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오이드고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27초

한국의 잔여지오이드고 모델링을 위한 FFT 및 LSC 방법 비교 (Comparison between FFT and LSC Method for the Residual Geoid Height Modeling in Korea)

  • 이동하;윤홍식;서용철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2D호
    • /
    • pp.323-334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일반적인 중력지오이드 모델 결정방법인 Remove-Restore(R-R) 기법 적용 시 FFT 방법 및 LSC 방법에 의한 잔여지오이드고 모델링을 각각 적용하고, 이에 대한 정확도를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지오이드 결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육상 및 해상에서 측정된 총 6,296점의 중력관측자료에 대하여 Stokes 공식을 적용한 다중밴드 구면 FFT 방법 및 통계적 결정방법인 LSC 방법을 각각 적용하였으며, 503점의 GPS/Levelling 자료에서 획득된 기하학적 지오이드고를 이용하여 모델링시 계산 결과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결정되어야 하는 다양한 계산요소 및 적합한 계산과정을 결정하였다. 그 후 각 방법에 의하여 계산된 잔여지오이드고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의 지오이드 결정을 위하여 적합한 잔여지오이드고 모델링 방안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LSC 방법의 경우 중력관측자료의 오차, 분포밀도의 부족 및 공분산 해석시 지역별 특성의 영향으로 정확한 잔여지오이드고의 모델링이 적용되지 못하였으며, 다중밴드 구면 FFT 방법의 경우 Stokes 적분을 위한 적절한 적분반경 및 수정 kernel의 적용을 통해 LSC 방법보다 약 10cm 이상의 정확도가 향상된 잔여지오이드고가 계산되었다.

보간방법에 의한 WGS84 지오이드고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WGS84 Geoidal Height by the Interpolation Methods)

  • 강준묵;김홍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37-244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수준점에 대한 GPS 관측결과로부터 WGS84 지오이드고 모델을 구성하고 Bi-linear방법, 회귀다항식 방법 및 삼각보간법을 사용하여 check points로 선정한 수준점에 대한 지오이드고를 산출하므로써 보간방법에 따른 보간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삼각점의 GPS 관측성과로부터 도출한 좌표변환계수를 적용하여 수준점의 Bessel 경 위도좌표를 구하고 수준점의 표고성과와 조합하여 수준점의 표고변환의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준점의 WGS84지오이드고 및 정표고를 평균 20 cm의 편차로 결정할 수 있었다.

  • PDF

GPS에 의한 지오이드고(高) 결정(決定)에 관(關)한 연구(研究) (A Study on the Geoid Height Determination by GPS)

  • 강준묵;김홍진;송승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13권5호
    • /
    • pp.183-190
    • /
    • 1993
  • 정확한 지오이드고(高)의 결정은 측위위성에 의한 위치해석시 3차원 측지좌표변환과 정표고 결정에 기본이 되므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GPS에 의한 지오이드고(高) 결정에 관한 것으로 경도 $127^{\circ}{\sim}128^{\circ}$, 위도 $36^{\circ}{\sim}37^{\circ}$$5km{\times}5km$ 지역과 $60km{\times}60km$ 지역의 실측성과를 토대로 Bi-linear 방법과 GPS leveling 방법 및 OSU91A 방법으로 결과를 도출, 수준측량 성과와 비교하여 그 특성을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Bi-linear 방법은 보간망의 형태와 크기 및 지형의 기복에 좌우되며 GPS leveling 방법은 수준측량의 성과가 양호하다면 이상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OSU91A 방법의 경우 GPS leveling 방법과 평균 62cm의 차를 나타내므로 보다 정밀한 지오이드고(高) 결정을 위해서는 우리나라 지형에 적합한 지역적 지오이드 모델의 개발이 요망된다. 본 결과는 지오이드고(高)의 모델개발과 3차원 좌표변환체계의 연구에 한 참고 자료가 될 것이며 각종 건설공사의 3차원 위치결정에도 응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베셀타원체상에서의 한반도 지오이드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Geoid Model in Korean Peninsula referred to Bessel Ellipsoid)

  • 이석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13-223
    • /
    • 1998
  • 본 논문은 베셀타원체상에서 한반도 일원의 지오이드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여러가지의 유용한 데이터를 사용하여 remove and restore technique에 의하여 GRS80 타원체상에서 정밀지오이드고를 계산하였으며, FFT 기법에 의하여 Stokes 적분을 수행하였다. GTOPO30으로부터 표고값을 추출하여 모든 격자점의 위치를 3 매개변수 방법에 의하여 베셀타원체 좌표계로 환산하였으며, 기하학적 방법으로 베셀지오이드고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한반도 일원에서의 GRS80 기준의 정밀 중력지오이드모델(KOGGDM33)과 베셀타원체 기준의 지오이드모델 (KOBGDM33)을 얻을 수 있었으며, 베셀타원체상에서의 지오이드고는 용암포의 -91.8 m에서 대한해협의 -39.0 m 에 이르기까지의 점진적인 분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좌표변환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Bessel 지오이드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ssel geoidal height to improve the accuracy of coordinate transformation)

  • 신봉호;강준묵;김홍진;최종현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43-151
    • /
    • 1994
  • GPS 측량으로부터 획득되는 성과는 WGS 84타원체에 기초하므로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Bessel 타원체상의 경 위도 좌표와 정표고 성과로 변환하여야 한다. 이러한 좌표변환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좌표변환계수의 결정이 먼저 이루어져야하며, 좌표변환계수 결정을 위한 두 타원체간의 변환관계는 각 타원체의 경 위도와 타원체고 상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실용성과중 평균해수면상의 정표고 성과를 Bessel 타원체에 근거한 학원체고로 변환하여야 한다. Bessel 타원체고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지오이드면에서 Bessel 타원체면까지의 높이인 Bessel 지오이드고를 결정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Bessel 지오이드고 산정기법들을 정리하고, Bessel 지오이드고 산정기법에 따른 좌표변환의 변환정확도를 비교하여 Bessel 지오이드고가 좌표변환에 끼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

세계측지계상에서 천문측량데이터를 이용한 연직선편차 계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mputation of Deflection of the Vertical Referred to World Geodetic System by Astrogeodetic Data)

  • 이석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5권1호통권39호
    • /
    • pp.47-53
    • /
    • 2007
  • 천문측량은 각 나라가 지역측지계를 사용하던 때 각 나라의 측지원점을 결정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취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1970년 이후로 관측된 우리나라의 천문측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지역측지계에서 사용해 오던 베셀타 원체를 기준으로 천문측지지오이드고를 계산하고 아울러 GRS80타원체를 기준으로 하는 세계측지계상에서 연직선 편차 성분과 천문측지지오이드고를 계산하였다. 연구결과 세계측지계상에서 연직선편차의 $\xi$성분은 $-5.725"{\sim}8.005"$의 분포를, $\eta$성분은 $-14.917"{\sim}6.2"$ 분포를 보였으며 천문측지지오이드고는 $23m{\sim}27m$에 이르는 분포를 보였다. 아울러 두 타원체의 이격량을 통하여 GRS80타원체가 베셀타원체에 비하여 우리나라에 더욱 적합한 타원체임을 알 수 있었다.

  • PDF

철도기준점을 활용한 지오이드고의 추정 (Geoid Height Estimation Using Rail-road Reference Points)

  • 허준;송영선;김성훈;문정균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4호
    • /
    • pp.499-50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지오이드고 산정을 위해서 철도기준점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사용된 자료는 호남고속철도 건설을 위해서 구축된 철도기준전점으로써 GPS/Leveling에 의해 산정된 타원체고와 수준측량에 의한 정표고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360개의 철도기준점의 타원체고와 정표고를 이용하여 지오이드고를 산정하고, 산정된 지오이드고를 이용하여 공간처리방법별로 정확도 및 철도기준점의 간격에 따른 오차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공간처리연산자에 따른 오차는 거의 유사하였고, 기준점 간격별 분석에서는 $0{\sim}4km$구간에서는 2cm, $5{\sim}8km$ 구간에서는 3cm의 오차범위안에서 지오이드고가 결정됨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철도층량에 있어 GPS측량과 지오이드보간을 활용한 수준측량을 활용할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GPS/Leveling 데이터를 이용한 기하지오이드와 중력지오이드의 비교 분석 (A Comparison of the Gravimetric Geoid and the Geometric Geoid Using GPS/Leveling Data)

  • 김영길;최윤수;권재현;홍창기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17-222
    • /
    • 2010
  • 지오이드는 수직 높이 체계의 기준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된 중력값을 이용하여 계산된다. 따라서 지오이드의 계산에 사용된 관측자료에 따라 지오이드 사이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그 이유는 GPS/Leveling 자료와 같은 검증자료가 충분치 않아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분석이 수행되어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Leveling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기하지오이드를 기준으로 중력기반 지오이드(항공중력 지오이드, 지상중력 지오이드,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실험지역내에 설치된 통합기준점에 대해 기하지오이드고를 산출한 후 중력기반 지오이드와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하지오이드와 중력 지오이드와의 차이는 통합기준점 각 지점(포인트)별로 혹은 $10km{\times}10km$로 격자화 한 후 분석하였으며 파장별 분석이 용이하도록 FFT(Fast Fourier Transform) 방법을 이용하였다. 기하지오이드고를 기준으로 각 지점별 차이에 대한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한 결과 항공중력과 지상중력에 의한 지오이드고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국토지리정보원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파수 영역에서 차이를 비교한 결과, 저주파 영역에서는 모두 유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지상중력기반 지오이드고의 경우 고주파 영역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EGMs의 지형보정에 따른 국내 지역별 지오이드고 연구 (A Study on Geoid Height of Provinces in South Korea by Terrain correction of Earth Gravitational Models)

  • 이용창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7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42-946
    • /
    • 2007
  • 최근 새로운 지구중력장 모델의 개발로 인하여 중력관련 응용분야의 향상된 연구결과가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구중력장 모형으로부터 남한지역에 대한 고도이상(height anomalies)를 산정하고 지형보정 여부에 따른 지역별 지오이드고의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 지오이드고 개발연구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중력 관측 자료를 조합한 5가지 지구중력장모형과 지형보정을 위한 ETOPO2모형을 선정하고 남한지역의 경 위도 $1^{\circ}{\times}1^{\circ}$ 6개 육상부 및 4개 해상부에 대한 30"격자의 지오이드고를 산정한 후, 국립해양조사원의 NORI-05모델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였다. 육상부의 경우, GPS 관측이 수행된 수준점 50측점 및 삼각점 30측점을 점검점으로 선정하여 GPS/Leveling, NORI-05 및 5가지 지구중력장모형에 의한 지오이드고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EIGEN-CG03C 및 EIGEN-CG04C 중력장모형이 GPS/Leveling 결과에 근접함을 보였고 국내 정밀 지오이드고를 산정할 경우, 육상 및 해상에서 지형의 요철이 심한 지역일수록 정밀한 지형보정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벳셀타원체 기준의 남한지역 지오이드 모델(KGM95) (Geoid Models Referred to the Bessel Ellipsoid of South Korea)

  • 이영진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25-133
    • /
    • 1995
  • 지오이드고는 천문측지자료, 중력자료, 위성자료 등으로부터 계산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연직선편차와 지오이드고 제약조건을 사용하여 곡면다항식법에 따라 동경원점계인 벳셀지오이드 모델(KGM95-A)을 산정하고 지심계인 중력지오이드 모델 KGM 93-C로 부터 동경원점 변환요소에 의해 변환된 벳셀지오이드(KGM95-D)와 비교하였으며 우리나라 측지망에서의 적용에 대한 토의가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