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연구

Search Result 45,505, Processing Time 0.062 seconds

항공산업 특성화를 통한 지역 경쟁력 제고 방안

  • Lee, Gang-Seok
    • The Journal of Aerospace Industry
    • /
    • s.69
    • /
    • pp.28-58
    • /
    • 2007
  • 최근 지역 경제주체들의 혁신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지역혁신체제 구축을 통해 지역의 국제경쟁력 제고가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역혁신의 원동력은 지역에서 성장가능산업의 발굴 및 활성화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동인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며 지역 전략산업 및 지연산업 중심의 산학연관의 지역혁신체제 구축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지역의 혁신역량 분석을 통한 산학연관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지역산업 육성 및 활성화를 위해 우리나라의 성장동력인 항공산업의 특성화를 통해 지역에서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 PDF

Evaluation of Artificial Recharge Characteristics by using the Methods of Ditch and Injection well (Ditch상 인공주입방식을 이용한 인공함양 및 주입량 평가 연구)

  • Lee, Young Dong;Shin, Dong Min;Kim, Byeo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5-25
    • /
    • 2020
  • 최근 기후변화와 함께 한국은 매년 가뭄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피해지역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가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지하수자원을 확보할 수 있는 인공함양 및 취수시설의 실증시설을 구축하여 상시 가뭄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연구지역의 소규모 평탄지 하천 중·상류지역 충적층에 인공함양을 통해 가뭄대책 마련을 위한 인공 주입시설을 설치하고, 대수층 발달이 양호한 하류지역에 수평집수정을 이용한 취수시설을 설치하여 취수-공급의 지속적인 순환방식의 통합적인 인공주입·취수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지역은 가뭄 및 상수도 미 보급지역으로 인해 제한급수가 이루어지고 있는 충청남도 홍성군 운곡리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지역 주 대수층인 충적층은 시추조사 결과 지표하 0.5~12.3m에 분포하며, 실트질 모래 및 실트질 자갈로 구성되어있다. 대수층의 수리성은 양수 및 회복시험결과 3.79×10-4~7.71×10-3(평균 3.13×10-3)cm/sec로 인공함양을 위한 지반 특성으로 양호한 수리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지역의 지층분포 및 수리지질특성을 고려하여 현장시험 대수층에 인공함양 방법 중 Ditch 및 Ditch+injection Well을 설치하고 공경, 여재등 여러인자에 따른 인공 주입에 의한 함양특성과 수위변동 모니터링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토대로 향후 최적의 취수시설을 구축하여 국내 상시 가뭄지역의 대체수자원확보와 용수공급 방안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 (2) Trends and Issues of Regional Research in Major Subfields (한국의 신지역지리학 : (2) 지리학 분야별 지역 연구 동향과 과제)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 /
    • v.22 no.1
    • /
    • pp.1-24
    • /
    • 2016
  • This paper is to consider trends and issues of regional research in major sub-fields of human geography in Korea, following the previous one which dealt with contexts and general trends of new regional geography in Korea since the 2000s. They include historical and cultural geography on place and landscape, economic geography on industrial districts or agglomerated regions (i.e. clusters) and urban (and social) geography on urban networks and differentiation. Even though researchers in sub-fields have used different terms and concepts to identify region, they are in common to relate specificities of region to general processes such as (de)modernization, (de)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to understand region as social and discursive constitution as well as substantive reality, and to give more attention to socio-spatial networks and relationality than territoriality of regions. These common points seem to reflect the emerging trend of new regional geography, and to get rid of existing traditional concept of region. It is suggested that major tasks for conceptualization of region in future research are to overcome dichotomy of speciality and generality, of substantive reality and discursive constitution, and of territoriality and relationality, and that important issues for empirical research on region include regional synthesis from new perspectives, uneven regional development as relational process in and between regions, and producing practice for alternative regions.

  • PDF

Interregional Network and Economical Outcome Analysis of National Innovation Activities (국가 기술혁신활동의 지역간 네트워크와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

  • Yoo, Sun-Hi;Park, Hyun-Woo;Won, Do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0.05a
    • /
    • pp.310-317
    • /
    • 2010
  • 지역별 산업 및 육성을 위해서는 지역 기술혁신 활동을 보다 실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허 통계를 이용하여 지역별, 국가별 혁신 능력을 비교하는 연구는 많이 있어왔지만, 기존의 방법은 주로 출원인(기업)의 본사를 기준으로 행해져 왔으며, 실제 혁신활동이 행해지고 있는 지역을 기준으로 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혁신활동을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발명자의 지역분포 현황과 발명자간의 네트워크를 분석함으로써 특정 기술분야의 인력교류가 지역적으로 어떤 관계를 보이는지를 알아보았고, 이러한 지역혁신이 지역별 경제적 성과와 어떠한 연관성을 갖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2005년 출원된 한국등록특허를 기준으로 내국인이 출원한 특허 전체를 대상으로 한 지역간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분석한 기술혁신활동의 지역간 연계구조와 이후의 경제적 성과를 분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GALDIT in inland coastal area of the norther west coast of Korea (한국 서해안 북부 내륙 연안지역의 GALDIT 적용)

  • Kim, Il Hwan;Kim, Min-Gyu;Chung, Il-Moon;Chang, Sun W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65-265
    • /
    • 2021
  • 해수면 상승과 연안지역의 무분별한 지하수의 이용으로 해수침투는 가속화되고 있다. 해수면 상승과 지하수의 과잉 양수로 인한 연안지역의 대수층은 사용 가능한 담수 지하수자원이 줄어들고 있다. 연안지역의 대수층을 대상으로 해수 침투 영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GALDIT은 index & ranking 방법을 이용한 지하수자원의 해수침투에 대한 취약성 평가 방법으로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을 통해 주제도에 대한 중첩으로 평가 지수를 산정한다. 한국의 해수침투 취약성 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 중 상당수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GALDIT을 이용하여 해수침투에 대한 취약성 평가가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내륙의 연안지역을 대상으로 GALDIT을 적용하였다. 한국의 서해안 지역 중 도심지가 밀집되어 있는 북쪽으로 선택하였다. 연구지역은 인천, 아산, 안산, 김포, 화성, 시흥, 평택, 당진, 오산으로 9개의 행정구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9개의 지역은 모두 제조업이 발달되어 도시화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인구의 유입이 진행되고 있다. GALDIT은 지속가능한 해안지하수를 위한 수자원 계획을 뒷받침하는 평가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국내 기후 및 공간 특성 매개변수를 고려한 가중치 및 평가 기준의 확대 등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How Promoter Background Works for Management Strategies of Cyber Rural Communities: A Comparative Case Study (사업추진배경에 따른 농촌지역정보화 운영전락 : 비교사례 연구)

  • Park, Sang-Hyuk;Kwon, Jin-Tae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 no.1
    • /
    • pp.113-127
    • /
    • 2003
  • 본 연구는 농촌지역정보화 사업의 사례연구를 통해 '민간주도형' 농촌지역정보화 마을과 '정부주도형' 농촌지역정보화 마을간의 다른 추진주체의 운영상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였다. '민간주도형'인 경우, 자생력, 커뮤니티, 다양한 아이디어 창출 등의 측면에서 강점을 보인 반면, '정부주도형'인 경우, 확산속도, 사이트 운영, 하드웨어 보급 등의 측면에서 강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비교분석을 통해 본 연구는 농촌지역정보화의 성공적 운영을 위한 유용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특히 지역정보화 사업을 추진하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지역주민에게 방향설정을 제시해 줄 것이다.

  • PDF

Study on Inundation Analysis of Natural Hazard Area (재해위험지구 침수해석에 관한 연구)

  • Jun, Kye Won;Yeon, Gyu Bang;Jang, Chang Deo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1.02a
    • /
    • pp.202-202
    • /
    • 2011
  • 상습침수지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 등으로 인해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관리하기 위하여 "자연재해대책법"에 의해 지정되는 지구를 자연재해위험지구라 하며 특히 집중호우에 의한 도심지 주변 상습침수지역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해석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삼척시의 상습침수지역인 오십천 주변 자원동일대를 대상으로 수문학적 인자인 강우자료와 지형자료를 조사하고 도시유역 유출해석모형인 XP-SWMM을 적용하여 유출부에서의 본류수심을 고려한 재해위험지역의 하천범람과 내수침수 범위를 산정하였다. 연구지역은 GIS 프로그램인 ArcView를 이용하여 총 16개의 소유역으로 구분하고 총 노드 75개 총 링크 74개를 생성하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2002년, 2003년의 태풍발생에 의해 침수된 지역의 특성을 하류지역의 경우 잘 반영하였으며 상류지역의 경우는 얕은 침수심을 갖으며 좀 더 넓게 침수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Strategies of Building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Focusing on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 Yang, Gi-Geu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9 no.5
    • /
    • pp.249-256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building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to overcome communities destruction and vulnerability caused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in Taean on December 7th, 2007.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we drew problems of approach based on context of community, governance strategy, and community-based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or building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First, when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occurred we have been short of regional study and unreality of regional safety plan. For overcoming this points, we have need of activation of regional study and establishment of regional safety plan based on the bottom-up approach. Second, while the spill has brought a milestone activation of volunteer, we have not still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governance. So we have to establish network-governance to cooperate with government-business-private sector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Third, we argue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networks, social contacts for community-based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Impervious Ratio in Land-use Zone Using Pervious/Impervious Map based on GIS - Focused on Bupyeong-gu Incheon - (GIS기반의 투수/불투수도를 이용한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분석 -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

  • Oh, Seong Kwang;Kim, Kye Hyun;Lee, Chol 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91-191
    • /
    • 2015
  • 무분별한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불투수면이 증가하고 있다. 불투수면은 빗물이 투과하지 못하는 지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불투수면은 강우 시 지면에 있는 유해물질이 그대로 인근 수계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한다. 이와 관련하여 환경부에서는 불투수율 관리를 위하여 2013년에 전국토를 대상으로 불투수율을 산정한바 있으나, 소축척 수준의 시 또는 유역 단위 통계만을 산출하였고 대축척 수준의 소규모 개인 필지 내 조경지역 등을 반영한 불투수율 통계는 현재까지 부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천시 부평구를 대상으로 소규모 필지까지 적용 가능한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 및 활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 현황을 분석하였다.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을 위해 토지피복지도, 수치지형도, 항공사진(25cm급) 등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투수/불투수도를 제작하였다. 투수/불투수도는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제작 지침인 선형 요소의 경우 폭 3m, 면형 요소의 경우 면적 $10m{\times}10m(100m^2)$를 참조하여 제작되어 개별 필지단위의 불투수면까지 확인 가능하다. 이후 용도지역도를 수집하여 GIS 환경에서 투수/불투수도와 중첩하여 용도지역별 불투수율을 산출하였다. 불투수율을 산정한 결과 부평구 전체 불투수율은 64%로 확인되었다. 또한 용도지역도 중분류상 주거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82.1%, 상업지역의 경우 91.7%, 공업지역의 경우 94.1%, 녹지지역의 경우 30%로 확인되었다.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의 경우 불투수율이 90%이상으로 불투수면 관리가 시급하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기존 환경부에서 제작한 투수/불투수도 보다 정확한 불투수면의 공간적 분포 확인 및 불투수 면적 산출이 가능하여 불투수면 우선관리지역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투수율이 높은 지역을 우선 선별하여 저영향개발(LID, Low Impact Development) 및 그린빗물인프라(GSI, Green Stormwater Infrastructure)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특히, 불투수율이 높은 상업지역 및 공업지역에 대해서는 연구 결과의 적극적인 활용을 통한 개선이 요구된다.

  • PDF

Analyzing Typology and Factor Combinations for Regional Innovation in Korea Using fs/QCA (퍼지셋 질적비교분석을 이용한 우리나라 지역혁신의 유형 및 요인 분석)

  • Kim, Gyu-hwan;Park, In Kwon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 /
    • v.34 no.4
    • /
    • pp.3-18
    • /
    • 2018
  • These days, regional innovation draws more attention than ever as a growth engine for regional economies, and governments put a variety of efforts to establish Regional Innovation systems(RISs). In this circumstanc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ypes of RISs and the combinations of the factors influencing innovation performance as measured by patent application. Most of previous works have depended on case-oriented or variable-oriented strategy to classify types of RISs or to analyze the effects on performance of innovation factors, having some limitations: Variable-oriented approaches fail to capture complex combinatory effects of factors, while case-oriented approaches tend to depend on subjective interpretation. This study made use of the recently proposed fs/QCA(Fuzzy-set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ose strategies. Based on the theory of RIS, three factors for regional innovation-input, infrastructure, and network-are used to classify 16 Korean Provinces. The results show that eight types of regional innovation types are identified, and that most of the regions are classified into either IN-type, equipped with high levels of Input and Network, or F-type, with high levels of infrastructure. In addition, applying seven sub-variables of the three factors to the fussy-set combination factor analysis, we examine a combination of factors influencing patent application. The results show that regions with high levels of R&D expense, valid patent, industry-academia cooperation, IP budget, and TLO values, and low IP capital almost always have a high level of patent application. Therefore, for regional innovation, the public sector needs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R & D personnel training. It is also important to for both the public and the private sectors to make efforts to stimulate IP financ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