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질조건

검색결과 1,068건 처리시간 0.026초

삼염화벤젠으로 오염된 아이오와토양의 복원시 계면활성제의 농도와 pH의 영향 (Effect of Surfactant Concentration and pH on Surfactant-Enhanced Remediation in lowa Soil Contaminated by TCB)

  • Dal-Heui Lee;Robert D. Cody
    • 자원환경지질
    • /
    • 제35권2호
    • /
    • pp.149-154
    • /
    • 2002
  • 오염된 토양의 복원에서 계면 활성제 용액의 조건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주상실험이 실행되었다. 계면 활성제 용액의 조건에는 농도와 pH가 선택되었으며 모델 소수성 유기화합물은 삼염화벤젠, 그리고 DOSL라 OPEE 계면활성제가 본 연구에 사용 되었다. 또한 미국의 아이오와 토양이 본 연구에 이용 되었다. 실험 결과, 계면활성제 용액의 최적 조건은 농도 4%(v/v), pH 10 이며, 이러한 최적 조건이 적용될 때 93-98%의 삼염화벤젠이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회수되었다. 규명된 최적 조건은 게면 활성제를 이용하여 삼염화벤젠으로 오염된 토양 복원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건조 pellet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이 넙치의 성장 및 체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rotein and Lipid Levels of Extruded Pellet on Growth and Body Composition of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최진;서주영;이충열;김경덕;강용진;이상민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299-304
    • /
    • 2006
  • 넙치 치어용 건조사료의 적정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료의 단백질 함량을 50% 및 55%로 조절하고, 각 단백질 함량에 지질 함량을 8%, 12% 및 15%로 조절하여 6종류의 실험 EP 사료를 제조하였다. 21 g의 넙치 치어를 300 L 수조에 3반복으로 무작위로 수용하여, 평균 수온 $20\;^{\circ}C$에서 1일 2회 만복으로 EP 사료를 9주간 공급하였다. 사육실험 결과, 생존율, 증중률 및 일일사료섭취율은 사료의 단백질 및 지질 함량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P>0.05). 사료효율과 단백질효율은 사료의 지질 함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으며(P<0.001), 사료 지질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료효율은 단백질 50%에 지질 15% 공급구와 단백질 55%에 지질 15% 공급구 사이에 유의차는 없었지만, 다른 실험사료 공급구보다 높았다(P<0.05). 단백질효율도 사료효율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고, 단백질 55%에 지질 15% 공급한 실험구가 단백질 50%에 지질 8%, 단백질 55%에 지질 8% 및 지질 12% 공급구보다 높았다(P<0.05). 어체 간의 수분, 단백질 및 지질 함량은 사료의 지질 함량에 유의하게 영향을 받았다(P<0.01). 근육의 일반성분은 실험구간에 유의차가 없었다(P>0.05).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실험에 적용된 사육조건에서 넙치 치어용 EP 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50{\sim}55%$일 때, 지질 함량을 높여주는 것이 사료이용 효율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지하비축기지 건설시 지질조건을 고려한 건설공정의 가시화와 최적화 사례 (Visualization and Optimization of Construction Schedule Considering the Geological Conditions in the Complicated Underground Cavern)

  • 최용근;박준영;이성암;김호영;이희석;이승철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19권3호
    • /
    • pp.167-173
    • /
    • 2009
  • 지하비축기지는 터널의 규모와 건설공정의 복잡성, 지질 및 지반공학적인 문제들로 인해 가장 난해한 지하공간건설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다. 최근 복잡한 지하구조를 3차원으로 가시화하고, 건설 자원과 지반조건 그리고 공정계획을 고려한 4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건설공정을 최적화하는 기술이 지하비축기지 건설 프로젝트에 적용되었다. 이 사례연구는 지하구조의 3차원 모델링을 통해 작업자가 복잡한 지하 현황을 쉽게 이해하고, 정확한 3차원 공간상에서 지질자료를 분석하고 검토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건설공정과 실제 공기를 고려한 4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자재와 버력의 반출입에서 나타날 수 있는 bottle neck의 위치와 시점을 판단하거나 일일 공사비의 변동을 검토하고, 작업조와 투입장비의 수, 터널 시공방향 및 굴착 착수 시점, 버력 및 자재의 운반경로를 검토함으로써 공정의 최적화를 달성할 수 있었다.

발파 진동식의 신뢰성 (The Reliability of Blast Vibration Equation)

  • 김수일;정상섬;조후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573-582
    • /
    • 1994
  • 본 논문에서는 이미 제안된 발파진동식 중에서 국내의 지질조건에 가장 적합한 식을 연구하였다. 국내에서 측정된 여러 현장의 자료를 이용하여 제안된 발파진동식의 적합성을 분석 검토하였다. 실측자료를 이용한 발파진동식의 산정은 선형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또한 실측자료로 각 발파진동식을 산출한 후에는 이 발파진동식에 다시 환산거리를 대입하여 진동속도를 산출하였다. 산출한 진동속도와 측정한 진동속도를 비교함으로써 회귀분석한 발파진동식의 신뢰성을 도심지의 소규모발파와 채석장의 대규모발파를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국내의 지질조건에 가장 적합한 식은 미광무국에서 제안한 ROOT SCALE과 CUBE ROOT SCALE 임을 밝혔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실측자료와 기존의 현장자료를 이용하여 각 암종을 대표할 수 있는 발파진동식을 제안하였다.

  • PDF

강피종자의 발아와 폴리아민 생합성에 대한 염류의 영향 (Influence of Salinity Treatment on Seed Germination and Polyamine Synthesis in Barnyard Grass(Echinochloa hispidula))

  • 윤솔;이수연;임효진;심명보;성좌경;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9-24
    • /
    • 2004
  • 염류장애의 생리적 반응을 검토하고자 강피(Echinochloa hispidula) 종자를 고농도의 NaCl과 KCl 조건하에서 발아시켰다. 발아의 기간과 진전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염류스트레스 조건에서의 지질과산화와 폴리아민 생합성양상을 분석하였다. 고농도 염류처리 자체는 비록 발아를 상당히 지연시킬 수는 있지만 발아를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질과산화와 폴리아민 생합성에 견주어볼 때, 강피는 염류에 내성이 것으로 사료되었다. 지질과산화와 putrescine 함량의 증가는 염류처리 후 1일 동안만 지속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기 putrescine 증가와 지질과산화수소의 생성이 단기간 동안의 염류 내성 기작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결론 내릴 수 있는 근거가 되었다.

퇴적암 기반 터널에서의 지질인자별 변위 영향도를 고려한 RMR 수정 제안 (Suggestion of a Modified RMR based on Effect of RMR Parameters on Tunnel Displacement in Sedimentary Rocks)

  • 서용석;임성빈;나종화;박시현
    • 지질공학
    • /
    • 제18권2호
    • /
    • pp.197-205
    • /
    • 2008
  • 보강효과 및 계측조건의 영향이 배제된 무보강 상태의 전변위는 터널 굴착에 따른 암반 거동의 정량적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위는 지질학적 특성에 의존한다. 본 연구는 암반 상태별로 굴착에 따른 암반의 거동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암반 평가법의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퇴적암을 기반으로 하는 터널을 대상으로 형상, 굴진장 및 굴착 조건 등이 고려된 3차원 수치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긍 암반 상태에 따른 무보강 상태의 전변위를 산정하였다. 그리고 산정된 전변위를 외적기준으로 하고, 각 RMR 인자들을 설명변수로 하는 수량화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RMR 인자의 변위 영향도를 결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수정된 RMR 배점 체계를 제안하였다.

광물과 에너지자원 개발을 위한 TBM 활용사례 (Application of TBM for Mining and Energy Resources Development)

  • 고태영;최성웅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31권6호
    • /
    • pp.460-468
    • /
    • 2021
  • TBM은 원형의 커터헤드를 회전하여 전단면으로 터널을 굴착하는 장비로 빠른 굴진속도와 안전한 시공이 장점이다. 건설현장에서 터널 굴착에 주로 사용되는 TBM은 정보통신기술의 적용이 용이한 장비로서 현재 무인화 및 자동화에 관련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외에서의 광물 및 에너지 자원 개발을 위한 TBM의 적용 사례를 살펴보고, 광물 및 에너지 자원 개발과 토목 건설현장에서 TBM 적용에 대한 차이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TBM 선정 시에 기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지질조건, 심도, 현장 접근, 발진, 선형과 경사, TBM 크기 등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광산에서 TBM 적용 시의 장점과 단점 및 성공적인 광산 적용을 위하여 TBM이 기술적으로 갖추어야 하는 사항을 정리하였다.

강우에 의해 발생된 자연사면 산사태의 지질공학적 분석 - 용인$\cdot$안성지역을 대상으로 - (Engineering Geological Analysis of Landslides on Natural Slopes Induced by Rainfall - Yongin$\cdot$Ansung Area -)

  • 김경수;김원영;채병곤;송영석;조용찬
    • 지질공학
    • /
    • 제15권2호
    • /
    • pp.105-121
    • /
    • 2005
  • 우리나라의 경우 자연사면에서 발생되는 산사태는 그 원인이 대부분 집중강우에 의한 것이고, 산사태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 해도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경기도지역에서는 1991년부터 최근까지 산사태가 지역적으로 많이 발생 된 바 있는데, 이러한 산사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는 강우, 지형조건, 지질 및 토질특성 등을들 수 있다. 1991년 7월 19일부터 21일까지 3일간에 걸친 약 250mm의 집중강우로 인해 용인$\cdot$안성 지역에서 약 660여 개의 산사태가 발생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이들 지역에서 발생된 산사태에 대하여 위치, 지형, 지질, 기하형태 및 강우 등을 조사하여 산사태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산사태는 기반암 상부의 토층사면에서 발생되었으며 전이형슬라이드로 시작되어 유동성산사태로 변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리고 길이는 대부분 50m 이 하로서 대체로 소규모적이다. 또한, 토질조건에 따른 산사태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산사태가 발생한 지역과 발생하지 않은 지역에서 각각의 토층시료를 채취하여 실내 시험을 통한 토질공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산사태 발생지역의 토질은 대체로 자갈 및 모래의 함유비가 높은 조립질인데 반하여 미 발생지역은 실트나 점토입자의 구성비가 높은 세립질이 우세하였다. 그리고 투수계수는 산사태 발생지역이 미 발생지역의 경우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TBM 현장에서 막장전방 예측기법 결과의 확률론적 분석을 통한 지반상태 평가 (A probabilistic assessment of ground condition prediction ahead of TBM tunnels combining each geophysical prediction method)

  • 이강현;서형준;박정준;박진호;이인모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257-272
    • /
    • 2016
  • TBM으로 터널 시공 중 막장면에서 갑작스럽게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공간적인 제한 때문에 NATM공법으로 시공되는 터널에 비해서 적절한 대처를 하기가 어렵다. TBM으로 터널 시공 중에 막장전방의 지반상태를 예측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탄성파, 전자기파 등을 이용하여 TBM 면판 전방의 지반상태를 예측하는 연구 및 기술개발이 이루어졌다. 대부분의 TBM 현장에서는 공사기간 및 비용을 고려하여 1개의 막장전방 예측기법을 적용한다. 그러나 막장전방 예측기법의 종류에 따라서 탐사심도, 적용 가능한 지질조건, 예측할 수 있는 대상, 예측 정확도 등이 다르다. 복합적인 지질조건에 위치한 TBM 터널 시공 시에는 여러 가지 막장전방 예측기법을 적용하는 것이 막장 전방의 지질 조건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여러 가지 막장전방 예측기법을 동시에 적용하였을 경우 각각의 기법으로부터 얻어진 지반상태는 다른 결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막장전방 예측기법으로부터 얻어진 막장전방의 지반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였다. 확률론적 분석과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막장전방의 지반 상태를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한 모델을 가상의 지반에 적용하여, 종합적으로 지반 상태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KURT 부지 조건에서 A-KRS 입지 영역 도출 (Potential repository domain for A-KRS at KURT facility site)

  • 김경수;박경우;김건영;최희주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51-159
    • /
    • 2012
  • 선진핵주기 고준위폐기물 처분시스템의 개념설계를 위하여 가상의 처분장 부지인 KURT 시설 부지의 지질조건에서 A-KRS의 입지 후보영역을 선정하였다. 부지의 모암은 한반도에 폭넓게 분포하는 중생대 화강암을 대표하는 것으로 열수변질작용을 받은 흔적이 있으며, 지표수와 지하수계는 일차적으로 지형의 영향을 받아 부지에서 남동진하여 금강으로 배출된다. 부지 내에서 확인된 단열대는 2 등급 규모로서 N-S와 E-W 주향으로 우세하게 분포한다. A-KRS 입지 후보영역을 제안하기 위하여 부지 내에서 공간적으로 -500 m 심도까지 발달되는 것으로 예상되는 단열대를 교차하지 않고 동시에 단열대로부터 50 m 이상의 충분한 이격거리를 갖는 조건에서 처분장 규모의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부지의 중앙부에 우세하게 분포하는 남북 방향의 주향을 갖는 단열대의 서쪽 영역의 -200 m 이하 심도에서 충분한 영역을 확보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단열대의 분포 특성을 감안할 때 부지의 좌하단 영역이 지질학적, 수리지질학적 측면에서 A-KRS 입지 영역으로 가장 양호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