affected from the contamination source of surface water, one can estimate the magnitude of affection and the source themselves.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to evaluate the spatial relationship of ground water and its contamination sources, using“contain”and“distance”operators in GIS. The research area is the Kunsan City in Chonbuk province, and are 75th wells those are located between the 4th alluvium land types. The results of measured chemical factors and results of related evaluation of these wells are stored and represented in ZEUS 2000 GIS DBMS, and an interface for searching and studying, is implemented by using ZEUS/SQLX, ZEUS/COM, and Visual Basic 6.0 programming languages. After this research, the spatial relationship between hydro-geological geo-objects and ground water is verified and a efficient evaluation system using GIS is suggested. It is the topic of further study that tries to calibrate the suggested evaluation model by applying it to wider area.

A Review on Potential Effects of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Ground Source Heat Pumps o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지열히트펌프시스템의 설치 및 운영이 토양.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찰)

  • Jo, Yun-Ju;Lee, Jin-Yong;Lim, Soo-Young;Hong, Gyeong-Pyo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4 no.3
    • /
    • pp.22-31
    • /
    • 2009
  • Recently use of renewable energies such as geothermal energy for space heating and cooling is increasing in Korea due to energy crisis and global warming. Ground source heat pump (GSHP) is known as one of the most environment-friendly HVAC (heating, ventilation and air-conditioning) systems in the world. However, some potential effects caused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the GSHP systems o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are reported. The potential effects are closely related with inappropriate installation, operation and closure of the GSHP systems. In this paper, possible effects of the GSHPs o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s are reviewe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and GeoSensor based Traveling Type Sub-Observation Prototype System for Monitoring of Groundwater (지하수 모니터링을 위한 GeoSensor 기반의 이동식 보조관측망 프로토타입 시스템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 Kim, Kyung-Jong;Jung, Se-Hoon;Sim, Chun-Bo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17 no.1
    • /
    • pp.183-192
    • /
    • 2012
  • Although underground water resource has relatively less pollution rate compared with surface water, its recovery faces many difficulties due to poor management. Our country monitors underground water to manage it effectively through auxiliary observation network for underground water. In this paper, we suggest water-well auto measure system based on Geosensor for business efficiency increase of water-well management and realtime monitering. In this system is consist of user GUI(Graphic User Interface) composed with water-well information and movement sub-observation network prototype system composed with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wireless sensor node such as water temperature, water level, electrical conductivity. In this system is using the light of the sun for self-power, variety water-well information collected wireless sensor node was a wireless transmitting/receiving a using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module. Also, for promote with user ease, user GUI express that water-well collected in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map. For performance evaluation of the proposed system, we perform experiment using sensing information through designed sub-observation network. And we was proved superiority of the proposed system through qualitative evaluation with other paper.

Development of Real-time Groundwater Quality Monitoring and Advanced Groundwater Purification Technology for Groundwater using Photo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지하수 수질 실시간 모니터링 및 광유도 활성산소를 이용한 고도수처리 기술)

  • Kang-Kyun Wang;Byung-Wo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5-15
    • /
    • 2023
  • 2020년 기준 국내 상수도 보급률은 99.1% 차지하고 있으며(환경부, 2019), 수도관리차원에서 수돗물은 먹는 물로 시판되어질 만큼 우수한 관리체계를 유지하고 있다. 그 반면에 지하수는 생활용수, 식품가공, 농·축산, 양어, 군부대를 비롯한 전국지역에서 연간 10억 8천만톤 용수를 소비하고 있음에도 (환겨례 신문, 2013; 환경부, 2019) 사용되는 지하수의 약 65%가 음용수 불가판정을 받았으며, 최근 지하수의 오염비율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다. 특히, 지하수관정의 관리부주의에 의한 수질오염 및 수인성 다제내성균(슈퍼박테리아) 등에 의한 오염사례가 국내는 물론, 국제적으로 다수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부, 2013). 현재 지하수 수질관리는 공공기관 및 지자체 지정기관을 통해 진행되고 있으며, 검사기간은 수질채취로부터 통상 7~15일정도 소요되어 수질 관리 및 기준, 검사주기에 대한 애로가 많다. 현장 지하수관정에서 실시간 수질을 모니터링하고 이에 연동된 자동 수처리 시스템의 개발 및 도입은 나날이 심각해지는 환경오염 상황에서 선제적 예방과 해결방법으로 중요한 요소기술이다. 현재 지하수오염 및 부적합 음용의 수질처리는 화학약품, 필터여과, UV살균, O3 (플라즈마)을 이용하는 것이 대표적이나, 화학약품의 경우 2차 오염이나 식품 세척 및 가공에 있어 부적합성의 한계점이 있다. 필터여과의 대표적인 RO필터의 경우 약 50% 순손실이 발생하고, UV 살균의 경우 UV에 의한 사용관리자의 위험 및 장비의 광부식 문제, O3 의 경우 고압전류 사용에 따른 위험성 등의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다. 지하수 수질정화를 위한 광유도 활성산소(1O2, ·O-2)는 광감응제에 가시광의 빛 조사를 통해 생성되는 활성산소로의 에너지 및 전자 전이가 동시 진행되어 단일항 산소(1O2)와 슈퍼옥사이드 이온(·O-2)을 생성하게 된다. 생성된 활성산소는 유해미생물 또는 유기화학물과 개열, 제거, 치환 반응 등을 통해 미생물사멸 및 유해화학물질들이 분해 가능하다. 이를 이용한 지하수 유해미생물 사멸기술, 장비, 실시간 지하수의 분석기술 및 정수처리, 지하수 물순환 시스템 개발뿐만 아니라 지하수 음용수 및 오염개선, 지하수 기저유출에 의한 오염원 저감으로부터 지류·지천, 하천 본류 수질개선 등의 대상지역에 활용 가능하다. 또한 광유도 활성산소는 기존 상수도 수처리에 있어 오존(O3) 처리와 이산화티탄을 이용한 AOP과정을 단일처리 공정으로, 기존 O3 의 특성상 확산 거리가 매우 길어 사람을 포함한 생체 내에 유입 시 다양한 부작용 발생과 O3 차폐시설 요구의 문제점 극복의 대안으로 환경 및 인체에 무해한 광유도 활성산소 시스템을 적극적으로 도입 및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 목적은 정류상태 흡광분광기술을 이용한 실시간 수질 모니터링과 광유도 활성산소를 이용한 유해 미생물의 멸균효능 및 지하수 수질관리 기술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Vulnerability Analysis for Groundwater Level Management in the Midstream of the Nakdong River (낙동강 중류 지역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분석)

  • Lee, Jae-Beom;Yang, Jeo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138-138
    • /
    • 2017
  • 가뭄, 집중호우와 같은 자연적인 요인과 불투수면적의 증가, 각종 용수로서의 지하수 이용 증가, 지하구조물 공사 등과 같은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지하수위 하강이 이슈화 되고 있다. 지하수 위의 하강은 지하수 고갈 같은 1차적 피해뿐만 아니라 생태계 교란, 농작물 피해, 지반 침하, 싱크홀 등의 2차 피해를 야기한다. 이에 따라 지하수위 시계열 자료를 이용하여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지역으로 낙동강 중류에 위치한 상주, 대구, 밀양 지역으로 선택하였다. 자료 수집으로 국가지하수정보센터(www.gims.go.kr)에서 제공하는 국가지하수관측망 관측정 중 자료길이가 11개년 이상인 상주, 대구, 밀양의 지하수위 관측소의 일단위 지하수위 자료와 지하수이용량 자료를 수집하였다. 관측소 인근의 하천수위 자료는 국가수자원관리종합정보시스템(www.wamis.go.kr)에서 수집하였으며, 관측소 인근의 강수자료는 기상청(www.kma.go.kr)에서 해당 지역 관측소의 일단위 강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지역의 지하수 함양 자료는 국가통계포털(www.kosis.kr)에서 수집하였다. 수집한 일 단위 수문 자료를 이용하여 각 관측소의 연평균, 갈수기, 풍수기에 대해서 연구지역의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분석을 실시했고, 자료 분석 시 충적층 지하수위 자료는 인근 수계에 따른 변동이 크기 때문에 암반층 지하수위 자료에 대해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한 결과는 표준화 과정을 거쳐 지수로 산정하였고, 산정된 지수를 통해 연구지역 내 지하수위 관리 취약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전국단위 국가지하수관측망으로 적용하게 되면 지하수 개발 및 관리 정책 수립에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심부시추공 지하수의 심도별 수두 장기모니터링

  • 고용권;조성일;김건영;배대석;김천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3.09a
    • /
    • pp.601-604
    • /
    • 2003
  • 방사성폐기물 처분 연구의 일환으로 화강암지역내 500m 심도의 심부시추공이 착정되었으며, 다중패커시스템이 설치되어 장기적으로 심도별 지하수의 수리 및 화학특성이 모니터링 되고 있다. 지하수 수두값의 심도별 특성은 천부에서 심도 250m까지는 대체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며 250m이하에서 500m 심도까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준다. 각 심도구간에서의 지하수 수두값은 장기적으로 일정한 값을 보여주지만, 장마기간동안 집중적으로 모니터링된 결과에 따르면 심도 370m 상부에서는 지하수 함양변화에 따라 지하수 수두가 변화되는 반면, 심부구간에서는 지하수 함양변화에 대하여 영향을 받지 않음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