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오디자인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44초

객체지향 설계 유형에 의한 지오센서 인터페이스 구현 (Implementation of Geosensor Interface using Object Oriented Design Pattern)

  • 백정호;이홍로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193-206
    • /
    • 2006
  • 본 논문은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에 기반하여 지오센서 모델을 설계하고, JBuilder를 이용하여 지오센서 인터페이스 시스템을 구축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지오센서 기술은 다량의 현장 정보를 실시간으로 원거리에서 네트워크를 구성하여 관리할 수 있는 지리정보시스템의 새로운 연구 분야가 될 것이다. 지오센서 네트워크와 지리정보시스템을 접목시키는 기술은 나날이 증가되고 있는 지리정보의 기능을 충족시키는데 필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객체 지향 지오센서 미들웨어를 개선하기 위해 GoF 디자인 패턴 활용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의 활용함으로써 재사용, 모듈화, 그리고 수정이 용이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는 최적화된 지오센서 인터페이스의 구현에 기여할 것이다.

  • PDF

지오멀티캐스트: 모바일 Ad-hoc 무선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전송 구조 (Geomulticast: New Transmission Architectures for Mobile Ad-hoc Wireless Networks)

  • 안병구;김도현;공형윤
    • 한국멀티미디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논문집
    • /
    • pp.433-437
    • /
    • 2004
  • 지오멀티캐스트는 특별한 지역의존 멀티캐스트 기술이며, 여기서 메시지는 특별한 지역 내에 있는 특별한 사용자 그룹들에게 멀티캐스트 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비용과 높은 메시지 전송률을 가지는 지오멀티캐스트 구조들과 지오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구조를 정의하고 제안한다. 이러한 성능평가 구조에 기초하여 제안된 지오멀티캐스트 방법 및 프로토콜들의 성능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디자인 및 동작 파라미터들의 영향에 관하여 고찰 점검한다.

  • PDF

모바일 Ad-hoc 네트워크를 위한 지오멀티캐스트 구조 및 프로토콜 (Geomulticast Architectures and Protocols for Mobile Ad-hoc Networks)

  • 안병구;안홍영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7호
    • /
    • pp.7-18
    • /
    • 2005
  • 지오멀티캐스트는 특별한 지역의존 멀티캐스트 기술이며, 여기서 메시지는 특별한 지역 내에 있는 특별한 사용자 그룹들에게 멀티캐스트 된다. 본 논문에서는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효율적인 비용과 높은 메시지 전송률을 가지는 지오멀티캐스트 구조 및 프로토콜이 제안된다. 또한, 모바일 ad-hoc 네트워크에서 지오멀티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방법들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구조를 정의하고 제안한다. 이러한 성능평가 구조에 기초하여 제안된 지오멀티캐스트 방법 및 프로토콜들의 성능을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여러 가지 디자인 및 동작 파라미터들의 영향에 관하여 고찰 점검한다.

PR페이지 - 포토리아 텐콜렉션 9월 프로젝트

  • 대한인쇄문화협회
    • 프린팅코리아
    • /
    • 제12권9호
    • /
    • pp.98-99
    • /
    • 2013
  • 포토리아(www.fotolia.com)가 텐콜렉션 이벤트를 통해 스페인 출신의 세계적인 디지털 아티스트인 세르지오 델 푸에르토(Sergio Del Puerto)의 작품을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텐콜렉션은 한 달에 한 명씩 세계 유명 디지털 아티스트를 선정해 작품 정보를 무료로 제공하는 특별 디자인 교육 프로젝트로 9월 이벤트는 오는 10일 오전 10시부터 24시간 동안 진행된다.

  • PDF

어촌마을의 지속성 확보 가능성에 관한 연구 -부윤마을 어촌체험휴양테마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 고신채;안웅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42-144
    • /
    • 2021
  • 고령화로 인해 어촌마을은 소멸위기에 직면해 있으며, 어업인구의 감소로 인한 소득감소, 기반시설 부재와 일자리 부족으로 인한 인구유출 등은 위기를 가속화 시키고 있다. 어촌마을이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역자원을 활용한 활성화 계획이 수반되어야 하며, 특히 오늘날 급증하고 있는 국민여가시장과 연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성에 대한 위기의식을 갖고 있는 어촌마을을 활성화 할 수있는 마스터플랜을 제안함으로써 지속가능한 어촌마을의 가능성을 제안하였다.

  • PDF

브랜드 리노 베이션을 위한 BI 개발에 관한 연구 -코오롱모드 및 5개 브랜드의 BI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Graphic and Visual Solutions of Brand Renovation for Kolon Mode and 5 Other Brands)

  • 박진숙
    • 디자인학연구
    • /
    • 제13권
    • /
    • pp.139-150
    • /
    • 1996
  • 본 연구는 국내 패션업계 중 가장 오래된 기업의 하나인 코오롱 모드의 BI와 그 아래있는 5개의 개별 브랜드 - 아더딕슨, 아르페지오, 맨스타, 쟈스트, 벨라, 등의 BI개발 작업을 통해서 급변하는 패션시장 상황과 소비자 성향에 부응하고자 기존의 이미지 틀 위에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하는 리노베이션을 위한 BI를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각 브랜드의 특성과 컨셉이 기존 BI에 어떻게 충족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대상고객의 라이프 스타일과 전체 패션시장의 경향에 맞춰 기존 이미지의 강점을 계승하고 단점을 보완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신규브랜드의 BI와는 달리 리노베이션을 위한 BI란 기존의 고객은 유지하면서 더욱 더 많은 고객을 유도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급격한 변신은 피하는 것이 특징이다.

  • PDF

융합도시모델링을 통한 그린인프라 수요 예측 및 지오디자인 적용 - 도시 레질리언스를 위한 근거 기반 디자인 - (A Spatial Projection of Demand for Green Infrastructure and Its Application to GeoDesign - Evidence-Based Design for Urban Resilience -)

  • 곽윤신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1권5호
    • /
    • pp.30-43
    • /
    • 2023
  • 그린인프라는 지속가능한 커뮤니티를 조성하는 데에 주요한 전략으로 고려되고 있다. 하지만 도시 레질리언스와 시스템의 역동성이라는 관점에서 그린인프라에 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하며 이를 어떻게 물리적인 적용과 융합하는가에 관한 연구 역시 미미하다. 본 연구는 두 가지의 원인에 주목한다. 첫째는 정적변수를 고려하는 기존의 그린인프라 계획과 동적변수를 고려하는 도시모델링 연구 사이의 간극이며, 둘째는 도시모델링 연구와 조경설계 간의 정보 및 방법의 차이이다. 본 연구는 도시성장에 따른 그린인프라의 수요의 분포를 전망하며 설계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융합모델링을 제안한다. LEAM모델과 MCDA모델을 융합하여 그린인프라의 서비스와 사회경제적 도시변화의 관계성을 평가하고, 2050년의 그린인프라의 수요를 공간적으로 전망한다. 모델의 결과는 시카고 외곽에서의 도시화가 진행될수록 생태시스템 서비스의 질적 저하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음을 말한다. 이는 경제성장에 의해 그린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지리적으로 변화할 수 있음을 나타내며, 그린인프라 전략이 현재와 미래를 유동적이자 포괄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제안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스튜디오 환경에서의 생산된 정보를 학생들과 공유하여 근거기반 설계의 적용과 가능성에 관해 논의한다. 지오디자인의 관점에서 그린인프라 설계 및 계획과 도시시스템 연구의 융합을 통해 효율적인 설계의사결정을 지원함으로써 보다 탄력적인 도시환경을 조성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직장여성을 위한 이지 캐주얼 웨어 디자인 개발 (The Design Development of Easy Casual Wear for Career Women)

  • 변미연;이인성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301-1311
    • /
    • 2006
  • This study rearranged a concept of Friday wear considered as casual wear by searching social background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 study and photo materials and classifying by characteristics of casual wear. It investigated growing changes of casual wear and the progress of changes casual brands through a market survey based on departments in Seoul. And then, it examined characteristics of a design and the critical point of easy casual selecting GIORDANO, TBJ and NII of three easy casual brands.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esent casual wear showed subdivision of casual wear as abundant grouping vocabularies appeared contrary to the past. Secondly, easy casual wear has continuously increased by results of investigating departments in Seoul on the progress of changing easy casual wear brand including the concept of Friday wear. Thirdly, if a main target sets the early 20s, wome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are likely to be reluctant to wear it according to results of investigating designs and characteristics based on GIORDANO, TBJ and NII of existing three easy casual brands through the market survey. Also, it was verified that most of these brands have no a luxurious image because they adhere to middle-low price. Fourthly, it improved problems of easy casual through developing designs of easy casual wear. Easy casual wear supplementing weak these points of easy casual wear was evaluated as suitable clothes for workers to wear in on and off their own time in Fri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