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원 유형

검색결과 1,554건 처리시간 0.028초

성인 이용자를 위한 온라인 독서지원서비스에 관한 연구 - 미국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Online Readers' Advisory Services for Adult Patrons: Analysis on American Public Libraries' Service Cases)

  • 최상희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61-80
    • /
    • 2009
  • 독서지원서비스(readers' advisory)는 공공 도서관에서 점차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중요한 서비스 영역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이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운영하고 있는 독서지원서비스의 현황을 분석하여 주요 유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독서지원서비스가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 각 지역에 있는 공공도서관 200개의 홈페이지를 분석한 결과 9개의 독서지원 서비스 영역이 도출되었으며 미국 공공도서관이 이용자와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하며 이용자 중심적인 서비스를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국내 공공도서관에서도 주목해야만 할 동향이며 이 연구에서 분석된 독서지원 서비스 9개의 영역은 향후 국내 공공도서관 독서지원서비스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대학도서관의 온라인 연구지원 가이드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Online Research Guides of University Libraries)

  • 최상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29-248
    • /
    • 2010
  • 대학에서 연구가 중요한 활동으로 주목을 받게 되면서 대학도서관에서도 연구지원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북미 및 국내 60개 대학의 디지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온라인상으로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공하는 현황을 조사하여 13개의 주요 내용유형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대학도서관이 연구지원 가이드 내용을 구성하는데 고려해야 할 5개의 주요 영역을 제시하였다. 또한 연구지원 가이드가 온라인상으로 제공되는 방식과 가이드를 통해 사서와 이용자가 소통하는 방식을 분석하였다. 연구지원 가이드를 제작, 제공하는 주체는 사서이며 대학도서관의 사서 역할은 향후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에서 이용자를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역할로 확장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룹성과의 향상을 위한 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Group Support System for Improving Group Performance)

  • 민대환
    • 정보기술응용연구
    • /
    • 제3권4호
    • /
    • pp.1-18
    • /
    • 2001
  • 본 논문은 그룹 성과모형, 그룹 프로세스 유형, 그룹의 장단점을 살펴보았고, 현존하는 그룹웨어와 회의 지원시스템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대부분의 기업에서 중요시하는 신상품 개발 팀의 업무 성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그룹 지원시스템이 제공해야 할 기능에 대해 논의하였다. 신상품 개발 팀을 위한 그룹 지원시스템은 프로세스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이 언제든지(Anytime), 어디에서든지(Anyplace) 신상품개발을 위해 협력할 수 있도록 지원기능을 제공하는 시스템이라 볼 수 있다. 지원시스템이 그룹의 성과를 높이려면 필요시에는 개별성, 병렬성,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며, 팀원 개인이 수행하는 업무와 공동으로 수행하는 업무를 둘 다 지원할 수 있어야 하고, 사전준비, 회의진행, 사후정리의 모든 과정에서 그룹 프로세스를 지원하면서 구성원의 창의력을 촉발시키고 그룹의 약점을 보완해주는 기능을 갖추어야 한다.

  • PDF

가변성을 고려한 핵심 자산의 결정 모델 기술 및 지원도구 (Decision Model Specification of Core Assets with Variability and its Tool)

  • 윤석진;이승연;신규상;양영종;박창순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466-468
    • /
    • 2004
  • 개발한 자산의 재사용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프로덕트 라인에서 가장 중요한 제품간의 공통성과 가변성을 식별하고 이를 표현하는 기술이 잘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제품의 요구사항을 만족시켜 줄 수 있도록 자산을 모델링 할 때 가변성을 제공하는 부분을 명세화하고 이를 독립적인 모델로 관리함으로써 자산의 재사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핵심 자산 개발시 정의하는 결정 모델의 유형을 정의하고 결정요소들 간의 관계를 추적할 수 있는 지원 도구의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 PDF

간선 유형 및 가중치를 고려한 연속 서브 그래프 매칭 기법 (Continuous Subgraph Matching Scheme Considering Edge Types and Weights)

  • 최도진;복경수;이병엽;유재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9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451-452
    • /
    • 2019
  • 논문 검색 서비스 응용에서는 공저자, 출판 정보 등을 표현하기 위해서 다양한 정점 레이블 (논문,저자) 및 간선 정보(주저자, 공저자)를 이용하여 그래프로 표현한다. 이와 함께 다양한 간선 특징 정보를 질의로 입력하는 연속 서브 그래프 매칭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간선의 다양한 특성을 지원하고 색인의 부하를 감소시킨 연속 서브 그래프 매칭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거리 값과 질의 연관 정보만을 관리하여 간선의 다양한 특성을 지원하는 효율적인 서브 그래프 매칭을 수행한다.

  • PDF

대학도서관 사서의 근거기반실무 지식 영향 요인 (Perceived knowledge of Evidence-Based Practice among University Librarians)

  • 김갑선
    • 한국정보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관리학회 2018년도 제25회 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24
    • /
    • 2018
  •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가 지각하는 근거기반실무 지식의 정도와 영향요인을 식별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연령, 교육 정도, 고용 유형, 직위, 학술지 읽기, 학술대회 참여이었다. 근거기반실무 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 정도, 학술지 읽기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사서의 근거기반실무 지식은 대학도서관과 사서직의 지속적 발전과 혁신의 촉진 요인이기 때문에 근거기반실무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연구 관련 활동을 지원하는 조직단위, 도서관계, 학계 차원의 지원과 정책이 필요하다.

  • PDF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제도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 of Green Belt Community Support Program)

  • 이미홍;윤정중;윤인숙
    • 토지주택연구
    • /
    • 제4권4호
    • /
    • pp.317-332
    • /
    • 2013
  • 본 연구는 2001년부터 2011년까지 시행된 개발제한구역 주민지원사업의 현황을 파악하고, 주민 공무원 등 관련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반영하여 향후 구체적인 제도개선 및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은 통계 자료를 통해 주민지원제도 현황을 연도별, 권역별, 사업유형별로 다각적으로 분석하고, 이해관계자인 주민과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제도개선방안을 도출한다. 지난 10년 동안 주민지원사업은 총 2,007건에 5,839억 원의 국비가 집행되었다. 지원항목 별로는 생활편익사업이 1,949건에 5,646억원으로 96.7%를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1,879억원(총사업비 3,207억원)으로 전체의 32.5%를 차지하고 있어 지원 사업 유형 및 지역에 다소의 편중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주민 370명, 공무원 69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주민지원 제도에 대한 만족도는 과거보다 증가하였으나, 생활비용 직접지원 확대, 주민 참여의 활성화, 새로운 주민지원사업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도 개선 방안으로는 주민소득 창출을 위한 특성화 마을 조성, 역사와 전통 자원을 활용한 경관보전계획 수립, 인근 도시민과 여가를 같이 할 수 있는 공간 조성, 100세 시대 도래에 따른 노인맞춤형 사업 등이 제안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지역특성화사업은 공모를 통해 차별적으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향후 이와 같은 내용은 개발제한구역 중장기 계획에 반영되어 점차적으로 실현되어야 할 것이다.

귀농·귀촌인(가구)의 정착 및 적응 실태와 정책적 함의 - 경상북도를 사례로 - (Settlement and Adaptation Status of Urban to Rural Migrants and Policy Implications : the Case of Gyeongbuk Province)

  • 이철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07-225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를 사례로 귀농 귀촌의 유형별 정착 및 적응실태를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상북도 귀농 귀촌인(가구)의 속성은 시 공간적으로 차별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이들의 정착 및 적응 실태는 그 유형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밝혀졌다. U턴은 영농과 농촌공동체생활의 경험을 가진 이촌향도 1세대가 주류로, 상대적으로 경종에 종사하는 비중이 크다. J턴과 I턴은 귀농 초기 영농기술과 농촌생활에 대한 경험이 없고 전원생활의 향유가 주된 동기로 상대적으로 저소득층의 비율이 높다. U턴은 상대적으로 타 유형에 비해 적응과정에 있어서의 만족도가 낮고 그 과정의 문제점은 주로 가족 및 공동체 자산을 통해서 해결하고 있다. I턴과 J턴은 정착에 대한 만족도는 상대적으로 높지만 준비부족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정책적 함의로는 일반적이고 포괄적 지원정책의 탈피, 귀농 귀촌의 지역 및 유형별 속성에 '뿌리내려진 정책(embedded policies)'으로의 전환, 귀농 귀촌정책 거버넌스 체제의 개선, 이주 전 준비과정에 대한 지원 및 유형별 맞춤형 지원의 강화 그리고 귀농 귀촌가구와 기존 주민의 정주기반의 통합적 개선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문제에 대한 인식 유형별 특성에 관한 연구 (Perceptions toward Career Problems in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김소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27-439
    • /
    • 2019
  • 이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진로문제 인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다문화 청소년들을 위한 진로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첫째,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 문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유형화되며 인식유형별 특성은 무엇인지, 둘째, 인식 유형에 걸쳐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 다섯 집단(다문화 청소년과 다문화 청소년 학부모, 비다문화 청소년, 비다문화 청소년 학부모, 교사)을 대상으로 조사된 자료는 PC용 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사회적 측면, 가정환경 측면, 진로활동 측면, 제도 측면에서의 진로문제에 대한 진술문 34개에 대한 동의 정도를 살펴 본 결과, 본 조사에서 밝혀진 4개의 인식 유형은 "중립적 인식 유형", "경제문제 인식 유형", "진로교육문제 인식 유형", "전문적 지원 문제 인식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다문화 청소년 진로에 대한 인식은 각 유형별로 구체적인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 가운데, 일방적으로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관점에서 보고 있다기보다는 현실적인 문제 해결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다문화 청소년에 대한 진로 인식의 문제는 진로교육 뿐 아니라 사회적, 심리적 측면에서 해결할 수 있는 차별화된 전략이 필요하다.

공동연구 특성을 고려한 연구자 유형 구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ategorizing Researcher Typ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Collaboration)

  • 이재윤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59-80
    • /
    • 2023
  • 기존의 연구자 유형 구분 모델은 대부분 연구성과 지표를 활용해왔다. 이 연구에서는 인용 영향력이 공동연구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인용 데이터를 활용하지 않고 공동연구 지표만으로 연구자 유형을 분석하는 새로운 방법을 모색해보았다. 공동연구 패턴과 공동연구 범위를 기준으로 연구자를 Sparse & Wide (SW) 유형, Dense & Wide (DW) 유형, Dense & Narrow (DN) 유형, Sparse & Narrow (SN) 유형의 4가지로 구분하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양자계측 분야에 적용해본 결과, 구분된 연구자 유형별로 인용지표와 공저 네트워크 지표에 차이가 있음이 통계적으로 검증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공동연구 특성에 따른 연구자 유형 구분 모델은 인용정보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연구관리 정책과 연구지원서비스 측면에서 폭넓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