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사회주택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8초

주택파손 피해자의 심리적 충격 변화에 관한 추적조사 연구 (Longitudinale Study on the Psychological Trauma of Victims of Housing Damage)

  • 손희주;최열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1호
    • /
    • pp.119-129
    • /
    • 2023
  • 자연재해는 지역사회 전반에 극심한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다수의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충격을 극복하지만, 일부는 PTSD와 같은 장기적인 정신적 피해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재난과 심리적 충격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여전히 부족한 수준이다. 자연재해는 시설 붕괴, 인명피해 등 다양한 피해를 야기하기에 피해자가 경험하는 피해의 종류가 다르며, 경험하는 상실의 정도에도 차등이 있다. 특히 자연재해로 인한 가장 흔한 피해인 주택파손의 경우 피해자가 경험하는 충격은 매우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연재해로 주택이 파손된 가구가 경험하는 심리적 충격을 확인하고, 추적연구를 통해 심리적 충격이 변화하는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주택이 파손된 경우 심리적 충격이 더 크게 나타나 주택의 파손으로 인한 심리적 충격이 다른 피해로 인한 충격보다 더 큰 것을 확인했다. 또, 재난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리적 충격이라고 할지라도 불안, 우울, PTSD 그리고 전반적인 심리적 충격 등 그 성격에 따라 변화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보건의료 서비스는 모든 변수에서 유의하게 분석돼 재난 이후 안전과 관련된 기본서비스의 제공이 가장 필요로 된다고 해석된다. 또, 재난구호서비스 중 심리 안정 지원은 불안, 우울과 같은 단기적인 충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심리적 영향이 가중된 PTSD에서는 오히려 역효과를 보여 심리지원체계의 변화 및 발전이 요구된다고 할 수 있다.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가 도시공간이용에 미치는 영향 (Impacts of Social Distancing for COVID-19 on Urban Space Use in Seoul)

  • 박홍일;이상경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57-467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COVID-19 확산에 따른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도시민들의 공간이용행태에 미친 영향을 서울시 생활인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생활인구는 서울시와 KT가 공공빅데이터와 LTE시그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계한 특정시점, 특징지역에 존재하는 모든 인구이다. 커널밀도추정과 공간자기상관을 이용하여 COVID-19 유행 전후인 2019년과 2020년의 주중 주간생활인구를 분석한 결과, 2019년과 2020년의 생활인구분포는 전반적으로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이는 정부의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COVID-19 확산을 통제하면서도 어느 정도 정상적인 활동을 가능하게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2020년과 2019년의 차감생활인구에 대한 분석 결과는 미시적 차원에서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상업시설과 업무시설이 밀집한 지역에서는 주간생활인구가 감소하였으며 주거지역에서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COVID-19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가 공간적으로 균등하지 않은 영향을 발생시켰다는 것을 의미한다. 공간회귀분석을 통해 지역, 토지이용, 경제, 교육, 접근성 특성의 생활인구 변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상업과 업무시설 밀도가 높을수록, 규제를 받는 업종들과 비대면 수업을 하는 학교와 대학교가 많을수록 주간생활인구가 더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재택근무와 야외활동 증가로 주택과 공원이 많을수록 주간생활인구가 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주거단지 사업모델구상 및 타당성 분석 (The Business Model & Feasibility Analysis of the Han-Ok Residential Housing Block)

  • 최상희;송기욱;박신원
    • 토지주택연구
    • /
    • 제2권4호
    • /
    • pp.453-461
    • /
    • 2011
  • 주택에 대한 수요가 다변화되면서 최근 한옥주택 및 한옥주거단지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에 한옥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한 정비사업 뿐만 아니라, 대규모 택지개발지구등에서도 한옥주택과 주거단지 개발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본격적인 사업화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LH가 공급하는 신도시의 단독주택용지와 특성화용지등을 대상으로 하여 한옥의 잠재적 수요계층을 바탕으로 사업모델을 도출하고 사업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여 향후 사업화를 위한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기존에 검토되었던 고급형 타운하우스 형태의 한옥주거단지는 입지선정, 수요불일치 등으로 인하여 사업성이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설문조사 결과등을 바탕으로 계획규모변경, 용도혼합, 필지세분화등의 방법을 통해 사업유형을 6가지로 설정하였다. 사업모델 중에서 가장 사업성이 높은 유형은 블록형 집합주택으로, 이는 규모의 경제법칙(Ecnomy of Scale)에 따른 건축연면적의 증가가 분양수입의 증대로 이어진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소규모 한옥과 근생시설이 결합한 공동주택 모델의 타당성도 높게 나타났으며, 블록형 집합주택과 같은 동일한 사업조건을 적용한다면, 한스타일 공동주택의 사업성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밖에 블록형 단독주택지내 고급주택 모델은 민간부문이 일반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업유형으로서, 1호당 건설비용이 9.1억원으로 가장 많은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옥주거단지 사업성 제고를 위해서는 입지선정, 수요계층의 다양화, 주택규모의 적정화, 용도혼합등을 통한 집합화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독주택용지에 한옥주택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필지계획의 조정과 분할이 필요하며, 한옥형 용지등의 공급을 통해 새로운 수요에 대응하는 전략도 제안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획일적인 택지개발방식에서 벗어나 기초인프라(간선도로 및 상하수도)외에 조성되지 않은 자연상태의 토지인 원형지(原形地) 공급을 통한 개발방식도 검토할 수 있으며, 한옥의 지붕 및 가구구조상 1~2층 이상의 건축이 불가능하므로 경사지 형태를 갖는 원형지 공급방식의 단지조성이 토지비절감, 경관효과 등을 감안할 때 적합한 모델로 제안될 수 있다.

도시근교 농촌주택의 변화에 관한 연구 -경기도 용인군 삼가3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of the Suburban Rural Houses. - focusing on the Houses in Samga 3 Ri, YongIn-Gun, KyungKi-Do -)

  • 윤정숙;전영미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35-4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changes of village, the architectural changes of houses and to find out the resident's needs of housing in suburban rural houses. Samga 3 Ri, Yong-In, KyungKi-Do was chosen for this study. The previous research, conducted in 1987 by using a field survey method, was compared with this study. 1) The study showed that the physical changes of village includ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rooms and nonagricultural population, and variety of house types. Therefore, social intimacy, reallocation of houses according to residents' occupations, and apartments for non-agricultural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planning village. 2) It is found that the resident's needs were to increase the number of rooms, expansion of space, and to modernize kitchin systems. The investigation on newly constructed houses indicated that residents' needs were two-story houses, changes of spaces - the number of bathrooms, private bedroom adjacent to An-bang.

  • PDF

주부의 가족자원적정지각과 대상별 가정관리 수행 (The Percived Adequacy of Family Resources and Home Management Performance of Housewives in Objects Specific)

  • 한경미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2권2호
    • /
    • pp.68-79
    • /
    • 1994
  • 본 연구에서는 주부가 가족자원을 적정하게 지각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주부의 가정관리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가족자원에 대한 적정지각이 가정관리수 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부는 대인관 계자원과 주거자원에 대한 적저지각이 가장 높고, 건강자원, 지식.기술자원, 시간자원, 지역사회자원, 금전자원의 순으로 저정하게 지각하고 있다. 둘째,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력, 월평균소득, 취업유무, 하루평균 가사노동시간, 주택소유형태, 내구재소유수이다. 세째, 주부의 대상별 가정 관리수행 수준에서는 기질.성격에 대한 관리수행 수준이 가장 높고, 그 다음은 애정관리이며, 지식.기술에 대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네 째, 주부의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에 전반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주부가 지각하는 남편의 가사조력도이다. 끝으로, 전체 대상별 가정관리수행은 전체 가족자원적정지각과 정적상관을 가지며, 주부가 지식.기술자원을 보다 적정하게 지각할수록 전체관리수행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 PDF

국민주택 규모 아파트의 발코니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n the Utilization of Apartment Balcony in Economically Sized Housings)

  • 정미란;임소연;안옥희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52-59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current problems of using balcony in apartment. For this study, 255 subjects who are resided in economically sized apartment housings were selec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 1) The front balcony was used as arrangement space a laundry drier and a flowerpot table. On the other hand, the rear balcony was used as storage space for a kind of washing powder and receptacle, kim-chi jar and storage container for food etc. 2) The most dissatisfactory respect on the balcony is the width of space. 3) The shelves were often used as storage facilities.

  • PDF

노인주거 연구의 접근방법과 쟁점 (Approaches and Issues on the Research about Housing for the Elderly)

  • 지은영;홍형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0권5호
    • /
    • pp.137-147
    • /
    • 2002
  •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research direction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for the elderly which based on approaches and issues in related studies. Research method was interpretative analysis of the articles issued from 1976 to 2002. Each approach (rationalistic approach, ecological approach, micro-sociological approach, typological approach, environment-psychological approach, welfare approach) produced helpful information and had relative merits. But the researchers must regard housing for the elderly as a social problem in macroscopic view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for older people with welfare approach. As a result, to solve the housing problems with welfare approach for the elderly who live in their own place with community care, studies about lifetime home, care and repair, and management of housing for the elderly might be needed. And research about existing services, transfer system of services, financial problems, man power to manage the system might be needed to spread out the services to the middle class elderly.

농촌개량주택의 물리적 환경수준 진단에 관한 연구 (The Evaluation on Physical Environment Level in Renovated Rural Houses.)

  • 윤정숙;전영미
    • 한국농촌생활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9-29
    • /
    • 1994
  •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develop a tool for enviromental evaluation which measures a level of physical quality in renovated rural houses and to find out the physical environment conditions of the renovated houses in rural area. To achieve these purposes, criteria for the evaluation of physical environment were built up based on practical knowledge which have been found in books and through the fold survey. Elements of evaluation tool consists of Safety, Health, Efficiency that are basic elements in the Hygienic Quality of Housing in WHO. As a results of this study, a three-level of physical environments suggested that a basic level, a inductive level and a proper measure level in renovated rural houses.

  • PDF

지역사회 노인주거시설에 관한 연구 - 미국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regarding the community resident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Aged - Focused on instance of the United States -)

  • 조철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225-233
    • /
    • 2010
  • At this point in time South Korea is rapidly metastasizing to a aging society. A major cause of aging can be summarized as increased life expectancy, decrease of nuclear family and birthrate, and South Korea's progress is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From the 1970s, western society has changed social welfare to deinstitutionalization and community care because of problems about economic reason and facilities protection, so the type of elderly social service has also changed from the facility welfare service which is accommodated old people in certain facility to community welfare service which provides various welfare services with living together. Public facilities for low income group which are supported by government are lower, 6.6%, than the United States or Japan, 50%. They are divided into private manage facilities and subscription elderly facilities. These subscription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show poor administration because of focusing on development and market analysis for investment returns. Therefore, in order to vitalize the elderly welfare residential facilities in Korea, we need plans about systematic services facilities for welfare and phased medical treatm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1) the types and functions of residents for community elderly residential facilities in elderly welfare policies of U.S., and supported policies are researched as a transcendental model, (2) data about operating system with the principles of the market is analyzed, and (3) basic data about welfare facility plan for community residential elderly people is provided.

지리 교육의 미래를 위한 구도 설정 (Creating the Frame for the Future of Geography Education in Korea)

  • 권정화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711-720
    • /
    • 2010
  • 지리교육은 지난 한 세기 동안 한국 사회의 근대 국민 교육에 지대한 기여를 하였으나 최근 위기에 직면해 있다. 본고에서는 당면한 지리교육의 위기에 대처하기 위하여 정보 양식이라는 측면에서 사회 변화의 교육적 함의를 고찰하였다. 최근 논의되는 지식의 성격 변화에 부응하여 청소년 문화를 배려한 정서 중심의 지리교육이라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국민정서의 측면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에 국토학, 주택정의론, 지역학 등의 과목 주제를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면서 정체성 형성에 기여하기 위한 교육적 차원을 강화하는 방향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