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질도

검색결과 12,601건 처리시간 0.034초

한국산(韓國産) 옥수수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關)한 연구(硏究) (Lip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Corns)

  • 전호남;최갑성;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22-129
    • /
    • 1986
  • 한국산(韓國産) 옥수수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을 계통적(系統的)으로 분석(分析)하기 위하여 수원(水原)19호(號), 횡성옥(橫城玉), 광옥(廣玉), 황옥(黃玉) 3호(號)의 네가지 품종(品種)을 시료(試料)로 하여 유리지질(遊離脂質)과 결합지질(結合脂質)을 추출(抽出)하고 정제(精製)한 후지질성분(後脂質成分) 및 구성지질산(構成脂質酸構)을 column chromatography, thin layer chromatography, gas liquid chromatography를 이용(利用)하여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였다. 옥수수의 총지질(總脂質)의 평균함량(平均含量)은 5.02%로 유리지질(遊離脂質)이 4.09%, 결합지질(結合脂質)이 0.93%를 차지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은 중성지질(中性脂質) 89.61%, 당지질(糖脂質) 3.75%, 인지질(燐脂質) 6.40%였으나, 결합지질(結合脂質)은 중성지질(中性脂質) 14.26%, 당지질(糖脂質) 46.06%, 인지질(燐脂質) 37.18%로서 유리지질(遊離脂質)에는 중성지질(中性脂質)의 함량(含量)이 높은 반면 결합지질(結合脂質)에는 극성지질(極性脂質)의 함량(含量)이 높았다. 유리지질중(遊離脂質中) 중성지질(中性脂質)의 주성분(主成分)은 triglyceride(67.68%)였으며 결합지질(結合脂質)은 triglyceride(47.88%), free fatty acid(33.44%)로서 유리지질(遊離脂質)에 비하여 free fatty acid의 함량(含量)이 상당(相當)히 높았다. 또한 유리지질(遊離脂質)과 결합지질(結合脂質)의 당지질(糖脂質)은 많은 차이를 보였으며, 인지질(燐脂質)의 주성분(主成分)은 phosphatidyl choline과 phosphatidyl serine이었고,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glycerol inositol도 존재하였다. 유리지질(遊離脂質) 및 결합지질(結合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주요지방산(主要脂肪酸)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였으며, 유리지질(遊離脂質)은 linoleic acid, oleic acid, palmitic acid의 순서(順序)로 함량(含量)이 낮았고, 결합지질(結合脂質)은 linole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고 palmitic acid, oleic acid의 순서(順序)로 적었다.

  • PDF

울산 지역 지질유산의 가치평가 (Evaluation of the Geological Heritages in Ulsan Area, Korea)

  • 하수진;채용운;강희철;임현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49-761
    • /
    • 2022
  • 한국의 국가지질공원과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이 증가하면서 지질유산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지자체의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울산지역 지질유산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가치평가를 실시해 지질유산의 실질적 활용방안을 마련하고 기대효과를 제시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발굴된 112개 지질유산 가운데 33곳의 가치를 평가하였으며, 지질유산은 유형에 따라 지질학적 유산이 2개, 지형학적 유산이 1개, 복합유산이 30개로 나타났다. 울산지역의 지질유산은 하천, 해안지형이 우세하며 화석, 습곡, 단층, 전단대, 광물, 광상 등 다양한 지형, 지질 요소들이 산출되는 특성을 보였다. 33개 지질유산의 등급은 세계급 보호대상인 I등급이 3개, 국가급 보호대상인 II등급이 18개, 국가지정 관리대상인 III등급이 9개, 관리목록 등록대상인 IV등급이 3개이다. 지질유산의 본질적, 부수적 가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강동해안, 주전해안, 태화강 일대(습곡구조, 하천침식지형), 대왕암, 대곡리 반구대 일원, 천전리 공룡발자국, 무제치늪 지역이 지질학적, 경관적, 생태적·문화적 요인 등이 우수하며 관광자원으로 가치가 높아 향후 지질명소로 활용 가능성이 높다. 이들을 지질명소로 지질공원 인증을 추진했을 시에 자연공원법 내 지질공원 인증 세부기준에 따라 지속적인 명소 원형 보존과 유지, 지질교육을 통한 과학 교육 수요 충족, 지속가능한 지역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으며 울산광역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밤 지질(脂質) 성분(成分)의 분석(分析) -제1보. 내과육(內果肉) 및 외과육(外果肉)의 지질조성(脂質組成)- (Analysis of the Lipid Components in Chestnut (Castanea crenata) -Part I. Composition of lipid fraction of inner and outer part of chestnut-)

  • 이종욱;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5권4호
    • /
    • pp.239-247
    • /
    • 1982
  • 은기(銀寄), 녹조(鹿鳥), 상피(霜被)의 3가지 밤 품종(品種)을 시료(試料)로 하여 과육(果肉)을 내과육(內果肉)과 외과육(外果肉)으로 나눈 후에 유리지질(遊離脂質) 및 결합지질(結合脂質)을 추출(抽出) 하고 그의 지질조성(脂質組成)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을 column chromatography, gas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分離), 정량(定量)하였다. 밤의 총지질(總脂質)의 평균함량(고형물당(固刑物當))은 내과육(內果肉)에 1.84%, 외과육(外果肉)에 1.95%였으며 이 중에서 유리지질(遊離脂質)은 내과육(內果肉)에 1.26%, 외과육(外果肉)에 1.63%이나 결합지질(結合脂質)은 내과육(內果肉)에 0.58%, 외과육(外果肉)에 0.32%로서 유리지질이 결합 지질보다 $2{\sim}5$배 많았으며 외과육(外果肉)에 특히 유리지질이 많았다. 유리지질(遊離脂質) 중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은 평균 39.5%로 결합지질(結合脂質)의 4%보다 10배 정도 많았으나 외과육(外果肉)에 있어서는 유리지질(遊離脂質) 중의 중성지질이 56.6%로서 더욱 많았다. 당지질(糖脂質)의 평균함량은 유리지질에 22.0%, 결합지질에 17.0%였으며 인지질(燐脂質)의 평균함량은 유리지질에는 6.9%였으나 결합지질에는 10.5%로써 그 함량(含量)이 많았다. 밤의 유리지질(遊離脂質)을 구성하는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 palmitic acid 및 linolenic acid이나 결합지질(結合脂質)에는 palmitic acid가 40.1%로 가장 많았고 linoleic acid, linolenic acid가 그 다음으로 적었다. 또한 결합지질에는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이 유리지질에서 보다 2배 정도 많았다.

  • PDF

천연색소 Brazilin 및 Hematoxylin의 항지질 과산화활성에 관한 연구 (I) (A Study on the Antilipidperoxidative Effects of Brazilin and Hematoxylin(I))

  • 문창규;하배진;이수환;목명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5-40
    • /
    • 1987
  • 생체내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물질로 알려진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서 지질대사 개선작용, 간보호작용, 혈소판응집능 억제작용 등 생체내 지질과산화 현상과 밀접한 상관성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사료되는 일련의 생리활성이 확인되었으나 아직 항 과산화지질 활성이 검토 보고된 바 없는 Brazilin 및 그 hydroxy 유도체인 hematoxylin을 대상으로 생체내 지질과산화 유도제로 $CCl_4$와 ethanol을 사용하여 지질과산화 억제효능 및 in vitro에서의 효소적, 비효소적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능을 검토하였다. Brazilin 및 hematoxylin이 $CCl_4$로 유도된 과산화지질의 억제효과를 보면 간 homogenate에서 각각 90%, 94%, mitochondria 분획에서 각각 68%, 82%, microsome 분획에서 각각 65%, 81%의 억제효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혈장에서의 억제효과는 각각 37%, 68%로 간에서 낮은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이 두 물질은 간 뿐만 아니라 혈장에서도 과산화지질 억제효과가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Ethanol로 유도된 과산화지질의 억제효과를 보면 간 homogenate에서 각각 93%, 99.8%, mitochondria 분획에서 각각 74%, 98%, microsome 분획의 경우 각각 70%, 94%의 효과를 보였다. 이에 반해 혈장에서의 억제효과는 Brazilin 및 Hematoxylin이 각각 43%, 80%로 나타났다. 간조직중에서는 Brazilin과 Hematoxylin이 유사한 수준의 지질과산화 억제활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혈장 과산화지질치는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어 Brazilin과 Hematoxylin은 간으로부터 혈액중으로의 지질의 방출에 상이한 정도로 영향을 미치거나 순환지질 기질의 보호에 의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에 차가 있거나 혹은 두 가지 인자의 복합적인 작용에 의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세포하수준에서의 항 지질과산화 활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간 misosome 및 mitochondria 분획에 대해 검토해 본 결과 양분획 모두에서 Hematoxylin이 Brazilin보다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저지율은 양분획에서 유사한 수준이었다. Brazilin 및 hematoxylin이 효소적 지질과산화 반응인 NADPH 유도 지질과산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 결과 Brazilin의 경우 88.5%, Hematoxylin의 경우 91.0% 억제효과를 나타내었고 비효소적 지질과산화 반응인 ascorbate 유도 지질과산화 반응에서도 Brazilin이 75.7%, Hematoxylin이 81.9%의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위의 결과에서 지질과산화 억제효과는 주로 자체의 항산화 작용에 의하나 microsome 약물대사활성에 의한 효소적 과산화 현상에도 억제작용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지질공원 캐릭터의 개발 현황과 전망 (Development Status and Prospect of Geopark Characters)

  • 하수진;신승원;채용운;임현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65-75
    • /
    • 2021
  • 최근 10년 사이 우리나라의 국가지질공원은 급속히 증가하여 현재 13곳이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0년 제주도에 이어 2017년 청송, 2018년 무등산권, 2020년 한탄강 국가지질공원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인증되었다. 하지만 국가지질공원 및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의 지속적인 확대에도 불구하고 아직 지질공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나 지질공원을 통한 지역 경제발전에 대한 기여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지질공원에서는 지질공원을 교육 및 관광 사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대중의 친밀도와 우호성을 높이고자 지질공원 캐릭터를 개발하였지만, 다른 공공 캐릭터에서 나타나는 캐릭터 기획과 전문성 부족, 이미지 형성 이후의 스토리텔링 부족, 캐릭터 관리 부족 등의 이유로 제대로 활용되고 있지 못한 상황이다. 개발 이후 방치되고 있는 지질공원 캐릭터가 본연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1) 캐릭터 관리를 위한 예산 편성과 2) 캐릭터 시장의 소비 경향 분석에 근거한 콘텐츠 제작이 필요하다. 단순히 소비되기 위한 이미지로서 캐릭터 대신,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대중에게 사랑받는 지질공원 캐릭터가 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지질공원 및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 (Earth Science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of Geoparks)

  • 김수민;백승연;전진찬;황현준;정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1-12
    • /
    • 2023
  • 이 연구의 목적은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지질공원과 지질공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지질공원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질공원을 활용한 교육은 학생의 탐구 능력 및 학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효과를 가진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를 교육할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지질공원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질공원 교육의 이점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질공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 소재 A 대학교 지구과학 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 56명을 대상으로 지질공원에 대한 인지와 이해 수준, 지질공원 교육 경험, 지질공원 교육 필요성, 지질공원 학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지질공원에 대하여 인식하고 있지만, 국내 및 세계 지질공원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부족한 이해 수준과 이에 따른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현행 중등교육에서 지질공원 교육을 다루는 정도가 부족하고 예비교사들이 이에 따른 지질공원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나 이해 정도가 부족한 것으로 보아 앞으로 지질공원 교육에 대한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은 지질공원의 교육적 활용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향후 지구과학교육 현장, 사회교육 현장, 비교과 교육 현장 등에서 지질공원 교육의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고등어 지질의 산화안정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Oxidative Stabilities of Mackerel Lipids)

  • 김인수;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13-320
    • /
    • 1984
  • 고등어 지질의 산화안정성을 밝히기 위하여 어체를 표피, 보통육, 혈합육 및 내장의 4부위와 총어체에서 지질을 추출하여, $30^{\circ}C$에 저장하여 두고 산가, 과산화물가, TBA가, 요오드가, 중량변화 및 지방산 조성 등의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하여 산화안정성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갈다. 1. 저장 중 지질의 과산화물가, TBA가의 변화 및 중량변화등으로 보아 산화속도는 표피지질, 내장지질, 총지질, 혈합육지질, 보통육지질의 순으로 빨랐다. 2. 각 부위의 극성지질과 비극성지질의 비율은 혈합육지질의 극성지질이 $15.46\%$로 가장 많았고, 표피지질의 극성지질이 $5.35\%$로 가장 적었다. 3. 전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각 부위 모두 $C_{16:0}$산, $C_{18:1}$산 및 $C_{22:6}$산이 많았으며, 고도불포화산인 $C_{22:6}$산은 혈합육지질이 가장 많았고 표피지질이 가장 적었다. 4. 극성지질과 비극성지질의 지방산 조성에 있어서 $C_{16:1}$산 및 $C_{18:1}$산의 monoene산은 극성지질이 비극성지질에 비하여 낮았으며, $C_{20:5}$산 및 $C_{22:6}$산의 polyene산은 극성지질이 비극성지질보다 높았다. 5. 저장 중 지방산 조성의 변화는 polyene산 특히, $C_{20:5}$산 및 $C_{22:6}$산이 현저한 감소를 보였으며, $C_{14:0}$산 및 $C_{16:0}$산의 포화산의 증가가 두드러졌고 polyene산의 감소는 극성지질이 비극성지질보다 감소 속도가 빨랐다.

  • PDF

지리정보를 활용한 한국의 지질유산 정보화 구축 및 관리방안 제시 (The Research on the Management Plan of Geological Heritage in Korea using GIS)

  • 이수재;이명진
    • 환경정책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3-123
    • /
    • 2015
  • 국내외으로 지질유산에 대한 관심과 선정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질유산을 효과적으로 선정하고 관리하는 현실적 방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실질적인 지질유산의 현황 및 관리 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지질다양성, 지질보전, 지질관광 및 지구유산을 바탕으로 국내 지질유산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국내 지질유산의 현황을 파악하고 유형별로 정리하였다. 구축된 자료 중 위치정보(GPS : Global Positioning System)를 통한 좌표가 있는 경우 지리정보(GIS :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로 구축하였다. 우리나라에 흩어져 있는 지질유산의 목록화는 전체 6개 항목(천연기념물, 명승, 해안사구, 천연/자연동굴, 세계자연유산, 기타 지질유산)으로 정리하였다.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전국에 분포하는 총 991개의 지질유산을 도식화하여 전체 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하여 전체적인 분포 경향 및 지형과의 연계성을 분석할 수 있다. 기존에 비도식화되어 존재하던 국내의 지질유산을 정량적으로 정리하고 분석하였으며, 지질유산의 보호를 위한 정책적 연계의 기초 연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문헌상으로 존재하던 자료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사례 검증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지질유산의 조사, 발굴, 등재 및 관리에 있어 가이드라인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앞으로 현장조사 또는 위성영상을 통한 추가적인 지질유산이 발굴된다면 지리정보를 활용하여 수치지형도 및 지질도 등과 비교 분석하는 보다 많은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지질유산의 관리 방안 연구에 보다 용이할 것이다.

  • PDF

지질도 데이터 모델 (Geologic Map Data Model)

  • 연영광;한종규;이홍진;지광훈;류근호
    • 자원환경지질
    • /
    • 제42권3호
    • /
    • pp.273-282
    • /
    • 2009
  • 지리정보분야에서는 수치화된 도면자료에서 고 부가가치 정보로 활용되기 위해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파일기반의 주제도에서 데이터베이스로의 변환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기능을 활용하기 때문에 대용량의 데이터를 통합하고 다양한 정보검색을 용이하게 한다. 지질도는 지질현상에 대한 조사자의 해석을 도식적으로 표현한 결과이기 때문에, 정량적으로 제작되는 다른 주제도와 차별화 된다. 이러한 특징은 지질학적인 다양한 의미에 대해 해석을 필요로 하는 지질도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쉽지 않게 한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미국 호주 등에서는 통합적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데이터 모델을 제시하고 있으나, 지질현상의 표현이 다르기 때문에 국내환경에 적용 하기가 어렵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 실정에 적합한 지질도 데이터 모델링을 위해 1:50,000 축척의 지질도와 보다 대축척인 1:5,000 광산지질도 요소를 분석하여 데이터 모델을 제시한다. 제시한 데이터 모델은 ArcGIS Geodatabase에 대한 논리모델로, 설계한 모델을 이용하여 1:50,000 축척 지질도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 구현된 데이터 모델은 국내 지질도의 통합적 활용 및 효율적 관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질유산의 관광자원으로서의 특성과 활용 -국내 백악기 공룡화석산지를 중심으로- (Touristic Aspects of Geological Heritages -Cretaceous Dinosaur Fossil Sites-)

  • 백인성;김숙주;허민;이수재;김현주;임종덕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4-27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근래 들어 국내외적으로 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지질유산의 개념과 국내외 지질유산의 유형 및 특성을 소개하고, 이와 함께 지질유산을 활용한 지질관광의 대표적 지역 중 하나인 서호주 지역 지질유산 설명시설의 특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공룡화석산지를 비롯한 국내 백악기 지질유산을 대상으로 하여 학술적 가치, 학술 및 관광학적 인프라, 지질유산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정서, 지질유산 보존을 위한 제도적인 장치, 경제적 가치, 관광자원으로서의 지속가능성 등 다양한 측면에서의 관광자원 활용가능성을 고찰하였다.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는 발달규모의 광대함이나 다양성에 있어서 국제적인 수준의 지질유적지와 비교할 때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경쟁력은 높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접근의 편리성, 각각의 지질유적지가 지니고 있는 국제적인 수준의 고유한 지질학적 특성, 상대적으로 낮은 여행경비 등을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장점으로 적극 활용한다면, 외국 유명 지질관광유적지와 비교해 볼 때 경쟁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는 도시에서 편리한 체류를 하면서 비교적 저렴한 경비로 단기간에 공룡시대의 독특한 체험을 원하는 국내외 지질관광객들에게는 매우 적절한 여행지로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처럼 국내 백악기 지질유적지의 지질관광자원으로서의 활용이 체계적인 관리 및 운영에 의해 지속가능하게 이루어진다면, 이는 국내 지질관광산업의 활성화를 가져오는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지질학 관련 전문인력의 고용창출 효과 또한 기대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