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 마케팅

Search Result 682,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학교도서관 서비스 체제 강화를 위한 마케팅 전략의 적용)

  • Kim, Jong-Sung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2
    • /
    • pp.373-397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marketing strategies for school library. The writer divided marketing environment of school library into macro-external environment, micro-external environment, substantial environment, and operational environment. And analyzed characteristics of four target audiences-school administrator, teachers, students, and parents and local society-for school library marketing and suggested approach strategies to each target audiences. Four communication strategies of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for effective marketing are discussed ; administrative communication, behavioral communica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social communication.

  • PDF

What Determines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in Global Marketing Program?: An Empirical Study with Contingency and Resource-based Views (글로벌마케팅의 표준화-현지화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상황적응론 vs. 자원기반 관점 중심으로)

  • Han, C. Mi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4 no.2
    • /
    • pp.229-248
    • /
    • 2010
  • This study is intended to empirically investigate determinants of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in global marketing programs for Korea firms. Our study has two main focuses. First, our study takes a global perspective instead of a binational, i. e., home vs. foreign perspective. Second, we accommodated two conflicting veiws - contingency and resource-based views in explaining determinants of global marketing strategy. As such determinants, we considered global market dynamism and complexity from a contingency view and global marketing assets from a resource-based 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128 Korean firms engaged in global marketing. Our study found that Korean firms with global assets tend to engage in highly standardized global marketing programs. On the other hand, global market dynamism and complexity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with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vs. adapt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a resource-based view may be more powerful than a contingency view in explaining global marketing strategies of Korean firms.

동서지역 특성에 맞는 이벤트 활성화 방안

  • Kim, Yeong-Gu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63-77
    • /
    • 1999
  • 지방자치단체별로 특성화된 이벤트의 개발은 지역사회의 경제 문화 발전에 많은 영향을 끼치면 또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인해 그 시너지효과는 더욱 커진다. 지역이벤트를 개최목적과 지역특성반영정도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벤트개최목적을 주민공동체의식함양과 지역경제활성화로 나누고, 또한 이벤트의 내용이 지역특성을 반영하는 정도에 따라 분류하여 이벤트의 형태를 4가지로 나누었다. 지역주민공동체의식함양을 목적이며 지역단위특성이 있는 이벤트를 지역고유이벤트라 하였고, 이는 지역의 전통문화 또는 지역의 지리적특성 등을 살리면서 지역주민의 공동체의식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이벤트이다. 반면에 같은 목적을 가지면서도 지역특성이 반영되는 정도가 낮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이는 체육대회 등 순수 공동체의식제고에 목적을 둔 이벤트이다. 또한 문화적 요인 등 뿐만 아니라 지역산업의 특성을 지니면서 지역경제활성화를 목적으로 하는 이벤트가 있을 수 있고, 동일한 목적을 지향하지만 지역단위특성을 반영하는 정도가 낮은 이벤트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과 전남에서 실시되고 있는 이벤트들의 현황을 보고, 동서지역 특성을 살핀 다음, 동서지역 특성에 맞는 이벤트 개발방향을 모색하였다. 경남과 전남은 각기 독특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수려한 한려해상, 지리산, 섬진강과 같은 자연자원을 공유하고 있으며, 또한 전남과 경남 공히 넓은 평야를 중심으로 하는 쌀농사라는 공통점이 있고, 그리고 전남에는 제철, 석유화학 등 기간산업이 경남지역에는 중공업 산업들이 발달해 있다. 이러한 요인들을 결합하여 양지역의 특성을 살리면서 효과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이벤트 개발방향이 모색되었다. 또한 충무공 이순신, 장보고, 사명대사, 허준과 같은 역사적 인물들이 동서지역을 넘자들면서 활동을 하였는 바 이를 이벤드화 하는 방안도 모색되었다.

  • PDF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of Public Libraries - Focused on New York Public Libraries - (공공도서관 마케팅 전략 - 뉴욕 공공도서관 사례를 중심으로 -)

  • Lee, Yong-Ja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3 no.4
    • /
    • pp.113-137
    • /
    • 2012
  • This study aims to provide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public librar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ocused on four public libraries in New York, USA, which have been providing the most excellent library services on the world. And this study examined what efforts these libraries have been mak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and information needs of customer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by literature review, participant observation at the public libraries in New York, and gathering law material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the librarians and related professionals in New York and Korea were also proceede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management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Goryeong-gun's Regional Image and Its Improvement-Policy Agenda (고령군의 지역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과제)

  • Yim, Seok-Hoi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14 no.4
    • /
    • pp.309-327
    • /
    • 2008
  • Formation of positive regional image is critically important in place marketing for regional development. This article considers Goryeong-Gun's policy agenda for regional development, analyzing its current regional image. In recent years, Goryeong-Gun has established its positive regional image of Daegaya in virtue of Daegaya Experience Festival. It should be highly evaluated. But, it has also some problems based on a certain local history or not supported by proper brand, slogan and logo to promote the image. In this point, Goryeong-Gun needs to rethink planning strategies related to Daegaya regional image. If necessary, Daegaya regional image would be expanded on the base of general value system.

  • PDF

가전산업의 발전전략 연구 - 동서지역 백색가전 제조업의 지역군집 가능성을 중심으로 -

  • Choe, Seok-Sin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3
    • /
    • pp.39-62
    • /
    • 1999
  • 본 논문은 영 호남 양 지역의 백색가전제품(냉장고, 세탁기 두 제품에 한정함)제조기지에서 출시되는 제품의 원가분석을 통해서 강한 원가우위를 유지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에 대해 먼저 양 지역의 산업군집(regional cluster)의 형성요인, 발전요인 및 경쟁력 현황을 1차, 2차 자료의 수집을 통해 분석하고 가용자료의 한계속에서 제품별 원가구성을 도시하여 비교하였다. 위 두 분석의 결과를 가지고 가용전략을 도출하였다. 글로벌 경쟁속에서 지속적인 비교우위는 점차 멀리 떨어져있는 경쟁자들이 대적할 수 없는 지방적인 것, 그것이 지식이건 관련성이건 아니면 개인 및 집단의 성취동기이건 간에, 그 내부에 놓이게 된다. 양 지역 가전산업의 발전전략으로 재료비 비중의 혁신적 절감방안(신소재 개발 R&D 추구), 국내외 관련산업과의 전략적 제휴, 고유의 우위요소 개발, 지역군집 또는 집적효과의 이용, SERM모형의 대입, 품질원가제도의 강화 등을 연역 귀납하였다.

  • PDF

City Marketing Strategy using City Identities -Focus on the Application of Modern Architectures- (도시 정체성을 통한 도시마케팅 전략 도출 -근대역사물의 활용 사례를 중심으로-)

  • Seo, Yong-Mo;Chun, Myung-Hwan;Kim, Hyung-J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6
    • /
    • pp.297-306
    • /
    • 2010
  • A city is the space which has a various historical experiment and memories. From thes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regional competitions through the introduction and settlement of a local self-government have been important in city marketing. For city development, a serial activation policies are come and in this process the native history and cultures have recognized as the core tool of cities. For possession of city competition, we have developed the cities' tangible and/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and make full use of a attractive asset. The city identity is established and the opportunity of a special space is made. This city identity has been dependent on spending time. We suggest the strategy for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ity image through the historical element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 for the promotion of publicity activities. The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the modern architectures a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element promote the city image and build the position of city identity. We suggest the city marketing application strategy for the implication on the sustainable reproductive city.

동서 농산물 협력체계 구축 방안

  • Lee, Sang-Hak
    • Journal of Global Scholars of Marketing Science
    • /
    • v.2
    • /
    • pp.1-16
    • /
    • 1998
  • 경남 및 전남지방은 산업에 있어서 농업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큰 지역이다. 두 지방의 농업의 특성은 큰 차이는 없으나, 전남 지역이 농가인구, 호당 경지면적이 넓다. 영농 형태별로는 전남 지역이 수도, 전작의 비중이 크며, 경남지역은 과수, 채소, 화훼, 축산 등 소득작목의 비중이 높다. 농업기반에 대하여 보면, 농업진흥 지역비율은 경남 53.7%, 전남 64.8%이며 수리답율은 81.9% 76.1%, 경지정리율은 76.1%, 68.4%로 경남지역이 유리한 기반을 갖고 있다. 작목별 특화도를 보면 경남 지역은 맥류, 서류, 앙파, 마늘, 감, 화훼류 등이 높으며, 전남 지역은 맥류,두류, 마늘, 양파, 감, 참깨 등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지역내 수급현황을 보면 경남지역은 미곡, 두류, 무, 배추, 고추,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며, 서류, 마늘, 양파, 배 등이 과잉이고, 전남지역은 대부분이 과잉이며 사과, 포도, 복숭아 등이 부족하다. 지역간 농업협력은 상호 과부족인 농산물의 교역이나 비교우위가 있는 작목에 특화함으로써 서로 이익을 누리는 방안과 타 지역이나 해외 진출에 있어서 공동보조를 취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 빙안으로서는 무엇보다 양 지역농업 및 농민에 대한 상호 이해가 이뤄져야 하며, 이를 전제로, 지역별 비교우위가 분명한 품목에 대하여 상호 우선적으로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상호 교역을 지원하며, 농산물 수급 불균형으로 인한 가격파동을 예방하기 위하여 계획생산, 계획 유통이 불가피한 만큼 농협, 농민단체, 지방정부간의 농업정보의 공유와 조정 채널을 구축하고, 지역간 직거래 활성화하고 서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농산물 장터 등 장소와 기회를 제공하며, 해외수출 시장 개척을 위한 공동 노력, 농업기술의 상호 교류 등이 필요하다.

  • PDF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Using Analysis of Local Currency App User Reviews -Focused on 'Dongbackjeon' and 'Incheoneum' (지역화폐 앱 사용자 리뷰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수립 - '동백전'과 '인천e음'을 중심으로)

  • Lee, Sae-Mi;Lee, Taewo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4
    • /
    • pp.111-122
    • /
    • 2021
  • This study analyzed user reviews of Dongbaekjeon and Incheoneum app, which are representative local currencies in Korea, to identify the positive/negative factors of local currency users, and established a marketing strategy based on this. App user reviews were classifi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based on the star rating, and word cloud, topic modeling, and social network analysis were performed, respectively. As a result, in the negative reviews of Dongbaekjeon and Incheoneum, dissatisfaction with app use and card issuance appeared in common. In positive reviews, keywords such as 'local economy' and 'small business owners' along with satisfaction with 'cashback' appeared. It means that local currency users perceived that their consumption support local economy, and they felt satisfaction in using local currency. Based on the satisfaction/dissatisfaction factors identifi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we identified what needs to be improved and to be strengthened, and appropriate marketing strategies were established. The text mining method used in this study and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meaningful information about local currencies to public officials and marketers in charge of local currencies.

PR페이지 - 한국후지제록스, 제주지점 개설해 지역 마케팅 강화

  • 한국후지제록스
    • 프린팅코리아
    • /
    • v.12 no.4
    • /
    • pp.93-93
    • /
    • 2013
  • 한국후지제록스(대표 우에노 야스아키)는 최근 제주지역 고객의 요구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고 지역영업 강화 및 기술서비스 확대를 위해 제주지점을 개설했다고 밝혔다. 개소식에는 우에노 야스아키 사장을 비롯해 20여 명이 참석해 테이프 커팅식, 발전기원식 등의 기념식을 가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