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질 조사탐사

Search Result 34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우리나라의 물리탐사 기술과 과제

  • Hyeon, Byeong-Gu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9 no.8 s.87
    • /
    • pp.23-27
    • /
    • 1976
  • 우리나라에서 본격적으로 물리탐사를 시도한것은 1958~1960년에 실시한 항공자력탐사로서 그후 현재까지 불과 20년이 지나지 않았다. 그간 물리탐사의 기술발전으로 자원탐사분야에 많은 공헌이 있었다. 현재까지 주로 적용된 분야는 철자원탐사를 위한 자력탐사, 지하수조사를 위한 전기비저항탐사동, 연등의 통화금속광물탐사를 위한 각종 전기탐사, 제3기층 지질구조와 땜공사, 공업단지조성등의 기반암조사, 그리고 광산의 갱내 출수조사등을 위한 탄성파탐사, 우라늄자원을 위한 방사능탐사, 그리고 해저지질 및 자원조사를 위한 해상물리탐사등이다. 이와 동시에 석탄층조사를 위한 전기탐사 및 Model연구자력탐사의 전산처리 적용, 그리고 광물 및 암석의 물리적 성질등 학술분야에 대한 기초연구도 계속하여 왔다. 우리나라에 있어 물리탐사의 적용조건은 비교적 험악한 지형, 복잡한 지질구조, 광상의 불규칙 또는 소규모의 발달과 산재등이다. 이와 같은 특징은 탐사해석의 정도를 높이기 위하여 보다 고도의 과학기술문제의 해결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와 동시에 현대적 탐사방법과 연구개발로 대상자원의 탐사지역확대와 지하심부 탐사등이 당면과제이다. 기술과제로서는 석탄 및 기타자원에 대한 물리검층탐사, 경상계 지질구조구명을 위한 탄성파탐사 및 동력탐사의 적용, 항공자력, 전자 및 방사능탐사 및 해양의 각종물리탐사의 기술개발이 있으며 그외 탐사자료의 전산처리기술 및 지구과학의 기초연구등이 있다.

  • PDF

충적층하부 대규모 파쇄대의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

  • 황학수;문창규;박윤성;염병우
    • Proceedings of the KSEG Conference
    • /
    • 2002.04a
    • /
    • pp.285-290
    • /
    • 2002
  • 조사지역은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읍으로부터 남쪽으로 엄다면 화양리, 학야리, 성천리 일대에 발달한 충적층으로서. 이 지역에는 남서-북동방향으로 광주단층이 통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충적층 하부에 발달한 단층을 포함한 대규모 파쇄대 파악에는 지표지질조사로서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물리탐사방법을 적용하여 충적층 하부의 대규모 파쇄대의 방향과 연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사용된 물리탐사법은 전기비저항 2차원탐사, 전자탐사 그리고 자력탐사이다. 전기비저항 탐사결과 충적층 내에서 남북방향의 연장성을 갖는 전기비저항 이상대가 파악되었으나, 자력탐사와 전자탐사의 측정자료에는 이 이상대에대한 반응을 관찰할 수 없었다. 이는 전자탐사의 경우, 가탐심도가 매우 작은 EM31을 사용하였고, 또한 자력탐사는 주변 지질매체 간의 대자율 차이가 없는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향후 지하심부의 탐사를 위해 전자탐사법중 TEM 탐사를 실시할 계획이며, 또한 낮은 전기비저항 이상대의 연장성을 정확히 파악하기 위하여 기 측정된 전기비저항 탐사 측선 사이를 탐사할 예정이다.

  • PDF

A Study on Advanced Geo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by Foreign Geologists Prior to 1945 (해방이전 외국인에 의한 서구식 한반도 지질광상조사 성과고찰연구)

  • Kim, Seong-Yong;Lee, Jae-Wook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48 no.1
    • /
    • pp.77-88
    • /
    • 2015
  • Advanced geological surveys and exploration activities were first carried out in Korea in 1884 in accordance with a 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reat Britain and Korea and a treaty of friendship and commerce between Germany and Korea. The first paper by Gottsche, C. was also published in a German Journal in 1886. Efforts toward independent acquisition of Western geological survey and exploration technology were actively promoted by the Korean Empire in the early 1900s, but were frustrated by the Japanese Empire. Systematic geological surveys and exploration were conducted in Korea by Japanese geologist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 basic geological maps(61sheets), a bulletin on the geological survey of Korea, a bulletin and technical report on deposits in Korea, and a coalfield geological survey report were published during this period. Overall, the intentions under lying the geological surveys and exploration activities by foreigners in Korea prior to the Japanese occupation were questionable. However, the results of these surveys and explorations themselves can be evaluated as positive in terms of academic performance.

Japanese Armed Tunnels Applying Geoinformatics (일제 진지동굴의 Geoinformatics 적용 연구)

  • Oh, Jong-Woo;Oh, Se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6.11a
    • /
    • pp.242-246
    • /
    • 2016
  • 해방70주년기념사업으로 일제강점기 동안에 조선인 강재징용으로 구축된 진진동굴에 대한 Geoinformatics 적용 학술조사를 통하여 구조물의 분포와 활용에 대한 내역을 규명하고, 일제에 의하여 자행된 국토훼손의 실상 및 만행을 출판 및 국내외 학술발표 자료로 할용 하고자 하였다. Geoinformatics 적용 조사탐사의 범위는 전국을 대상으로 하며, 서울지역, 인천지역, 대구지역, 부산지역, 제주지역, 대전지역 이외 도서지역 등 미 탐사지역에 대하여 지속가능한 수행을 추진함에 대한 문헌자료, 탐문조사, GIS분석, 지질광물분석 및 공동(空洞)조사 등으로 실시하며, 지표 및 지하조사의 방법은 위성영상분석(Remote Sensing), 물리탐사(전기/자력탐사) 및 동공 확인 시추(구경: 50mm)에 의한 도면작성으로 분포, 형상, 내용 등으로 다음과 같은 조사내용을 제기하였다. 일제동굴진지에 대한 geoinformatics기법의 접근에 의한 기반을 적용해 본 결과 문헌자료, 탐문조사, GIS분석, 지질광물분석 및 공동(空洞)조사 등으로 실시하며, 학술조사의 방법은 위성영상분석(Remote Sensing), 지구물리탐사(전기/자력탐사) 및 동공 확인 시추 등의 종합적인 정성적이며 정량적인 탐사에 의한 적용이 효과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 PDF

제주도 지하수 문제에서 물리탐사의 역할

  • 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1994.07a
    • /
    • pp.75-91
    • /
    • 1994
  • 제주도의 지하수는 상위지하수, 기저지하수, 연안용출수, 심부지하수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이들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또 보존, 관리하기 위하여는 탐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구성물질의 물성대비를 탐사의 원리로 하는 물리탐사는 간접적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조사단계에서 흔히 간과되어 왔으나, 지표 상부에서 지하 심부까지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유일한 탐사방법이라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어야 한다. 물리탐사는 비파괴적인 탐사방법일 뿐 아니라 날은 탐사범위를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탐사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조사단계에서 소요되는 총비용을 현저히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는 여기서, 제주도의 지하수문제에 대하여 물리탐사가 담당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하여 최근의 탐사실례들을 통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이들 중에는 '복합 물리탐사방법에 의한 지하수탐사', '항공원격탐사에 의한 해안 용출수탐사', '물리탐사에 의한 해수침입영역 조사' 그리고 지하수 부존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지질구조선 탐사' 등이 포함되어 있다. 후속의 지질조사와 시추조사에서 얻은 직접적 정보들이 물리탐사에 의한 해석에 feedback 될 수 있는 조사체계를 갖춘다면 향후 제주도의 지하수와 관련한 문제에 물리탐사가 보다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임을 강조한다.

  • PDF

A Review of Magnetic Exploration in Korea (한국의 육상 자력탐사)

  • Park, Yeong-Sue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9 no.4 s.179
    • /
    • pp.403-416
    • /
    • 2006
  • Magnetic method is rapid, cheap and simple geophysical exploration technique, and has wide range of applications such as resources prospecting, geological structure investigation and even geotechnical and environmental problems. Especially, aeromagnetics gives fundamental and useful geoscientific data fnr not only assessment of potential resources, but also national land planning. Magnetic method, perhaps the oldest geophysical technique, was relatively early introduced into Korea. Documents during Japanese occupation says that magnetic method was used for exploring metallic ore deposits and hot spring, and that a geomagnetic observatory was operated. From mid 1950's, after Korean War, magnetic explorations for natural resources such as metallic ore, uranium, coal, and groundwater were intensively executed for industrialization. Apache aeromagnetic survey project during $1958{\sim}1959$ and its ground follow-up surveys are typical and important cases in those days. Magnetic survey techniques were rapidly advanced during 1970's and 1980's with improvements of instruments, growth of geophysical manpower, and availability of computers. The national aeromagnetic mapping project by KIGAM in 1981 showed the improved technical capability of those days. Decline of mining industry since mid 1980's moved the exploration objects from traditional resources to new ones such as groundwater and geothermal resources, and applications to investigation of geological structure were revived. Recently appeared applications such as natural hazard assessment, and engineering and environmental studies increased the magnetic method's utility in the realm of exploration.

Application of Geophysical Prospecting Method to Calculate Basic Data of Limestone Deposit Production (석회암 매장량 산출의 기초자료 계산을 위한 지구물리탐사법의 적용)

  • 서백수;김영화;진호일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11 no.2
    • /
    • pp.131-139
    • /
    • 2001
  • Until recently, limestone yield production is mainly depend on geological investigation and boring. In the study seismic and electrical method are applied to calculate the basic data of limestone yield production. the result of geophysical prospecting, the depth of bed rock is approximately 17m. And there is a slightly difference between the limestone layer boundary which is drawn by electrical prospecting method and that of geological investigation.

  • PDF

On-Land Seismic Survey of Korea (한국의 육상 탄성파탐사)

  • Kwon, Byung-Doo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39 no.4 s.179
    • /
    • pp.441-450
    • /
    • 2006
  • The on-land seismic survey in Korea was begun in mid-1960s. Kim et al.(1967) of Korea Geological Survey reported on the result of gravity and seismic reflection surveys conducted in the Pohang area for the period of 1963-64 to assess its possibility of oil entrapment. Hyun and Kim (1966) carried out a refraction survey on the tunnel wall. Since then, the KGS geophysicists had conducted seismic surveys on Kyungsang sedimentary basin as a main project for several years. In 1970s, on-land seismic surveys had been conduct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site investigation for the nuclear power plants and industrial complex, exploration for ground water, mineral resources and underground tunnel. The first reflection survey with CMP acquisition was attempted in 1978 by using a digital recording system. But most of on-land seismic surveys had employed the refraction method until 1980s. In 1990s, high resolution reflection and various borehole seismic surveys such as tomography, uphole, downhole, cross-hole methods have been attempted by universities and engineering companies. The applications of on-land seismic surveys have been enlarged for both academic and industrial purposes such as investigation of geologic structure of the fault and tidal flat area, construction of highway, railroad and dam, geothermal energy and mineral resource exploration, environmental assessment for waste disposal sites and archaeological investigations. In 2002, the first crustal seismic survey was carried out on the profile of 294km length across the whole peninsular.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d technology and experience acquired through offshore seismic surveys,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continental shelf of Korea and foreign oil fields, will stimulate the more active on-land seismic explor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