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역문제해결

Search Result 1,943,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Exploring the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Applying Local Energy Transition: The Case Studies of Gussing, Austria and Esbjerg, Denmark (전환적 지역혁신론의 탐색과 지역에너지 전환의 적용: 오스트리아 귀씽과 덴마크 에스비아르 사례를 중심으로)

  • HAN, Jae kak;LEE, Jung-pil;HA, Vara;SONG, Wichi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19 no.3
    • /
    • pp.291-333
    • /
    • 2019
  • The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so far have been separated from the social problems facing the local communities. The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regarding the region as the location of the business, have focused on the invigoration of business innovation activities. However, as the recent emergence of the new paradigm of innovation policy aiming the sustainability,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has led to a search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that begin with solving the local social problems. This research paper deals with regional innovation theory that starts from searching for solutions and system transformation for social problems such as climate crisis and energy problems. The objective is to present a new framework called 'transformative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to improve its content through case studies by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transformative innovation policy and the regional innovation policy studies. In particular, the contribution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discuss the concept of the transition platform, which aims to solve the local social problems, through the case studies of Gussing, Austria and Esbjerg, Denmark. Lastly, it discusses the derived implications of the cases applied in Korean society.

Introduction of Small-Scale Pumped-Storage Generation Technology to solve the Problem of Renewable Energy Volatility (재생에너지 변동성 문제 해결을 위한 소규모 양수발전 활용 기술 소개)

  • Tae Gyu Hwang;Jong Seok L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78-78
    • /
    • 2023
  • 기후변화 위기는 유사 이래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도전으로 범정부적 글로벌 문제로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범국가 차원 혹은 세계적 기업들에 의해 발표 혹은 시행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위기와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대표적인 대응 방안 중 하나가 바로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 노력이다. 그러나 재생에너지는 날씨와 계절 등 자연환경의 영향을 받는 에너지원으로써 간헐성, 변동성을 가지므로, 시간대별 발전량 예측과 전력공급 안정성에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재생에너지 발전은 석탄화력 발전과 달리 전력의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위한 에너지저장장치(Energy Storage System, 이하 ESS)가 있어야 한다. ESS는 전력공급 안정성 향상과 전력 수급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지만, 초기 설치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특히, 배터리 기반 ESS의 경우 높은 구축 비용과 한정적인 충. 방전수명으로 인하여 대용량 ESS로써의 역할 수행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다. 하지만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ESS로 양수발전댐을 활용할 경우 장주기, 장수명, 대용량 에너지 저장에 매우 합리적인 수단으로 판단되었다. 다만, 양수발전 댐 구축에는 토목공사로 인한 환경 훼손이라는 문제점도 존재한다. 본 고에서는 지역 분산형 소규모 양수발전(Pumped Storage Hydropower, 이하 PSH)댐 구축 및 운영기술 개발을 통해 지역 전력공급과 전력 수급을 조절하면서 변동성 재생에너지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소개하고자 한다. 특히, 해당 기술은 지역별 특성에 맞춰 유연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대규모 토목공사로 의한 환경적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소규모 PSH는 지역의 저수지 및 수자원을 이용하여 에너지를 저장함으로써 변동성 큰 재생에너지의 유연화 대응과 동시에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이 가능하다. 본 고에서는 재생에너지의 확대·보급에 따른 문제점과 대표적 ESS 기술들을 분석·소개한다. 지역분산형 소규모 PSH 기술개발 연구기획 내용 소개를 통하여 전력 생산 및 공급의 탈중앙화를 달성하고, 지역별 변동성 재생에너지의 안정적 활용과 지역 전력공급 특성 및 전력 수급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he Use of Analogy in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효과적인 지리 교수.학습을 위한 유추의 이해와 활용)

  • Lee, Jong-Won;Harm, Kyung-Rim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6 no.4
    • /
    • pp.534-553
    • /
    • 2011
  • Analogical thinking is a problem-solving strategy to use a familiar problem (or base analog) to solve a novel problem of the same type (the target probl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new insight into geography teaching and learning by connecting cognitive science research on analogical thinking with issues of geography education and suggest that teaching with analogies can be a productive instructional strategy for geography. In this study, using the various examples of analogical thinking used in geography we defined analogical thinking, addressed the theoretical models on analogical transfer, and discussed conditions that make an effective analogical transfer. The major research findings include the following: a) the spatial analogy, indicating skills to find places that may be far apart but have similar locations, and therefore have other similar conditions and/or connections, can provide a useful way to design contents for place learning; b) representational transfer, specifying a common representation for two problems, can play a key role in solving geographic problems requiring data visualization and spatialization processes; and c) either asking learners to compare/analyze similar examples sharing common structure or providing them examples bridging the gap between concrete, real-life phenomena and the ideas and models can contribute to learning in geographic concepts and skills. The spatial analogy requiring both geographic content knowledge and visual/spatial thinking has the potential to become a content-specific problem-solving strategy. We ended with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analogy that is important in geography education.

Study on Rainwater Using in Smart Water Grid (스마트워터그리드내 빗물이용방안 연구)

  • Kim, Man Sik;Lee, Ho Seon;Jung, Seung Kwon;Lee, Su 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61-261
    • /
    • 2015
  • 지금까지 빗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은 모두 치수에 중심을 두어왔다. 즉, 빗물은 내리자마자 곧바로 하수도를 통해 방류수역으로 신속하게 배제해야한다 것에만 관심을 두어 왔던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빗물을 버리고 배제하기보다 필요한 곳에서 집수하여 활용하거나 적절히 침투 또는 저류하여 물을 효과적으로 제어 관리해야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 및 공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됨에 따라 대체방안으로서의 빗물이용관리가 제기되고 있으며, 이는 도시화 및 인구의 도서집중, 경제활동의 고도화 등 물 사용량이 증대되는 생활방식에 따라 물 공급 중단에 따른 피해 잠재성이 증가되고 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 과제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감안하여 대체수자원으로서의 빗물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에 대해 연구하고, 스마트 워터그리드 관점에서의 빗물이용방안을 제시하여 그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존 대체수자원의 확보기술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수원을 통한 수자원 확보방안을 제시하고, 이 중 빗물을 이용한 수자원 확보방안에 대하여 스마트워터그리드 관점에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스마트워터그리드 내에서의 빗물이용을 통한 대체수자원 적용성 평가는 도서지역의 제한급수 등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과 산간 농업지역에서의 물부족으로 인한 농작물 생산활동의 저하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수자원확보를 위한 적정 빗물이용법 도출을 위해 최근 물 관리 패러다임의 변화를 고려한 정책사업으로의 접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노력, 정부-민간 협동체계 구축을 위한 지역전문가의 활동방법 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 스마트워터그리드 체계구축을 위한 여러 요소기술 중 다중수원을 통한 용수확보 방안에서 빗물(우수)을 이용한 대체수자원 확보방안을 정립하고, 이를 이용하여 도서지역에서의 제한급수문제 해결방안과 산간 농업지역에서의 농업용수 확보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A Hierarchical Representation Scheme without Self-Intersection for Planar Shapes (평면 형상에 대한 꼬임의 발생이 배제된 계층적 표현)

  • 허봉식;김성옥;김민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854-858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평면 형상에 대한 꼬임(self-intersection)의 발생을 배제한 계층적 표현을 제안하였다. 기존의 계층적 표현들에서는 실제 활용에 많은 문제를 초래하는 꼬인 형상의 발생을 피할 수 없으며, 이는 반드시 제거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n개의 점으로 구성된 형상의 고임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O(n$^2$)의 계산량이 요구되므로,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지역화의 경계 영역간 교차 상태를 나타내는 cross-link 개념을 도입하여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꼬임 해결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그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 PDF

The Impact of Socio-Scientific Issue Debate about Local Environmental Problem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Change (지역환경문제에 관한 사회과학쟁점 토론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Yoo, Ye-jin;Nam, Youn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3 no.3
    • /
    • pp.284-296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SI debate on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about environmental issue, their judgment grounds, and solutions to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SSI debate was about white heron habitats near the village where students live. As the main data of the study, environmental perception questionnaires, and students' workbook including open-ended question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class.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ponse of the open-ended questions was analyzed through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SI debat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Second, a majority of students agreed on the idea that villagers should drive the birds out of town and they did not change their after the discussion class. However, after the discussion class, students' solutions about the issue were changed in a way that more short-term, feasible, concrete, and less time-consuming solutions to the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mplies that SSI issue debate using local problem should be used more often in science classroom so the students recognize local SSI and improve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유량에 따른 울산만 내의 이차원 분산현상에 관한 연구

  • 고성훈;김성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7.10a
    • /
    • pp.116-119
    • /
    • 1997
  • 해양오염에 대한 문제가 최근에 많이 거론되고 있다. 해양오염 문제의 해결방안은 첫째 오염원의 차단과 둘째 오염된 물질이 어떻게 퍼져나가는가를 정확히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인 울산만은 부산항ㆍ인천항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수출입의 관문이 되는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울산항이 있는 지역으로서 특히 울산지역은 임해공업지역으로 해양오염에 대한 관심이 민감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학문적 논리의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 (중략)

  • PDF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학습이 간호학생의 문제해결능력, 비판적사고,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 Kim, Ji-Suk;Kim, You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12
    • /
    • pp.203-21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63 nursing students taking the practice subject for integrated simulation at U University in K region were asked to complete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before and after the simulation practice. Th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as effective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significantly and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among problem-solv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t is, the better problem-solving ability, the higher level of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While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ducted in nursing students at a single university cannot be generalized, it was confirmed that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w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t is therefore necessary to give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on a systematic and continuous basis with the objective of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moting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Replica Placement Algorithm on the Linear Topology (선형 구조상에서의 복제 웹 서버 배치 알고리즘)

  • 김선호;고훈;신용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c
    • /
    • pp.505-507
    • /
    • 2004
  • 최근 웹 서비스 사용자와 웹상에 대용량 콘텐츠의 급증으로 웹 서버의 부하가 가중되고 서비스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로 콘텐츠를 다수의 지역 서버에 복제하고 복제 서버로 하여금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도록 하여 웹 서버의 부하를 줄이고 트래픽을 분산하는 콘텐츠 분산 네트워크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복제 서버 사용하는 환경에서는 복제 서버의 효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배치 전략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복제 서버의 효율을 위하여 선형 구조상에서 지연과 트래픽이 기반 한 각 노드의 비용이 임계값을 초과하지 않도록 복제 서버를 배치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O(N(N-1))의 시간복잡도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 PDF

Study of shortest time artillery position construction plan (최단시간 포병진지 구축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 Ahn, Moon-Il;Choi, In-Cha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6
    • /
    • pp.89-97
    • /
    • 2016
  • This paper addresses the problem of the construction planning of artillery positions, for which we present an optimization model and propose a heuristic algorithm to solve problems of practical size. The artillery position construction plan includes the assignment of engineers to support the artillery and the schedule of the support team construction sequence. Currently, in the army, managers construct the plan based on their experience. We formulate the problem as a mixed integer program and present a heuristic that utilizes the decomposition of the mixed integer model. We tested the efficacy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conducting computational experiments on both small-size test problems and large-size practical problems. The average optimality gap in the small-size test problem was 6.44% in our experiments. Also, the average computation time to solve the large-size practical problems consisting of more than 200 artillery positions was 79.8 seconds on a personal computer. The result of our computational experiments shows that the proposed approach is a viable option to consider for practical 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