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사회개발

Search Result 2,860, Processing Time 0.03 seconds

Situation of Community Forest Resource Management in Vietnam (베트남의 지역사회 산림자원 관리 상황)

  • Bui, The-Hung;Nguyen, Quang-Dung;Kim, Sung-Soo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1 no.1
    • /
    • pp.209-216
    • /
    • 2004
  • 베트남은 국토의 3/4이 고산지대이며 1천만ha의 산림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나 비효율적인 산림관리로 인해 산림의 규모와 질이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왔다. 국가기관이 관리하는 대규모산림과 개인소유의 산림은 비교적 관리가 잘 되는 반면, 지역사회가 관리하는 고산지대의 산림은 제대로 관리되지 뭇하고 있다. 이 연구는 베트남 지역사회 산림관리의 실제와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지역사회에 의한 산림관리는 새로운 제도라기 보다는 이미 지역주민에 의해 개발되어진 전통적인 관리방식으로 1955년 토지개혁 이전부터 이용되어 왔다. 지역사회산림은 지역에 적합한 지식과 제도에 따라 관리됨으로 산림의 보호와 지역사회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었음에도 여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산림의 효율적 관리를 위해서는 물리적, 제도적 여건의 많은 변화속에서 지역사회 산림의 회복과 관리를 위해서 지속적인 실험과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Peer, Consumers and Community Leaders Evaluation of the Koje Community Health Project

  • Johnson, Kit G.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v.5 no.1
    • /
    • pp.141-151
    • /
    • 1972
  • 거제(巨濟) 지역사회(地域社會) 개발(開發) 보건원(保健院)이 목적하는 바대로 사업이 진전되고 있는지, 바람직한 지역사회의학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일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평가의 하나로서 프로젝트에 영향력을 줄 수 있는 세 그룹 즉 지역사회의 유지, 프로젝트를 이용하는 주민 그리고 의료문제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 중 프로젝트에 다녀간 일이 있는 사람에 대해서 그들이 이 사업에 대해 이해하고 있는 바 또는 태도 등을 알아 보았다. 거제 지역사회 개발 보건원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즉 저렴한 수가로 농촌 보건사업을 하고 있고, 간단한 치료사업과 예방의학 사업을 하고 있으며, 한국에서 지역사회의학의 교육을 발전시키는 데 자극적인 역할을 하고 아울러 지역사회의 개발을 위한 자극을 주었다고 하였다.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위치가 거제군 전체의 의료를 위해서는 적합하지 못하며, 국내 의료인이나 지역주민의 참여가 불충분하였고, 보건소 사업과의 협조가 덜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 등이었다. 한편 사업의 목적이나 계획 및 운영면이 약하지 않은가 하는 것도 우려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FDRRI Based Community Preparedness Index (지역사회 대비능력을 고려한 홍수피해저감지수 개발)

  • Yang, Seung-Man;Choi, Seon-Hw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803-803
    • /
    • 2012
  • 최근 선진국에서는 지역사회의 지역특성, 대비능력 등을 토대로 맞춤형 재난 대비책을 마련하여 시행하고 있다. 이는 중앙정부의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지방정부는 지역의 취약성을 파악하여 구체적 적응정책의 방향성 제시를 가능하게 한다. 우리나라 역시 재해위험에 대한 각 지역의 방재능력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진단하고 있으나 대부분 지역의 인구, 재정력, 시설, 인력, 자원 확보 및 계획 등 정량적 정보만을 종합하여 위험도를 진단하고 있어 재해위험에 대한 지역민과 지역사회가 느끼는 취약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수 취약성 개념 틀을 정의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홍수피해저감지수(Flood Disaster Risk Reduction Index, FDRRI)를 개발하였다. FDRRI는 지형적 기상적 요인을 고려한 홍수노출지표, 사회적요인과 과거피해 요인을 고려한 민감도지표, 지역안전도 피해저감능력지수를 고려한 피해저감능력지표, 지역민의 대비능력을 나타내는 지역사회대비능력 지표를 결합하여 평가된다. 특히, 지역사회대비능력지표는 지역민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민의 역량을 정량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FDRRI의 적용성 검토를 위해 지형적 특성, 홍수피해정도 등을 고려하여 낙동강 유역의 경북 봉화, 김천, 경남 고성, 김해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하고 FDRRI를 산정하였으며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FDRRI는 홍수위험에 대한 지역의 저감능력을 잘 반영하고 있으며, 지역별 맞춤형 저감대책 및 지역사회가 참여한 지속가능한 재난관리 정책 수립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erceived Impacts Influencing Community Satisfaction in Rural Development Projects - Moderating Effects on Community Participation - (농촌개발사업 영향인지가 지역사회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참여의 조절효과 -)

  • Ahn, Jaemun;Kim, So-Yun;Park, Duk-Byeo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27 no.4
    • /
    • pp.211-225
    • /
    • 2020
  •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affects community satisfaction. Because community impacts and participation is a central aspect of fostering local community developmen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how these processes occur.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community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ty participation between community perceived impacts and community satisfa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usable questionnaires among community residents participating rural development projects in Buyeo and Chungyang county, Chungnam province.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yielded four dimensions of community perceived impacts which were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positive economic impacts, positive environmental impacts, and positive social impact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positive economic impacts, and positive environmental impacts affected significantly for community satisfaction. it reveals that there are moderating effects on community participation of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and positive economic impacts. It was suggested that negative socio-economic impacts, positive economic impacts, and community particip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mplement rural development projects and its policy decision making.

The Qualitativ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Scale in Community - Focused on Community Welfare Network - (지역사회 사회자본 척도 개발을 위한 질적연구 - 지역사회복지네트워크를 중심으로 -)

  • Choi, Jong-Hyug;Ahn, Tae-Sook;Lee, Eun-Hee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 /
    • v.62 no.4
    • /
    • pp.297-324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for development of measuring social capital in community. The indicator of social capital in this paper was developed through 1) literature review 2) in-depth interview with community welfare network members 3) a qualitative Study for concept development in light of social capital about trust, norms, networks 4) focus-group meeting for content validity verification 5) a pilot-study and 6) a questionnaire survey. The indicator of 79 items for has been constructed with three features : The first is 'trust' with 30 items; the second 'norm' with 22 items; and the third 'network' with 27 items. Cronbach's alpha estimate of the indicator of trust was .948, norms were .899 and networks were .906. This study has been revealed to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refor it was an appropriate measurement of social capital in community. The social capital scale developed in this study is useful to be objective about operating condition of community welfare network and to seek ways for pursuing more efficient operations.

  • PDF

Community Development Movement and Sharing Experiences (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새마을 운동 경험의 공유)

  • Kim, Sung-Soo;Kwon, Do-Ha;Lee, Chae-Shik;Choe, Yeong-Chang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 /
    • v.12 no.2
    • /
    • pp.271-286
    • /
    • 2005
  • 한국은 제1, 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으로 산업화와 경제 발전을 이룩하면서 심각해진 도 ${\cdot}$ 농격차의 해소를 위해 1970년대 초부터 농촌지역사회 개발을 위한 새마을 운동을 전개하였다. 새마을운동은 근면, 자조, 협동을 기본 정신으로 한 잘살기 운동으로 1970년 당시 대통령이 농촌개발에 대한 강한 욕구와 집념을 천명하면서 농촌 새마을운동에서 시작되었다. 자원이 부족하고 농촌의 사정은 더욱 열악하여 국민의 70%를 차지하는 농민의 상당수가 끼니를 걱정해야 했으며, 도 ${\cdot}$ 농간의 격차는 벌어져 도시로 인구가 몰려들고 사회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농촌지역사회의 개발 없이는 나라의 발전도 안정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었다. 농촌 개발을 위한 환경개선과 소득증대 사업에 주력했던 새마을 운동이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을 정부의 관심과 지원도 있었지만, 새마을 교육을 이수한 새마을 지도자들, 그 지도자들과 함께 근면, 자조, 협동을 실천했던 마을 사람들, 지역사회 주민들의 공동 노력이었다. 이 논문에서는 농촌에서 시작된 새마을운동이 도시의 직장, 공장 새마을운동으로 번져 범국민적 운동으로 나라 근대화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성공할 수 있었던 요인들을 살펴보고 국제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개발도상국의 농촌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새마을운동 경험을 공유할 수 있는 방안에 관하여 제언하고자 하였다.

  • PDF

Tourism Development in the Eastern Part of the Seoul Metropolitan Region (수도권 남동부지역의 관광개발)

  • Kim, Won-Jin
    • Journal of the Speleological Society of Korea
    • /
    • no.81
    • /
    • pp.75-77
    • /
    • 2007
  • 관광의 활성화에서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관심은 절대적인 요소에 해당한다. 수도권 동부지역은 관광서비스와 관련하여 지방정부 및 지역사회의 관심이 부족하다고 판단된다. 지속적인 관광의 활성화보다는 일시적이고 가시적인 관광효과에 치중한다고 판단된다. 지속 가능한 관광개발은 가시적 효과보다는 지역의 잠재력을 최대화할 수 있는 측면에 초점을 두는 것이 바람직한데, 연구지역은 이러한 지속적인 관광개발이 체계적으로 전개되지 못하고 있어, 향후 관광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의 모색이 요구된다.

Regional Decline and Sociodemographic Change in Kangwon Southern-Belt Mine Area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화)

  • Chung, Sung-Ho
    • Korea journal of population studies
    • /
    • v.27 no.2
    • /
    • pp.205-229
    • /
    • 2004
  • 이 글은 강원남부 탄광지역의 쇠퇴와 인구사회학적 변동 양상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우선 탄광지역의 특성을 살펴보고 탄광지역이 쇠퇴하게 된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 다음으로 지역사회에 나타나고 있는 산업구조와 인구구조의 변화를 중점적으로 살피고자 한다. 연구 결과 태백지역이 쇠퇴하게 된 직접적인 요인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의 시행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태백지역은 탄광산업이 지역성장이 유일한 원동력이었다는 사실 즉, 탄광산업의 쇠퇴는 바로 이 지역의 급격한 경기침체와 인구유출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급격한 경기침체는 산업구조의 변화에서 잘 드러나고 있으며 인구유출 양상은 지역의 인구변화 추이에서 잘 드러나고 있다. 최근 폐광지역개발지원특별법에 의해 수립된 종합개발계획도 상당 부분 무산되거나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는 점과 지역개발을 강원랜드 카지노에만 지나치게 의존하고 있는 문제점 등이 드러나면서 지역경기 침체와 인구감소 추세는 계속되고 있다. 탄광지역의 주민소득 증대는 물론 새로운 고용창출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는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Performance Scale of Social Enterprise (사회적기업의 사회적성과척도 개발 연구)

  • Oh, Seung Jae;Lee, Young Kwang;Ji, Eun Gu
    • Social Economics & Policy Studies
    • /
    • v.9 no.4
    • /
    • pp.119-146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ocial performance measures of social enterprises and to verify the validity of developed measur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first, previous studies on the concept, components, and scale development of social performance were analyzed. After developing a scale suitable for measurement, the validity was verified. The preliminary questions on the social performance scale were 15 items, and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 items were removed and classified into 2 factors. The sub-factors of the social performance measure were named community development, contribution and community spirit.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15 items, 3 items were removed. Finally, the social performance scale consisted of 12 questions, divided into two fact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