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효과

Search Result 8,24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Influence of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on Wind Effect in Jeju (Comparative Analysis of Seoul and Jeju) (제주지역 고층건축물에서의 바람의 영향이 굴뚝효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과 제주지역간의 비교 분석))

  • Lim, Chae-Hy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9 no.6
    • /
    • pp.6-12
    • /
    • 2015
  • This study used CONTAM modeling to analyzed analyze the stack effect in high-rise buildings for the terrain and weather conditions of Seoul and Jeju. The differential pressure caused by the stack effect is a function of the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 difference and the height of the vertical shaft. Jeju is considered more stable than Seoul, because it is warmer than Seoul in winter.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Jeju is about 60% that of Seoul in for the same height of buildings in winter. However, Jeju is an island and the neutral plane is raised by over 56% by strong winds, although there is less differential pressure caused by the stack effect in Jeju than in Seoul. Due to the raised neutral plane, the region and magnitude of negative pressure in the lower part is larger in Jeju than in Seoul.

Labor Market Dynamics and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in Post-Reform China: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Changing Regional Inequality (경제개혁이후 중국의 노동시장 역동성과 지역경제발전 : 지역격차변화 이해에 대한 함의)

  • 이원호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3 no.2
    • /
    • pp.23-42
    • /
    • 2000
  •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spatial patterns of urban labor market growth driven by marketization process and its implication for understanding regional uneven development in post-reform China. Using a shift share analysis, it shows that the geography of employment growth in China's industrial labor market has closely interacted with the space economy of industrial output, which in turn indicates a deepening of economic reform. By decomposing net employment growth into output and productivity effects, it is shown that the non-state sector holds rapid growth of both output and productivity and contributes to net employment growth through positive net shifts. On the contrary, this study also presents that the state sector with relative decrease in output and productivity holds employment decline effects during the reform period. Since there is a significant spatial dimension for the trend above, it is contended that labor market dynamics together with space economy of industrial production play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regional patterns of economic development. In addition, through situating this investigation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the reform period, our understanding of regional patterns of labor market growth will be much furthered.

  • PDF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장애인지역사회재활시설 종사자의 전문성인식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자아효능감의 매개효과)

  • Lee, Byoung-Roc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9 no.3
    • /
    • pp.445-452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disabled. This also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between the two variable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employees in the facilities in Chungnam and Daejeon areas. And the 376 materials was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 1)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self-efficacy have positive statistic association with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in the facilities. 2) the self-efficacy is found to partially mediate between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everal measures can be presented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improving of the professionalism perception and the self-efficacy of employees in the facilities.

A study on Regional Economic Impacts Due to Launch of International Ferry Terminal at Seosan-Daesan Port (서산 대산항 국제여객선 취항에 따른 지역경제 유발효과 연구)

  • Yun, Kyong-Jun;Kim, Sung-Young;Ahn, Seung-Bum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34 no.2
    • /
    • pp.17-30
    • /
    • 2018
  • The regional industry promotion system, which seeks to link the characteristics and resources of the region to its core strategic industry, is spreading the industrial resources in the form of an organic network. The Seosan-Daesan Port is the only port in the Chungcheong provinces that is equipped with international passenger dock and terminal, and it will soon have a ferry service operating to the Longyan port in Rongcheng, China in 2018. The study focuses on effects of the first international ferry operation in the provinces that are being reali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the regional industry. The study also analyzes the ripple effects on the tourism and port industries in the provinces by tapping into the 2013 regional inter-industry table. The analysis shows that the scheduled ferry operation will generate 47,815 million won in production and 23,423 million won in added value for the region's tourism industry. It will also generate total revenue of 12,567 million won for the port industry driven by the locally handled freight containers and the added value. Currently, the Korea-China ferry operation in other regions exhibits greater dependence on the cargo than the passengers. Thus, for the international ferry operation to and from Seosan, generating maximum employment in tourism from the passengers of the international ferry operation will require strategic marketing to attract tourists. At the same time, a steady supply of cargo needs to be sustained by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import and export cargoes. Furthermore, greater efforts should be made to create more sea routes than other regions or to increase voyages for the purpose of generating more added value.

Analysis of effect of ditch restoration on soil loss reduction in Highland agricultural fields (고랭지밭의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 효과분석)

  • Sung, Yunsoo;Kim, Jonggun;Choi, Yujin;Im, Gyeong-Jae;Kim, Ki-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44-244
    • /
    • 2018
  • 전 세계적인 기후변화로 인한 기상이변 현상으로 국지성 호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시점에 강우로 인한 토양유실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특히 토양유실은 도시지역보단 농업지역에서 다량 발생되고 있어 많은 영양염류가 하천으로 유입되 환경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토양유실문제를 저감시키기 위해서 환경부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을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강원도 내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선정된 홍천군 자운지구는 소양호 상류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의 농경지가 고랭지밭으로 구성되어 있다. 홍천군 자운지구 내 고랭지밭은 대규모 농업단지로 구성되어 있어 지역 내 위치한 구거가 무단으로 점용되어 농경지로 활용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홍천군에서는 농경지로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길제 구거 복원으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에 대한 분석은 수행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으로 지정된 홍천군 자운지구의 지적 상 농경지로 이용되고 있는 구거를 복원할 경우 발생되는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했다. 구거복원에 따른 토양유실저감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용된 모형은 SATEEC L Module이다. SATEEC L Module은 수치표고모형과 최대 허용 경사장을 이용하여 경사장을 산정한 후 Moore and Burch의 방법을 이용하여 LS factor를 산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해당 Module을 사용하여 산정된 LS factor와 USLE 공식을 적용하여 구거 복원 시 저감되는 토양유실량을 분석했다. 분석결과 점용된 구거를 복원하면 자운지구 내 발생되는 토양유실량을 약 16.6%를 저감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분석된 결과는 비점오염원관리지역의 토양유실을 저감할 수 있는 방법연구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amp for Subjugating Mosquito (모기 퇴치용 램프 설계 및 구현)

  • 안양기;한성룡;김태형;권창영;윤동한;김용표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6e
    • /
    • pp.153-156
    • /
    • 2001
  •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보기 퇴치용 램프는 단순히 보기가 좋아하는 파장만 고려하여 설계된 제품들이다 이는 우리나라의 각 지역에 따라 모기가 잘 잡히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잘 잡히지 않는 지역이 있다. 왜냐하면, 각 지역에 따라 보기의 특성이 조금씩 틀리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렇게 지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는 모기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모기를 퇴치하기 위하여 4개의 샘플을 가지고, 밝기와 램프의 파장을 다르게 하여 충북, 경북, 제주도의 각 지역별로 실험을 통하여 지역의 보기특성을 분석하여 테이터화하고, 제일 효과적으로 보기를 퇴치할 수 있는 UV-A의 파장과 24646.0(count)의 발기를 가지는 램프를 가지고 모기퇴치용 램프를 설계하였다.

  • PDF

Analysis of the Effects of Groundwater Dam for Ground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Pohang Region (포항지역의 지하수자원 관리를 위한 지하댐 적용 효과 분석)

  • Yang, Jeong Seok;Kim, Il Hwan;Park, Ki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5-325
    • /
    • 2016
  • 산업화 이후 연안지역을 중심으로 공업지역 등의 조성으로 많은 개발이 진행되어 왔다. 개발된 지역은 불투수 면적이 증가하고 연안지역의 특성상 하천으로 인한 수자원 공급과 더불어 지하수 이용량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기후온난화로 인해 해수면이 상승하고 있어 해수 침투는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연안지역의 공업지대는 수자원 공급뿐만 아니라 해수침투로 인한 피해가 갈수록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해수침투에 대한 피해 방지를 위해 인공 주입 및 함양, 지하댐 등을 통해 지하수자원 관리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수자원 관리 기법 중 지하댐을 설치하여 해수침투를 방지하고 지하수자원을 확보하고자 한다. Visual MODFLOW를 이용하여 포항지역을 대상으로 지하댐을 적용한다. 지하댐의 설치 방법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효과 분석을 실시한다. 이를 이용하여 지속가능한 지하수자원 관리를 도모하고자 한다.

  • PDF

Evaluation of Management Plan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Hoengseong Dam (횡성댐 유역 수질개선을 위한 관리방안 평가)

  • Choi, Yujin;Lee, Seoro;Yang, Dong Seok;Hong, Jiyeong;Lim, Kyoung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1-251
    • /
    • 2020
  • 원주시를 비롯한 남한강 지류인 섬강의 중·하류 지역에서의 물 부족 및 수해를 방지를 위하여 남한강 지류인 섬강 유역에 횡성댐이 건설되었다. 그러나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타 댐에 비해 횡성댐의 최근 5년간 TOC와 BOD5의 평균 농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횡성댐 유역의 수질 오염은 원주시와 횡성군의 식수원인 횡성호의 수질에도 악영향을 미치게 되어 이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횡성댐 유역의 주요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오염원 현황을 파악하고 홍수기 유량·수질 모니터링을 통한 오염원 특성 및 기여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SWAT 모형을 구축한 후 횡성댐 유역 내 주요 우심하천인 구사천과 횡성댐 말단 지역에 대해 적용 가능한 총 5가지의 수질개선 대책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유역 모델링을 통한 전체유황, 홍·풍·평수기, 저·갈수기 수질 오염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으며, 추가적인 수질개선 대책으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오염원별 다양한 관리대책을 제시하였다. 우심하천인 구사천의 경우 마을하수도 설치에 대한 오염부하 저감 효과와 벌목에 대한 오염부하 영향에 대한 시나리오를 모델 내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횡성댐 유역 말단에 대해 비가림시설 및 유출방지턱 설치에 따른 오염부하 저감 효과, 표준시비량 적용 및 농업BMPs(물꼬관리, 완효성비료, 볏짚피복, 초생대)에 따른 오염부하 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시나리오별 수질개선 효과를 분석한 결과, BOD5는 최소 0.1 ~ 11.6%의 수질개선 효과가 있었으며, T-N은 0.1 ~ 22.3%, T-P는 0.1 ~ 31.8%, TOC는 0.1 ~ 3.8%의 수질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수질항목별 시나리오를 분석한 결과, 비가림시설 및 유출방지턱과 축산분뇨 위탁처리 시나리오, 경작지 표준 시비량 시비 및 농업 최적관리 적용 시나리오의 오염원 저감 효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오염저감 시나리오와 수질개선 대책 등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횡성댐 유역의 수질 개선을 위한 대책 수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되나, 횡성호 상류유역의 수질개선만 고려했기 때문에 호소 내 수질관리에 대한 후속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ow Impact Development Scenario Designing for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using SWMM-ING Software (SWMM-ING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대규모 도시개발부지에 대한 저영향개발 시나리오 설계)

  • Woo, Won Hee;Lee, Hanyong;Choi, Hyun Seok;Park, Youn Sh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4-304
    • /
    • 2021
  •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불투수지역이 늘어나는 등 개발전과 다른 지표 및 지표하 유출이 나타나며, 이러한 변화는 생태적, 수문학적으로 대규모 변화가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물관리, 물순환 등 물 지속 가능성은 대중의 관심을 받아 법, 제도가 변화하며 도시화에 대한 세심한 접근과 관리에 대한 계획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은 이러한 도시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 제안되고 있으며 첨두 및 유출총량을 완화하여 개발 이전 상태의 수문학적 기능을 유지하거나 물리학 및 생물학적 기작을 통해 오염물질의 저감효과도 나타나 대규모 도시개발 및 유역관리 사업에서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저영향개발기법 설치에 관한 구체적인 매뉴얼 또는 가이드라인이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저영향개발기법이 계획단계에서 양적으로 무분별하게 적용되어 비용적 측면에서 시공자에게 부담을 가중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시설의 위치에 따라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원 저감에 대한 효과가 상이하기 때문에 시설의 적정 위치선정 및 시설용량, 경제성을 고려한 시설효과 검토 등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시 사업부지 특성에 따른 최적화를 고려하여 계획 및 설계에 적용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비용적 측면을 고려한 최적설계가 가능한 SWMM-ING(Storm Water Management Model -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proGram)을 개발된 바 있다. SWMM-ING은 비전문가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저영향개발기법 최적화과정이 간단하고 직관적이며 비용을 고려한 최적설계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소프트웨어로 기법 적용시 개략적인 비용추정 및 배치선정 등 저영향개발기법의 설계최적화가 가능하다. 또한 각각의 저영향개발기법에 대한 초기설치비용, 유지관리비용, 이자율, 기대수명, 대상지역 내 공간적 위치를 반영하여 강우유출수 및 비점오염저감효과를 시나리오별로 제시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SWMM-ING를 이용하여 대규모 도시개발부지의 저영향개발기법 적용에 따른 유량 및 수질저감효과를 평가하고 유지관리비를 포함한 비용을 추정하여 최적설계 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

A study on Regional Economic Effects of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인천신항 배후물류단지의 지역경제 파급효과 연구)

  • Ma, Moon-Shik;Yoo, Hong-Sung;Kim, Byung-Il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5 no.4
    • /
    • pp.83-106
    • /
    • 2009
  • This study estimated the regional economic effects by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applying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s in Incheon. And thereby, we tried to find some strategic implications on the priority to induce more effective industries for activated operation of the logistics complex in ports. According to the results, development of Incheon New Port will generate 2,579 billion KRWs(2.2 billion USDs) of production and 1,783 KRWs(1.5 billion USDs) of value-added annually. And we expect it to induce 38.8 thousand jobs, which is over the national average on the input-output table. By the business type, port logistics industry will contribute to develop regional economy more than any other ones in Incheon. We suggest business firms in port logistics industry to be induced to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strategically. Until now, development of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are planned to be postponed to 2015 when construction of the berth facilities, the access sea routes and the hinterland highways are completed. We suggest to invest more public fund, to induce the private capital, and then, to develop the logistics complex in Incheon New Port earlier in an appropriate sca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