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진 매개변수

Search Result 101,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Initial Free Surface Profile of Tsunamis by Earthquake Parameters (지진 매개변수에 따른 지진해일 초기 수면)

  • Cho, Yong-Sik;Kim, Jae-Hong;Sohn, Dae-Hee;Kim, S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6 no.2 s.21
    • /
    • pp.61-68
    • /
    • 2006
  • The earthquake parameters are known to be responsible for determination of the initial free surface profiles of tsunami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earthquake parameters to variation of initial free surface profiles of tsunamis triggered by an impulsive undersea earthquake. The target event is the 1983 Central East Sea Tsunami recorded as the most devastating tsunami in Korea during last several decades. Among the earthquake parameters, the strike angle may play a most significant role in determining the initial free surface.

Study of tsunami sensitivity analysis to fault parameters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is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PTHA)을 위한 단층 파라미터에 대한 지진해일의 민감도 분석)

  • Jeong, Hyun-Kee;Kim, Byung-H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17-217
    • /
    • 2021
  • 우리나라 동해 연안에 영향을 미쳤던 역사지진들과 일본에서 진행된 동해에서의 대규모지진에 관한 조사검토회에서 2014년에 보고된 동해 동연부와 남해 남연부 측에 있는 60개의 지진공백역들에 대한 단층매개변수들이 공개되어있어 수치실험을 통해 지진해일의 재해도를 분석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층매개변수 값들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기에 이를 대비한 지진해일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단층매개변수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방법 중 한 가지는 해당 변수들을 조정하여 Case 모델들을 다양화하는 것이다. 이 때 매개변수의 변동에 대한 기준이 필요하기에 단층매개변수에 대한 민감도 분석이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최종목표는 지진해일에 대한 위험성에 대비하기 위해 선정된 연구지역에 대하여 단층매개변수들을 조정한 경우별 모델들을 사용한 수치모형 실험을 실행한 후 도출된 지진해일 처오름높이 및 처내림높이 결과를 분석하여 각 단층매개 변수의 지진해일에 대한 민감도를 결정하는 것이며, 최종적으로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분석(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nalysys : PTHA)을 실시할 때 기준이 되는 로직트리를 작성할 때 명확한 근거를 제시한다. 단층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은 일본(Goda et al., 2014), 미국(Sepúlveda and Liu, 2016), 뉴질랜드(D. Burbridge et al., 2015)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민감도 분석 과정은 먼저 역사 지진해일과 우리나라 근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진해일의 단층매개변수 조사한 후 파향선추적모형(wave ray-tracing)의 결과를 정리하여 대상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단층을 선정하고, 선정한 단층들의 단층매개변수 값을 일정한 기준을 두고 조정하여 실시한 지진해일 수치모형 실험에서 계산한 결과값을 분석하여 민감도를 결정한다.

  • PDF

Study of tsunami sensitivity analysis to fault parameters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THA)를 위한 단층 파라미터에 대한 지진해일의 민감도 분석)

  • Jeong, Hyun-Kee;Kang, Jun-H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4-274
    • /
    • 2022
  •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THA)는 최근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에서는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주제로 여러 국가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층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은 일본(Goda et al., 2014), 미국(Sepúlveda and Liu, 2016), 뉴질랜드(D. Burbridge et al., 2015)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민감도 분석은 PTHA를 진행하기 위한 선행 과정으로 파향선 추적을 통한 대상지 설정 및 연구 대상 단층을 선정한 후 로직트리를 만들기 위해 각 단층 매개변수의 범위와 단위 폭을 제시한다. 해당 연구는 세 가지 단층 매개변수에 대한 지진해일 초기파와 파고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했다. 주향각은 초기파와 지진해일고에 대해서 임의의 변동을 보이지만 변동 폭은 다른 두 매개변수들과 비교하여 가장 크다. 경사각과 슬립각은 단층의 수직 움직임을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초기파의 변동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파의 변동과 모양을 분석함으로써 수치 계산이 가설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경사각과 슬립각에 의한 지진해일고의 변화는 최저 지진해일고가 초기파의 총 에너지와 연관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지진해일 재해도는 해안지역에 도달하는 최종 파고와 관련이 있으므로 각 매개변수의 단위 폭은 지진해일고의 결과를 통해 선정되었다. 민감도 분석은 제시한 주향각, 경사각, 슬립각의 단위 폭을 이용하여 로직트리의 분기 수를 감소시켜 수치 계산 시간을 줄임으로써 PTHA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Maximum Wave Heights of Tsunamis and Earthquake Parameters (지진 매개변수와 지진해일 최대파고의 상관관계)

  • Sim, Ju-Yeol;Ha, Tae-Min;Cho,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3
    • /
    • pp.135-142
    • /
    • 2009
  • The initial free surface profile and energy of a tsunami are closely related to the wave heights of a tsunami in nearshore and can be determined by using the earthquake parameters. Along the Western coast of Japan, the possibility of a tsunami triggering by undersea earthquakes is very high. Many seismologists have attempted to predict the parameters of earthquakes that could occur in these regions, bu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redict them. As such, several case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volving behaviors of an unexpected tsunami that occurred in this region. If a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quake parameters and the wave heights of a tsunami is found, it would be easier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tsunami. In this study, several virtual tsunami events have been simulated, and the wave heights of the tsunami are computed by varying the earthquake paramete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arthquake parameters and the tsunami wave heights.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conducted in virtual topography.

The development of Vine Copula based Tsunami height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Vine Copula 기반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분석 방법 개발)

  • Yu, Jae-Ung;Kim, Byung-Ho;Cho, Yong-Sik;Kwon, Hyun-H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2-272
    • /
    • 2022
  • 지진해일에 대한 분석은 주로 물리적인 계산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나, 다수의 매개변수가 복잡하게 얽혀있어 계산이 오래 걸리고 해당 지진해일에 대한 분석은 지진해일이 발생한 후에 단층을 조사하여 매개변수를 산정하므로 준실시간에 해당하는 예측이 어렵다. 또한, 지진해일을 예측하는 모형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지진해일에 대한 자료가 필수적이나, 국내의 지진해일은 지난 100년간 4건의 지진해일이 발생하여 자료 역시 불충분하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주기적이지 않고 빈도가 많지 않으나, 지진해일로 인한 피해는 주요한 사회 기반 시설 및 막대한 인명피해를 야기하므로 지진해일 피해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PTHA)시에 주로 지역적인 범위에서 수행되어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수행해야하나, 현재 지진해일고에 대한 분포를 대수정규분포로 하여 지역적인 특성이 고려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단층매개변수와 지진해일고와의 Vine Copula 기법을 활용하여 관계성을 파악하고 국내에서 발생가능한 지진해일에 대한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선정된 지진해일고 클러스터링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지진해일에 대한 방재대책 시에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Parameter Analysis of the Seismic Fragility Function for URM Buildings Using Capacity Spectrum Analysis (역량스펙트럼 해석에 의한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함수 매개변수 분석)

  • Lee, Jung-Han;Park, Min-Kyu;Kim, Hye-Won;Jung, Woo-Young;Park, Byung-Cheol;Yi, Waon-Ho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09.04a
    • /
    • pp.383-386
    • /
    • 2009
  • 본 연구는 HAZUS에서 제시하고 있는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구조적 손상상태에 대한 지진취약도함수와 관련하여 층간변위율 및 스펙트럼 변위 등의 매개변수를 평가하고 또한 국내 상황에 적합한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지진취약도곡선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 상황을 고려한 지진피해를 추정하기 위하여 먼저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의 현황파악 및 지진취약도함수 산출방법을 분석하였다. 일반적으로 HAZUS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진취약도함수는 역량스펙트럼을 변환시킨 가속도-변위응답 스펙트럼법을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상황으로 국내 기존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에 대한 지진취약도함수 개발을 위하여 Midas GEN Ver.741 구조해석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실제 23개동의 비보강 조적조 건축물을 대상으로 역량스펙트럼 해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지진취약도함수의 주요 매개변수인 손상상태별 층간변위율 및 스펙트럼 변위를 제시하였다.

  • PDF

Earthquake Damage Assessment of Lifelines and Utilities (라이프라인과 공공설비의 지진피해 평가)

  • 전상수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5 no.3
    • /
    • pp.9-17
    • /
    • 2001
  • This paper focuses on the earthquake hazard delineation and physical loss estimation for lifelines and utilities. Emphasis is given to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GIS) and their application to pipeline networks in evaluat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rthquake effects. The paper examines the GIS databases for water supply performance obtained for the 1994 northridge. Relationships among buried lifeline damage and various seismic parameters are examined, and the parameters that are statistically most significant are identified. Using GIS data from the Northridge earthquake, the relationships among pipeline repair rate, type of pipe, diameter, and various seismic parameters are assessed.

  • PDF

Detection of Structural Damage from Measured Acceleration (측정 가속도를 사용한 구조 손상 진단)

  • 곽임종
    • Proceedings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7.04a
    • /
    • pp.144-151
    • /
    • 1997
  • 구조물로부터 측정된 가속도 시간이력을 이용하여 구조손상을 찾아내고 평가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구조계의 손상을 찾아내는 알고리즘의 주요한 수단으로써 parametric system identification 방법을 사용하였고 매개변수화된 구조물의 최적 매개변수를 추정하기 위해 구속된 비선형 최적화기법을 사용하였다. 손상된 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적합적 매개변수 모음법을 적용하였고 손상의 정도를 통계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측정된 가속도 시간이력에 time window 기법을 적용하였다. 가속도 이력 측정에 있어서의 불충분성과 측정오차를 고려하여 알고리즘을 개발하였고, 조화진동하중으로 구조물을 가진하여 구조 손상을 진단하는 수치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 PDF

Site Classification for Incheon According to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by Estimating Geotechnic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GIS (GIS 기반 지반공간정보 추정을 통한 부지고유 지진응답 매개변수 기반 인천 지역의 부지분류)

  • SUN, Chang-Guk;KIM, Han-Saem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9 no.4
    • /
    • pp.17-35
    • /
    • 2016
  • Earthquake-induced disasters are often more severe in locations with soft soils than firm soils or rocks due to differences in ground motion amplification. On a regional scale, such differences can be estimated by spatially predicting subsurface soil thickness over the entire target area. In general, soil deposits are generally deeper in coastal or riverside areas than in inland regions. In this study, a coastal metropolitan area, Incheon, was selected to assess site effects and provide information on seismic hazards. Spatial prediction of geotechnical layers was performed for the entire study area within the GIS framework. Approximately 7,000 existing borehole drilling data in the Incheon area were gathered and archived into the GIS Database (DB). In addition, surface geotechnical data were acquired from a walkover survey. Based on the built geotechnical DB, spatial zoning maps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were created and presented for use in a regional seismic strategy. Site response parameter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site coefficients for seismic design over the entire target area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Site classifications and subsequent seismic zoning were assigned based on site coefficients. From this seismic zonation case study in Incheon, we verified that geotechnical GIS-DB can create spatial zoning maps of site-specific seismic response parameters that are useful for seismic hazard mitigation particularly in coastal metropolitan areas.

Parameter Identification Using Static Compliance Dominant Frequencies (정유연성 지배주파수를 이용한 매개변수 인식기법)

  • Nam, Dong-Ho;Choi, Sang-Hyun;Park, Soo-Yong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 /
    • v.9 no.1 s.41
    • /
    • pp.71-78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n improved system identification methodology for structural systems by applying static compliance dominant (SCD) frequencies. The existing sensitivity-based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is extended to adopt the static compliance dominant frequencies, and the performance of the additional spectral information, i.e., SCD frequencies, is compared with that of the natural frequencies only via a numerical example of a mechanical system. The results of the numerical study indicate that the additional use of the SCD frequencies improves accuracy in system identification probl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