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연유합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3초

쇄골 골절의 골유합 평가에 있어서 초음파의 유용성 (The Usefulness of Ultrasonography in the Evaluation of Clavicle Fracture Healing)

  • 문동규;박형빈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66-71
    • /
    • 2011
  • 목적: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 받은 쇄골 골절 환자 중 단순 방사선학적 검사에서 가골 형성이 관찰 되지 않아 지연유합이나 불유합이 의심되는 경우 초음파 검사가 가골 형성여부를 확인하는 검사로서 유용한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쇄골 골절로 진단되어 보존적인 치료를 시행 받았으나, 불유합 또는 지연 유합이 의심되는 여섯 명의 남자와 한 명의 여자 환자(평균 38.3세; 범위: 7~70세)를 대상으로 초음파를 시행하였다. 초음파 검사상 가골 형성이 관찰된 경우는 보존적 치료를 지속하였고, 가골 형성이 관찰 되지 않은 경우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과: 초음파 검사상 가골 형성을 관찰 할 수 있었던 6예는 보존적인 치료를 지속하여 최종 추시 단순 방사선 검사상 골유합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초음파 검사상 가골 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던 1예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수술소견상 골유합 소견을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 초음파 검사는 보존적 치료를 받는 쇄골 골절 환자에서 임상적 및 방사선학적으로 불유합 또는 지연 유합이 의심되는 경우 가골 형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검사 방법으로 불필요한 수술을 피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 PDF

개에서 골절의 지연유합에 대한 rhBMP-2의 임상적 적용 2례 (Clinical Application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for Delayed Fractures in Dogs)

  • 김재경;김세은;고아라;김승현;심경미;배춘식;최석화;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2-415
    • /
    • 2012
  • 1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요크셔테리어와 7년령의 암컷 푸들이 골절의 지연유합으로 내원하였다. 요크셔테리어의 경우 오른쪽 요골과 척골의 원위부가 골절되었고, 푸들의 경우 왼쪽 경골과 비골의 원위부가 골절되었다. 두 환자에서 신체검사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골절의 유합이 지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골절부는 금속판 및 나사못으로 고정시키고 자가해면질골을 골절 틈새에 이식하였다. 또한 빠른 골유합을 위해 $20{\mu}g$의 rh-BMP 2 가 포함된 matrigel을 골절부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검사를 통해 골절부의 치유 상태를 확인하였다. 장기간의 방사선검사에서 두 마리 모두 빠른 골유합을 보였다. 첫 증례에서는 방사선사진상에서 2주째에 요골과 척골 골절 틈새에 골밀도가 증가하였다. 20주째에는 골절선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 외관을 회복하였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방사선사진상에서 11주째에 골절 치유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두 증례 모두 예상한 것보다 골절의 치유가 빠르게 일어났다. 따라서 rh-BMP 2와 matrigel은 지연유합된 골절의 치유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관절경적 족관절 고정술 (Arthroscopic Ankle Fusion)

  • 김학준
    • 대한관절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관절경학회 제21차 추계 학술대회
    • /
    • pp.93-98
    • /
    • 2009
  • 족관절 고정술은 족관절에 발생한 심한 관절염(end-stage arthritis)에서 전통적으로 시행하던 술식으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인공 족관절 치환술이 발달되기 전까지는 gold standard 로 알려져 있었으며 현재에도 심한 족관절의 변형이나 파괴, 족관절 인공 관절의 실패시에 시행되고 있다. 1897년 Albert가 처음으로 족관절 고정술을 소개한 이후로 30여가지가 넘는 방법이 행해지고 있으나 개방적 관절 고정술의 단점인 수술 후 염증, 유합 지연, 연부조직의 손상에 의한 피부 괴사 등을 극복하고 유합물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내고정 및 외고정 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관절경 술식이 발달하면서 Schnider가 1983년 최초로 관절경을 이용한 족관절 고정술을 발표한 이후로 관절경하의 족관절 고정술은 개방적 족관절 고정술 보다 높은 유합율과 적은 수술 합병증으로 인해 관심의 대상이 되었지만 족관절의 변형이 심한 경우에는 시행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 PDF

축구 선수에서 발생한 경골 피로 골절 치료에 대한 결과 -1예 보고- (Result in Tibial Stress Fracture Treatment in a Elite Soccer Player -A Case Report-)

  • 이경태;김기천;박영욱;김준범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114-120
    • /
    • 2010
  • 경골 중앙 전방 피질골 피로 골절은 지연 유합 또는 불유합이 되기 쉬우며 경미한 외상에도 완전 골절로 발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세심한 평가와 처치뿐 아니라 이전 수준의 운동으로 복귀할 시기를 결정하는 것도 중요하다. 저자들은 운동 선수에서 경골 중앙 전방 피질골 피로 골절 지연 유합후 완전 골절로 발전한 증례에 대한 치험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한 종양절제 후 골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Bone Defects Caused by Tumor Resection Using Recycled Autograft Augmented with VFG)

  • 정양국;강용구;박원종;이승구;이안희;박정미;박보연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93-103
    • /
    • 2009
  • 목적: 종양절제 후 남은 골 결손을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치료하고 그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7년 이후 종양 절제 후 남은 골 결손을 재생 자가골과 생비골 이식술을 이용하여 재건하고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10례를 대상으로 골 유합 시기, 기능적 결과 및 합병증 등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고 관련인자에 따른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재생골-숙주골 접합부 총 20부위 중 13부위(65%)에서 일차수술 후 골 유합을 얻었으며 골 유합까지의 기간은 골간단부는 평균 3.7개월, 골간부는 평균 8개월이었다(P<0.05). 골간부에서 나이가 20세 미만인 군과 생비골을 골수강내 이식한 군에서 골 유합까지의 기간이 짧았다(P<0.05). 기능적 결과는 평균 81%였다. 합병증으로 불유합이 3부위, 지연유합이 4부위에서 있었으며 2예에서 재생 자가골의 심한 흡수와 함께 이식골의 골절이 발생하였다. 결론: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이식된 비골의 혈행을 유지할 수 있는 정확한 술기와 견고한 내고정, 접합부를 가로지르는 이식 생비골의 충분한 길이, 골 유합 또는 이식 생비골의 비후가 일어나기까지의 적절한 보호가 필요하다.

  • PDF

뽕나무 유합촉진 고조삽목에 관한 연구 I. 발근촉진제 농도가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 (Hardwood Cutting with Callusing in the Mulberry(Morus bombycis Koidz.) I. Effect of a Root-Promoting Substance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n Root Formation)

  • 최승운;김호락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3-67
    • /
    • 1991
  • 뽕나무(품종:신광뽕) 고조삽목에 있어서 삽수를 NAA 농도를 달리하여 2주간 유합촉진한 후 온실에 삽목한 경우 농도에 따른 발아 및 발근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기 위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삽수동아의 발아생장은 NAA 농도가 높아짐에 EK라 삽목후 10일까지는 억제되어 지연되었다. 그러나 유합촉진 2주후에는 150ppmrn를 제외하고는 93% 이상 대부분 발아되었다. 2. NAA 농도별 발근은 삽목 15일 후 높은 농도에서 비교적 높은 발근율을 나타내었으며 이후 어느 농도에서나 증가하여 35일 후에는 매우 높은 농도(150ppm)에서 낙해발생으로 인한 다소 낮은 발근율을 제외하고는 그 이상 농도에서 100%의 발근율을 나타내었다. 3. 평균 뿌리길이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적었으나 주당 뿌리수, 뿌리길이 및 무게는 50ppmrn가 가장 많았다.

  • PDF

쥐에서 오적골 생체적합성 평가 (Evaluation of the Biocompatibility of Cuttlebone in Mouse)

  • 원상철;이주명;정종태;박현정;서종필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17-421
    • /
    • 2015
  • 골대체재는 지연유합이나 유합부전 그리고 골절술과 관절고정술 시 골편의 연속성 확립이 필요한 경우 골절의 주요 결손부위를 채우는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자가골을 대체할 수 있는 천연 골이식재의 대표적인 것이 calcium carbonate (CC)이며, 갑오징어의 오적골(Cuttlebone, CB) 또한 천연 CC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오적골의 다양한 전처리 후 직경 5 mm 두께 2 mm의 형태로 가공하여 생체적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조직검사에서 결합조직 두께는 2, 4주차 모두 CBHA군에서 가장 유의성 있게 얇았다 (p < 0.05). 이상의 결과들은 CBHA가 생체 내에 적용하는 골대체재로서 생체적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CBHA는 편평골에 있어 생체적합성이 뛰어난 골대체재로 그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수의 임상에 있어서 활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쇄골 전위성 간부 골절에서 조기 고정술 군과 지연 재건술 군 간의 결과 비교 (Comparison of Results Between Immediate Fixation Group and Delayed Reconstruction Group in Displaced Mid-shaft Fractures of the Clavicle)

  • 김두섭;나중호;윤여승;이창호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2권1호
    • /
    • pp.61-66
    • /
    • 2009
  • 목적: 기존의 연구들은 쇄골의 부정 유합 및 불유합에 대한 지연 재건술의 결과가 골절 후 조기 수술적 치료에 필적할 만한 우수한 결과들을 보고하여 왔으나 두 군을 직접적으로 비교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저자들은 쇄골 불유합과 부정 유합의 지연 재건술 군과 조기 고정술 군 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3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전위성 쇄골 간부 골절에 대해 조기 고정술을 시행한 18예(조기 고정술 군)와 보존적 치료 후 발생한 부정 유합 혹은 불유합에 대해 지연 재건술을 시행한 15예(지연 재건술 군)를 대상으로 하였다. 최종 결과 판정은 Constant 점수에 의한 임상적 결과와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Constant 점수는 지연 재건술 군이 조기 고정술 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았다(p=0.045). 통증 점수와 일상 생활 활동 점수는 두 군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관절 운동 범위 점수와 근력 점수는 두 군간 통계학적 유의성을 보이지 않았다(p>0.05). 방사선학적 골유합 소견은 조기 고정술 군 평균 8.8주, 지연 재건술 군 평균 9.8주에 관찰되었고 두 군 모두 전례에서 골유합 소견을 보였다. 결론: 지연 재건술 군 또한 임상적, 방사선학적으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지만 조기 고정술 군에 비해 Constant 점수와 통증 점수, 일상 생활 활동 점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 쇄골 전위성 간부 골절의 초기 치료 선택에 있어 조기 수술과 지연 재건술의 장단점을 환자에게 충분히 설명하고 초기 치료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대퇴골 간부 골절 후 골절유합이 지연된 환아의 한의치료 증례보고 (A Case Report of Delayed Hea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d Child)

  • 성현경;김장현;민상연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63-71
    • /
    • 2011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clinical effects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elayed hea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d child. Methods: We treated the patient with herb medicine named Kamiboatang and Pyritum. Child took Kamiboatang and Pyritum for 2 months, and Kamiboatang for 1 month. After 3 months treatments, we examined the case with radiological findings. Results: The patient's delayed femoral shaft fracture was improved after 3 months oriental medical treatment. Conclusions: This case showed that oriental medical treatment on delayed healing in femoral shaft fractured child was effective.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Kamiboatang and Pyritum, the more clinical study of Oriental medical treatment for this case might be also needed.

양성 골 종양의 소파술 후 실시한 동종골 이식에서 혈소판 풍부 혈장 투여의 효과 (The Effect of Platelet-Rich Plasma on Allograft Transplantation after Curettage in Benign Bone Tumor)

  • 김재도;김지연;장수진;정소학;정구희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13
    • /
    • 2010
  • 목적: 양성 골종양의 소파수술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동종골 이식시 골 유합을 촉진시키기 위해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Platelet-Rich Plasma)를 주입한 후 골 유합 시기를 비교하여 골 치유 과정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12월부터 2009년 2월까지 양성 골종양 환자 중 병소의 소파술 실시 후 동종골을 이식한 환자 중 12개월 이상 추시 관찰(평균 추시 기간 14.6개월, 12-26개월)이 가능하였던 총 21예(남자 12명, 여자 9명)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가골과 함께 동종골 이식을 실시한 환자는 배제하였다. 동종골 이식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주입한 13예와 동종골 이식만을 실시한 8예에서 수술 전후 단순 방사선 소견상 병소 크기, 골 유합 시기,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의 투여량, 합병증 등을 살펴보았다. 대상 환자의 수술 시 나이는 평균 23.6세였으며(4-73세), 원인 질환은 단순 골 낭종 7예, 골내연골종 4예, 거대 세포종 3예, 분류 미상의 양성 골종양 3예, 섬유성 이형성증 1예, 비골화성 섬유종 1예, 골내 지방종 1예, 동맥류성 골 낭종을 동반한 단순 골 낭종 1예이었다. 결과: 방사선 사진 상 술 전 병소의 부피는 평균 33.5 $cm^3$ (2.3-181.9 $cm^3$)이었으며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한 집단은 평균 29.4 $cm^3$,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 없이 동종골 이식만을 실시한 집단은 평균 40.2 $cm^3$였다. 동종골 이식술과 함께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한 집단에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의 평균 투여량은 7.4 cc (3-12 cc)이었으며, 골유합은 술 후 평균 3.0개월(1.5-5.8개월)에 이루어졌으며 동종골 이식술만을 실시한 집단에서는 술 후 평균 5.3개월(4-8개월)에 이루어졌다. 이 중 각각 3예에서 병변의 재발, 병적 골절 등이 발생하여 제외하였는데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한 집단에서는 2예에서 병변이 재발하였으며 1예에서 불유합으로 인한 골절이 나타났고,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하지 않은 집단에서는 2예에서 병변이 재발하였고 1예에서 골절이 나타났다. 혈소판 풍부 혈장 투여의 합병증으로 술 후 3주 째에 발열이 있었으나 이는 항생제 경구 투여로 호전되었다. 결론: 양성 골종양의 소파술 후 발생한 골 결손에 대해 실시한 동종골 이식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하여 골 유합을 촉진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골절, 불유합 등에서도 동종골 이식시 자가 혈소판 풍부 혈장을 투여하여 골 유합을 촉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