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를 중심으로-

Strategies of Building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Focusing on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 발행 : 2009.05.28

초록

본 연구는 2007년 12원 7일 태안지역에서 갑자기 발생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재난 지역의 공동체 파괴와 재난취약성에 대한 극복 방안으로서의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지역맥락 접근, 거버넌스 전략, 지역사회 중심 접근 측면에서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재난에 강한 지역공동체 형성 전략 방안을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 시 재난지역에 대한 지역연구의 부족과 지역안전관리계획의 비현실성 등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향후 지역연구의 활성화와 지역안전관리계획의 상향식 접근의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자원봉사의 활성화가 이루어지는 계기가 마련되었지만, 여전히 거버넌스에 기반 한 효율적 재난관리의 문제점이 있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정부-기업-민간 부문의 상호 협력과 협조를 핵심으로 하는 네트워크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야 할 것이다. 셋째, 지역사회 중심의 재난에 강한 공동체를 형성하는데 있어서 사회적 네트워크와 사회적 관계를 의미하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trategies of building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to overcome communities destruction and vulnerability caused by the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in Taean on December 7th, 2007.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we drew problems of approach based on context of community, governance strategy, and community-based approach.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or building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First, when Hebei Spirit oil spill accident occurred we have been short of regional study and unreality of regional safety plan. For overcoming this points, we have need of activation of regional study and establishment of regional safety plan based on the bottom-up approach. Second, while the spill has brought a milestone activation of volunteer, we have not still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based on governance. So we have to establish network-governance to cooperate with government-business-private sector for efficient disaster management. Third, we argue that it is important to build social capital such as social networks, social contacts for community-based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키워드

참고문헌

  1. 노진철, "허베이 스피리트 기름유출사고에 대한 재난관리의 한계", 2008년도 한국환경사회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p.31, 2008.
  2. http://www.chosun.com
  3. 권태호, 양기근, 오금호, 이은애, "지속가능 재난 관리를 위한 지역자율방재조직의 활동프로그램 과 활용방안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 12권, 제1호, pp.107-130, 2008.
  4. D. E. Geis, "By Design: The Disaster Resistant and Quality-of-Life Community," Natural Hazards Review, Vol.1, No.3, pp.151-160, 2000. https://doi.org/10.1061/(ASCE)1527-6988(2000)1:3(151)
  5. CUSEC,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A Community-Based Approach to Hazard Mitigation," The CUSEC Journal, Vol.4, No.1, pp.2-8, 1997.
  6. FEMA, "Planning for a Sustainable Future: The Link between Hazard Mitigation and Livability," pp.1-40, 2000.
  7. D. E. Geis, Creating Sustainable and Disaster Resistant Communities. Working Paper, The Aspen Global Change Institute, 1996.
  8. 신승용, "해양 유류오염사고에 따른 위기관리 거버넌스의 현황과 문제점", 국가위기관리를 위한 사례연구 중간보고자료집, 한국행정연구원, 2008.
  9. 황달기, "지역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일본지역 연구 방법론 모색을 위한 시론", 일본어 문학, 제 22집, pp.477-504, 2003.
  10. 최 협, "한국에 있어서의 지역연구의 현황과 과제-인류학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국제학논총, 제2집, pp.171-183, 1997.
  11.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지역농업클러스터자원조사-시군별집계자료,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05.
  12. 위평량, 김겸훈, 김혜선, 손영수, "경제적 관점에 서의 해양오염피해지역 연구-태안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방자치연구, 제10권, 제3호, pp.193-215, 2008.
  13. 이평주,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로 인한 태안지역 생태계와 지역공동체 변화와 앞으로 의 과제", 2008 태안환경국제포럼 초청세미나 자료집-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pp.136-150, 2008.
  14. 박태순, "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 사고 이후 태안사회 갈등의 전개과정과 특징", 2008 태안환 경국제포럼 초청세미나 자료집-허베이 스피리트호 기름유출사고가 태안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 pp.151-174, 2008.
  15. 이명석, 오수길, 배제현, 양세진, "재난대응 거버 넌스 분석-민간자원봉사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보, 제17권, 제3호, pp.163-188, 2008.
  16. 이시재, "태안 사고와 자원활동, 그리고 시민운동", 참여사회, 2월호, pp.16-19, 2008.
  17. 양기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체계 효율화 방안", 공공정책 21, 4월호, pp.82-83, 2008.
  18. 양기근, 강창민, 양덕순, "지역학의 연구동향과 정책적 과제-경남학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비교 정부학보, 제11권, 제2호, pp.237-264, 2007.
  19. B. World, "Social Capital", Available online at: www.worldbank.org/website/external/topics/extsocialdevelopment (accessed 18 August), 2006.
  20. G. M. Mathbor, "Enhancement of community preparedness for natural disasters: The role of social work in building social capital for sustainable disaster relief and management,"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50, No.3, pp.357-369, 2008. https://doi.org/10.1177/00208728070760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