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주민건강

검색결과 491건 처리시간 0.035초

교정환자의 교정치료 특징이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OHIP)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thodontics Patients' Orthodontics Characteristics on the Living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OHIP))

  • 윤성욱;오나래;정미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250-258
    • /
    • 2014
  • 본 연구는 교정치료 관련인자들이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여 교정환자의 효과적인 건강관리에 도움을 주고자 강원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대상자의 OHIP의 평균은 2.97이며 신체요인 평균은 3.01, 심리요인 평균은 2.93로 교정치료는 심리요인에 더욱 영향을 주며 구강건강영향지수 10항목 중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항목은 평균 2.66으로 '치아형태로 인해 창피한 적이 있었습니까'으로 조사되었다. 일반적인 특성 중 OHIP에 유의하게 영향을 준 특성은 연령, 종교, 직업, 수입, 흡연여부로 나타났다(p<0.05). 연령은 20대 이하가 2.53으로 영향을 가장 많이 주며 직업은 생산/판매직은 2.56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냈다(p<0.05). 수입은 400만원 초과가 2.83, 2.78로 수입이 많을수록, 흡연여부는 흡연자가 비흡연자에 비해 영향을 많이 미치며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교정치료 특징이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건강인지도로 나타났다(p<0.05). 교정치료를 한 이유에서는 '저작 시 불편감'이 2.69, 2.67로 나타났다(p<0.05). 교정기간은 '1-2년'이 2.80, 2.74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교정치료의 후회여부는 '후회한다'가 2.65, 2.60로 조사되었다(p<0.05). 교정치료의 특징과 OHIP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정치료를 하는 이유, 구강건강인지도, 교정치료 후회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환자의 신체적 정신적인 면에서 치료과정에 도움을 주고 또한 건강한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아동·청소년 관련 공공 서비스 이용 분석: 학교급별 차이 (Analysis of Public Service Utilization for Children and Youth : comparison among different age groups)

  • 장연진;서정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53-667
    • /
    • 2020
  • 본 연구는 아동·청소년 관련 시설 및 기관을 이용하는 초, 중, 고 학생들의 이용 실태와 중복 이용 경험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아동·청소년 서비스 전달체계를 제안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있다. 이를 위해, 아동과 청소년이 이용하는 공공 서비스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초, 중, 고 학교급별 차이를 통계 분석과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반 시설(기관) 이용율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난 곳은 주민자치센터, 청소년수련관(수련원), 건강가정지원센터, 보건소, 시청·도청, 군청·구청, 교육청이었다. 복지 시설(기관) 중에서는 위(Wee)센터, 위(Wee) 스쿨, 지역아동센터에서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났다. 네트워크 연결 중심성 분석에서는 초등학생은 보건소, 중학생은 청소년 수련관, 고등학생은 주민자치센터가 가장 높게 나타나, 자체 및 중복 이용자 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Concor를 이용한 구획화 결과에서도 동일한 시설(기관)이라도 학교급에 따라 서로 다른 기관 간 연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아동·청소년 서비스 전달체계의 질적 개선을 위해서, 생애주기적 특성을 고려한 통합 게이트웨이 구축과 개인별 시설(기관) 이용 데이터베이스 개발을 제안하였다.

농촌 지역 중소병원의 가정간호사업소 등록환자의 방문비용분석 (Cost Analysis of Home Nursing Care Patients in Rural Hospital)

  • 김진순;금란;황보수자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4권1호
    • /
    • pp.91-101
    • /
    • 1999
  • 장 노년층 인구증가에 따른 건강문제의 다양화, 주민의 건강 요구증가에 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의료기관 중심의 진료서비스 만으로는 새로운 건강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없으므로 새로운 보건의료 제공 체계가 도입 되기에 이르렀다. 이미 선진국에서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는 가정간호사제도가 우리 나라에서도 입법화되어 1994년부터 병원중심의 가정간호사업이 시범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중소병원에서 실시하고있는 가정간호사업소에 등록되어 있는 환자의 방문비용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1996년 5월 - 1997년 4월(1년간)까지 등록된 102명의 진료기록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균과 분포로 분석하였으며 변수간의 차이점 등은 t - test와 ANOVA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록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자가 44.1%, 여자가 55.9%로서 여자가 높았으며 연령은 60세 이상이 73.5%로서 노인 환자가 많았다. 둘째, 골다공증이 등록환자의 35.3%로서 제일 높았으며 각종 암이 21.6%, 뇌졸중이 14.7%로 나타나 연령과 관계가 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질환특성은 복합질환, 즉 한가지 이상의 증상, 혹은 질환을 함께 갖고있는 경우가 73.5%로서 단순질환 26.5% 보다 높았다. 셋째, 남자 환자의 방문당 평균비용이 47,764원으로서 여자 환자의 46,078원 보다 높았다.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방문당 평균비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과 연령별 비용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질환 특성별 비용은 단순질환이 복합 질환보다 방문당비용이 약간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질환별로는 COPD, 각종 암, 당뇨, 골다공증의 순으로 방문비용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가정간호의 방문비용이 질환으로 병원에서 치료받을 경우 보다 적게 나타나 비용효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제한된 자료를 분석한 것이므로 결과를 일반화시키는데 신중을 기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정간호사제도가 향후 정착되기 위해서는 가정간호 대상질환의 선정, 서비스내용 및 질, 비용효율 및 효과에 대한 평가가 계속 실시될 것을 제안한다.

  • PDF

현장관리중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방문건강관리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인식에 대한 효과 (Effects of the Field Management Training Program for Home Care Services : Understanding and Professional Competence)

  • 김재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5권2호
    • /
    • pp.111-123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맞춤형으로 강화된 방문건강관리를 시작하면서, 기존 방문보건사업의 문제점으로 지적되어왔던 인력활용에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사업관리자들을 대상으로 사전 실시한 현장중심교육훈련에 대해 부분적으로나마 평가를 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평가결과가 교육훈련 전반에 대해 해석되기에는 무리가 있겠으나, 가장 중요한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측면에서 평가를 시도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연구결과 이해도 및 업무수행능력 모두 교육훈련 전 후에 의미 있는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의 업무관련 경력 및 간호직으로서의 전문성 여부와는 상관없이 교육훈련의 효과가 나타났으나, 교육훈련을 실시한 권역별로는 효과의 차이가 있었다. 한편 사업에 대한 이해도는 업무수행능력에 원인적 연관관계가 있었다. 이런 자료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현장관리중심으로 이루어진 방문건강관리 교육훈련프로그램의 운영 및 평가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실무현장관리에 초점을 둔 본 교육훈련 프로그램은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를 지속적으로 운영하되, 교육훈련 2차, 3차에 대한 평가 결과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강화방안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새롭게 구성된 사업이 시작되기 전에 이루어진 교육훈련에 대한 평가로, 지속적인 교육훈련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보일 것으로 확대 해석하는 데는 무리가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한편 사업이 정착되면서 교육훈련은 신규 관리자와 기존관리자를 구분하여 이원체계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인데, 이들 각각에 적용될 별도의 평가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모든 권역에서 동일한 수준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그 전에 모든 권역을 분석대상에 포함시키고 다른 측면에서도 교육효과의 차이를 평가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의 효과가 권역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상자 수등의 한계로 전체 권역을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은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이다. 따라서 교육훈련도 맞춤형 서비스에 걸맞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의 환경 및 주민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서비스가 교육훈련 내용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국 규모의 일률적인 교육훈련 외에, 지방 단위의 교육훈련이 필요할 것이다. 넷째, 현재 3~4개의 FMTP가 국가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모두 공공보건의료기관의 보건의료인력이라는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교육훈련내용의 큰 틀은 지역보건의료이다. 따라서 교육내용의 상당 부분은 겹치기 마련이며, 동일한 대상자들이 여러 FMTP에 중복 참가하고 있다. 국가적으로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될 수 있으며, 거의 의무적으로 참가자를 보내야 하는 보건의료기관은 업무수행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 교육훈련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한 후 이에 근거하여 교육대상자를 선정하고, 전체 교육훈련과정에 일괄적으로 참여하는 식이 아니라 각자 필요한 부분에 선별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보장해야 할 것이다. FMTP 경험여부만 확인한 본 연구의 결과가 위의 제언에 대한 근거자료가 되지는 못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FMTP 횟수가 교육훈련의 효과가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한편, 업무수행능력을 구체적으로 조사하지 못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이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보건의료인력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평가에 대한 연구 및 논의가 활발히 이루어져, 사업의 효율성뿐 아니라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의 형평성 제고에 더 큰 기여할 수 있기를바란다.

공단지역 토양 중 환경오염물질 농도 분포 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 Contaminant at Soil in an Industrial Complex Area)

  • 정종현;조상원;임현술
    • 청정기술
    • /
    • 제18권2호
    • /
    • pp.200-208
    • /
    • 2012
  • 본 연구는 공단지역 주민들의 환경오염물질에 의한 건강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일환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공단지역 및 대조지역에 대한 토양 중의 환경오염물질과 다환방향족탄화수소화합물(PAHs)의 농도수준 및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시료채취는 공단지역과 대조지역의 토양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토양 중의 중금속, VOCs(휘발성 유기화합물), PAHs 및 PCB(폴리클로리 네이티드비페닐) 등 토양오염물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직접노출군에 속하는 가까운 거리의 송도동, 해도동, 제철동 등은 거리가 먼 장기면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났다. 특히 배출원 주변의 직접노출지역(제철동)이 대조지역(장기면) 보다 오염물질의 농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토양 중의 중금속 농도는 제1지역 우려기준에 비해 대체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아연은 전 지역이 제1지역 우려기준(300 mg/kg)의 약 20.8~58.9% 수준으로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불소는 모든 지점에서 기준치 이하로 나타났으나, 직접노출지역인 제철동의 경우 제1지역의 우려기준(400 mg/kg)의 약 74% 수준으로 조사되어, 불소에 대한 모니터링과 배출원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유기인, PCB, 페놀류와 VOCs인 벤젠, 톨루엔, 에틸벤젠, 자일렌 등은 분석기기의 검출한계 이하로 나타났고, 석유계총탄화수소(TPH)의 경우에는 송도동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토양 중 PAHs 화합물의 농도 수준은 18.71~1744.59 ng/g이었으며, 발암가능물질 6종에 대한 PAHcarc의 농도수준은 6.54~695.94 ng/g을 나타내었다. 송도동에서 가장 높은 농도수준을 나타내어, 직접노출지역인 공업단지로부터 근거리 지점에서의 PAHs 농도가 원거리 지점인 간접노출지역보다 비교적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석유화학공단과 화력발전소 주변지역 주민들이 인식하는 악취발생과 건강영향의 관련성 연구 (Health Effects of the Offensive Odor in Residents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Industries Complex Area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Plant)

  • 이진헌;강희숙;김병빈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3-91
    • /
    • 2007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ealth effects of offensive odor in residents living near the petrochemical industry complex area(PICA) and the thermoelectric power plant(TPP) by using questionnaire. Residents who felt the offensive odor were 58.3% at PICA, 50.9% at TPP and 24.4% at classical fishing and agrarian villages (CFAV)(p=0.000). People who answered that the offensive odor was sever at CFAV were 95.2% only on summer, but at PICA and TPP, were 44.1% and 57.3% on Spring, 62.4% and 68.8% on Summer, 22.0% and 31.7% on Autumn, and 21.7% and 25.7% on Winter, respectively. Average days that the odor occurred were 4.4 days/month at CFAV, but 12.0 and 9.5 days/month at PICA and TPP, respectively. People who experienced the sleep disturbance were 28.0% and 27.1% at PICA and TPP, respectively. The most frequently subjective symptoms were headache(0.953), frequently sneezing(0.825), itchy eyes(0.766), and stimulating eyes(0.709) at PICA, and headache(1.082), itchy eyes(0.931), itchy skin(0.826), and frequent sneezing(0.674) at TPP, respectively. At PICA and TPP, the occurrence rates of diseases in respondents' families were 15.4% and 15.6% for asthma, 12.4% and 9.2% for respiratory diseases, 27.8% and 31.2% for skin diseases, and 9.1% and 6.9% for nervous diseases, respectively. In conclusion, many residents who living near the PICA and TPP experienced the offensive odor during four seasons, especially high on summer, the most frequently subjective symptoms such as headache, itchy and stimulating eyes, frequently sneezing, and some diseases among their families such as asthma, respiratory diseases, skin diseases, and nervous diseases.

인구집단의 비교를 통한 폐금속광산 지역 주민의 카드뮴 노출수준 및 건강영향평가 (Health Impact Assessment for Cadmium Exposure: Comparison of Residents around Abandoned Mines with the General Population)

  • 서정욱;김병권;홍영습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297-311
    • /
    • 2020
  • Objective: We compared the level of blood cadmium exposure with health impacts by using data from a survey of residents near an abandoned mine and a national health survey. Methods: For this study, we used data from 7,046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Health Effects Survey of Abandoned Metal Mines (AMS, 2008-2011) and 6,871 individual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V-VI (KNHANES, 2008-2013). To evaluate the health impacts, the quartiles (S1 to S4)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blood cadmium concentration, and then the odds ratios of S2 to S4 over S1 for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s of renal function, blood pressure, and bone density were compared. Similarly, the odds ratio of AMS over KNHANES was confirmed. Results: In the AMS, adjust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the geometric mean of blood cadmium concentration was 1.34 ㎍/L,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KNHANES 1.22 ㎍/L (p<0.001). In the integrated data of AMS and KNHANES, the estimated odds ratio of S4 over S1 for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was found to be 1.70 for serum creatinine, 1.71 for hypertension, and a T-score 2.02 for the tarsal bone. They were all statistically significant. Conclusion: Resident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had a higher blood cadmium concentration than the general population, and the odds for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s were higher for some health indicators. Continuous biomonitoring should be conducted for vulnerable areas such as around abandoned metal mines, and measures to reduce cadmium exposure and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are needed.

허베이 스피리트호 유류유출사고 지역주민의 급성건강영향 (Acute Health Effects of the Hebei Oil Spill on the Residents of Taean, Korea)

  • 이철헌;강영아;장규진;김창훈;허종일;김재연;이종구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66-173
    • /
    • 2010
  • Objectives: On December 7, 2007, the Hebei Spirit oil tanker spilled out 12,547 kl of crude oil on the Yellow Sea 10 km away from the cost of Taean Province, Korea. As the coastline has been contaminated, local residents have been exposed to crude oil. Because the residents were showing many symptoms, we investigated the acute health effects of this oil spill on them. Methods: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tudy consisting of the heavy and moderately oil soaked area in Taean and the lightly oil soaked area in Seocheon. Ten seashore villages were selected from each area, and 10 male and female adults were selected from each village. We interviewed the subject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on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the cleanup activities, the perception of oil hazard,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e physical symptoms. The odds ratios and 95% confidence intervals were analyzed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djusted for age, gender, education, smoking, the perception of oil hazard and anxiousness. Results: The more highly contaminated the area, the more likely it was for residents to be engaged in cleanup activities and have a greater chance of exposure to oil. The indexes of anxiety and depression were higher in the heavy and moderately oil soaked areas. The increased risks of headache, nausea, dizziness, fatigue, tingling of limb, hot flushing, sore throat, cough, runny nose, shortness of breath, itchy skin, rash, and sore eyes were significan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exposure to crude oil is associated with various acute physical symptoms. Long-term investigation is required to monitor the residents' health.

경기도 시화공단 지역주민의 악취오염과 관련된 건강영향 평가 (Health Effects from Odor Pollution in Sihwa Industrial Complex)

  • 조수헌;김선민;주영수;김재용;최성우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32권4호
    • /
    • pp.473-481
    • /
    • 1999
  • Objectives: In recent days, the problem of odor pollution in community near Sihwa Industrial complex, Kynuggi Province is becoming of significant public concern. We have investigated the health effects of the Sihwa residents from odor pollution comparing with other less polluted areas. Methods: The Ansan and Kuri Cities were selected as control areas. The parents of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se three areas were surveye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twice, Nov 1997 and Jure 1998 each. As a exposure index, the ambient air concentrations of five major air pollutants(particulates, $O_3,\;SO_2,\;NO_2$, CO) and subjective odor perception were used. We have focused health outcomes such as the prevalence of nonspecific irritant symptoms, respiratory disease among family members and the score of qualify of life(QOL). Results: Although the mean concentrations of major air pollutants except particulates were similar or lower in Sihwa than other areas, the odor perception rate and the monthly odor perception days were significantly higher. It suggested that odor producing chemical compounds are the major source of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There were higher prevalence rates of nonspecific irritant symptoms and respiratory disease among family members in Sihwa than other control areas. The QOL score was also lower in Sihwa. The odor perception proved to be a most important factor in reporting adverse health effects and lowering the QOL score. Conclusion: The residents living near Sihwa industrial complex were suffering from more adverse health symptoms and poorer QOL status than control areas. And it may be due to environmental odor pollution from industrial complex. Therefore,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for monitoring of the responsible chemicals emitted from industries.

  • PDF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건강결정 관련요인 (Factors Affecting Health of the Rural Residents)

  • 손동국;이규식;박종구;고상백;진기남;남은우;이해종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1-1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factors affecting health of the rural resident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587 people aged from 40 to 70 in the year 2005-2006, Wonju City and Pyeongchang County, Gangwon-do, Korea. The theoretical model adopted in this study was the Lalonde's health field(human biology, environment, lifestyle, and health care organization). SF-12 was used to measure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category of human biology, men were healthier than women. Age and BMI showed negative relation to health status. Income,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showed positive relation to health status in the environment category. In the category of life style, stress showed negative relation to health status. Medical expenses showed negative relation to health status in the category of health care organization. After converting SF-12 score to percentage score, the health determinants portions were 47% lifestyle, 26% environment, 18% human biology and 9% health care organiz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life style, environment and biology are main factors in determinants of health. Especially stress in the life style category is more focused for the community health promotion. We also may be able to improve income,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in the environment category with self empowerment efforts, community supports and government helps. Finally greater attention must be payed to life style in the future health planning and budget allocation priority in the healthcare a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