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이해

Search Result 2,95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북한 지리학 연구 동향에 대하여 -지질과 지리(1960-2000)학술지를 중심으로-

  • 이기석;이옥희;최한성
    • Proceedings of the KG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9-24
    • /
    • 2002
  • 북한은 1991년 이래로 나진-선봉의 경제무역지대 설정, 신포 경수로 사업, 금강산 일부 개방 등에 이어 최근에는 신의주와 개성지역의 개방계획을 구체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해당지역을 실제로 방문할 수 있는 기회가 잦아지고 있으며, 북한 지역이해의 필요성도 급격히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북한지역에 대한 지리적 연구는 불가능하였고 지리학의 상호 학문적 교류는 거의 없었다.(중략)

  • PDF

한반도 북부지역의 하천 및 평야 지형 분석

  • 김추윤;홍충렬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38 no.39
    • /
    • pp.34-57
    • /
    • 1994
  • 우리나라의 주민생활을 이해하는데는 먼저 지형지모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되어야한다. 지형지모의 근간이 되는 산세가 가장기본 토대가 되고 이에 따른 하천수계의 상태가 주민생활과 밀접하게 관계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북부지방의 하천수계가 어떻게 흘러가고 있으며, 이들 강과 하천이 어떤 상태이며, 그리고 우리주민생활무대인 평야로 발달시키고 있는가를 분석 한 것이다. 실제로 하천은 침식과 운반 그리고 퇴적 등의 세가지 유수작용을 하고 있으므로 지구표면 각지역에 넓은 생활터전인 평야지역을 발달시켜 주고있다. 이로 말미암아 인류문화의 발전근거가 바로 하천과 평야에 근거되고 있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중략)

  • PDF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in Chonnam Province on the Meteorology Terms in Geography Textbooks of North Korean Secondary School (북한 중등과정 지리 교과서 기상학분야 용어에 대한 전남지역 고등학생들의 이해)

  • Hong, Jeong-Min;Jeong, Young-Kun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7 no.1
    • /
    • pp.15-19
    • /
    • 2006
  • In this study, the meteorology terms in the geography text books of North Korea which includes all of the meteorology educational content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earth science text books in South Korea. Forty science terms which are the same meaning but composed of different words are picked up to investigate the degree for 89 high school students in Chonnam province to perceive the meanings correctly.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is on the average 30% higher in terminology of South Korea textbooks than in those of North Korea. But, students' perceptions on 9 North Korean terms is rather higher compared to South Korean terms. Twenty six (83.9%) terms which are difficult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erceive correct meanings are those lately composed of North Korean native words. Most of meteorology terms in South Korean textbooks are derived from the Chinese characters or imported from foreign language terms are easier for high school students to perceive correct meanings than those of North Korean terms derived from North Korean native language.

Research on Diagnosis of Regional Science Culture and Plans for Improvement: Exploratory Case Study of Gyeonggi Region, Korea (지역 과학문화 현황 진단과 개선방안: 경기도 지역에 대한 탐색적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Lee, Jihoon;Lee, Yeonhee
    •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 /
    • v.16 no.1
    • /
    • pp.230-251
    • /
    • 2013
  • This research aims to diagnosis regional science as culture and propose plans for improvement.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a framework for analyses presented by existing literatures. Science culture is divided into two dimensions(individual and social), Each dimension is expected to represent citizen literacy of and regional infrastructure of science culture respectively. Gyeonggi region of Korean metropolitan area has been analyzed for the case study. As a result of the case study, the level of science culture of Gyeonggi region is weak compared with others areas. To improve, we propose some plans such as budget extension, long-term view on investments, strengthen network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regional science culture.

  • PDF

An Action Research for the practical construction of the constuctivist geographic education II (구성주의 지리교육의 실천적 구성을 위한 현장 연구 II)

  • 송언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6 no.2
    • /
    • pp.141-160
    • /
    • 2001
  • 본 논문은 지리교육의 통합을 위한 논리적 토대와 준거틀을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통합의 구성원리 제시를 목적으로 하고 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새로운 지리교육이 삶과 삶의 터전을 위한 것이라면, 지리교육은 삶의 통합적인 모습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쪽으로 가야 한다. 2) 지리교육과정의 통합은 지역을 중심으로, 그 속의 지리적 현상을 주제로 간학문적.초학문적 통합의 장점이 조화된 통합 방식이 가장 적절하다. 3) 지역 중심의 주제를 통한 통합지리교육의 주목적은 학습자들이 자신들의 삶의 터전 속에 내재된 지리적 의미를 찾아 해석하고 이해하는 것이며, 부차적으로 이 과정에서 관련된 지리적 지식을 능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4) 통합지리교육은 지역화 지리교과서 편찬으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 PDF

Basic Concepts in Geographic Education: The Estimation by Secondary Geography Teachers and the Quest for Reformation (지리교육의 기본 개념: 지리교사들의 인식과 재정립 방향의 모색)

  • 이영민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3
    • /
    • pp.281-293
    • /
    • 1999
  • 이 연구는 개념 및 개념학습의 의미와 가치를 평가해 보고, 기존의 지리교육 기본 개념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여 현장 교사들의 기본 개념 인식과 비교한 후, 향후의 지리교육 내용 구성의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지리교육의 개념은 지리적 현상의 작동 과정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개괄적인 관념으로서 관련 지식들을 인지구조 속에 붙들어 매어주는 역할을 한다. 현장교사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기본개념은 인간-자연관계, 입지, 지역, 지도화, 지역적 차이, 문화 등이며, 이는 전통지역지리학에서 강조되어 온 개념들이다. 반면에 지역적 결합, 공간 및 공간관계, 장소, 지구사회, 이동 등의 개념은 교사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개념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분석과 관련하여 주의를 기울여야 할 점은 지리학과 지리교육의 기본개념을 무차별적으로 혼용해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학문적 성과와 교육적 성과는 다른 것이며, 이에 맞춰 지리교육의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구체적인 하위개념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PDF

강원지역 강우유출 비점오염 발생 및 관리 방안 소개

  • Hong, Eun-Mi;Im, Gyeong-Jae;O, Seung-Min;Kim, Dong-Jin
    • Water for future
    • /
    • v.54 no.2
    • /
    • pp.46-51
    • /
    • 2021
  • 2021년도부터 제3차 비점오염원관리종합대책이 시행되고, 정부 부처 물환경관리 대책도 유역관리중심 강우유출수관리 중심을 전환되고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관리에 대한 정책 변화 발 맞추어 원주지방환경청에서는 지역거점형 「비점오염관리 연구·지원센터」를 설립하고, 강원지역 한강 상류 수계에 분포하고 있는 고랭지밭에서 배출되는 흙탕물 발생 저감을 위한 다양한 발생원 관리 비점오염 저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외에도 강원도 지자체 및 이해관계기관에서는 흙탕물 저감 교육 및 거버넌스 활성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강원지역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통해 향후 유역단위 흙탕물 저감 방안 마련과 상하류간 이해 증진, 민원 해결, 그리고 비용·경제적 실효성 있는 문제 해결을 기대해 본다.

Regional Resilience and Placeness for Sustainable Growth : Searching for an Alternative to Regional Competitiveness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지역회복력과 장소성 : 지역경쟁력의 대안 모색)

  • Lee, Wonh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3
    • /
    • pp.483-498
    • /
    • 201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onceptualization and application of new concept of regional resilience with case study in Korea in order to promote more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while problematizing dominant regional competitiveness concept in the current regional development circle under the condition of stagnant growth and ever-existing crisis in these day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paper found out that regional resilience is a useful concept both to understand dramatic regional changes and to promote new reg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urthermore, the study formulated basic research topics and issues for regional resilience through reviewing existing research outcomes on the measurement and factors of regional resilience. Through case study of two macro city-regions in Korea,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regional resilience patterns and processes are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place and its scale and that both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 formed in a path-dependent way and regional competitive characteristics are all significant to understand the regional resilience patterns and processes.

  • PDF

The Contents Construction for Learning a Region (지성에 대한 학습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윤옥경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9 no.1
    • /
    • pp.153-168
    • /
    • 2004
  • This study begins with the interests of the problems in learning a region under the Korean National Curriculum in geography field and the perceptions on the region which affects students 'formation of regional concept.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nd problems in learning a region and to construct a new content for learning a region to improve the current problem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cessary for student to establish a clear concept on a region in order to effectively learn a region. Therefore, this study reviews how concepts on a region have changed and selects important elements in learning a region by considering a level of students' understanding. The important elements selected in this study are the definition of a region, the formation of a region, and the system of a region. By learning a real region established as a 'region for instruction' of a medium scale, students can reach an appropriate level of meaningful understanding of a region. This study found that an appropriate selection of scale in choosing the extent of a region was critical in success of effectiv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