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Socio-Scientific Issue Debate about Local Environmental Problem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Perception Change

지역환경문제에 관한 사회과학쟁점 토론이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식 변화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20.11.29
  • Accepted : 2020.12.21
  • Published : 2020.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SSI debate on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about environmental issue, their judgment grounds, and solutions to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The SSI debate was about white heron habitats near the village where students live. As the main data of the study, environmental perception questionnaires, and students' workbook including open-ended questions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class. The environmental perception questionnaire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response of the open-ended questions was analyzed through inductiv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SI debat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students' environmental attitude. Second, a majority of students agreed on the idea that villagers should drive the birds out of town and they did not change their after the discussion class. However, after the discussion class, students' solutions about the issue were changed in a way that more short-term, feasible, concrete, and less time-consuming solutions to the proble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mplies that SSI issue debate using local problem should be used more often in science classroom so the students recognize local SSI and improve real world problem solving skills.

본 연구는 지역사회 환경문제에 관한 토론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환경 인식, 환경 문제에 대한 의견과 그 판단근거, 환경 문제 해결방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토론 수업은 도심 내의 백로 서식지 문제를 주제로 3차시에 걸쳐 지역사회 환경문제에 대해 알아보고, 토론하는 수업이다. 연구의 주요 데이터로 수업 전후 환경 인식 검사지, 환경 인식 설문지, 학습지가 수집되었다. 환경인식 검사지는 Likert 척도로 기술적 통계로 분석되었으며, 환경 인식 설문지의 응답은 귀납적 질적연구 방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먼저 환경 인식 검사지의 환경 인식에서 사전-사후 유의미한 통계적 효과가 있었다. 다음으로 SSI 토론 주제인 "백로의 서식지를 이동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과반수의 학생들이 찬성하였으며, 토론 수업이후에도 의견에 변화가 없었다. 하지만 토론 수업 이후 학생들의 해경방안은 단기적이고 실현 가능하며, 구체적이고 비용이 적게 드는 해결방안으로 바뀌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지역환경문제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문제해결력 증가를 위해 학교 과학 수업에서 지역 환경 문제와 관련된 SSI 토론 수업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논문은 정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o. 2019R1A2C1090478).

References

  1. 교육부(2015). 개정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 호.
  2. 권영락(2015).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 시안.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47-53.
  3. 권영락, 이재영, 김찬국, 안재정, 서은정, 남윤희, 박은화, 최소영, 안유민(2016). 2015 개정 환경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환경교육, 29(4), 363-383. https://doi.org/10.17965/KJEE.2016.29.4.363
  4. 김가형, 이현주(2017). 지역사회연계 미세먼지 교육프로그램이 중학생들의 이슈에 대한 이해와 시민으로서의 인성과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11-920.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6.911
  5. 김명등, 정혈(2007).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6(4), 479-485.
  6. 김선영, 조운복(2010). 부산 지역 대학생들의 환경 소양에 관한 인식 조사. 환경교육, 23(1), 87-98.
  7. 김수연, 김인호, 김종욱(2005). 환경교육에서 지역사회단체와 학교의 협력 사례 연구. 환경교육, 18(3), 19-32.
  8. 김순식, 이용섭, 이하룡(2013). 초등과학 지역화 수업전략이 학생들의 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60-68. https://doi.org/10.15523/JKSESE.2013.6.1.060
  9. 김순식, 최성봉(2010). 환경에 대한 반성적 글쓰기 활동이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민감도와 실천의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환경과학회지, 19(1), 69-80.
  10. 김억수, 이재영(2016). 지역 환경교육 프로그램 토대로서의 생물문화다양성과 전통생태지식. 환경교육, 29(1), 15-35.
  11. 김은영(1997). 중학생들의 환경교육과 환경인식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인호, 주신하, 안동만(2000). 초등학교 학생들의 환경인 식과 태도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3(1), 122-132.
  13. 김재덕, 고연주, 이현주(2016). 과학관련 사회쟁점 수업이 초등학생의 인성 및 가치관 함양에 미치는 영향. 초등교육연구, 29(3), 1-25.
  14. 남상준(1995). 환경교육론. 서울: 대학사.
  15. 서은정(2016). 중등학교 환경교과 선택 및 교사 임용율을 둘러싼 환경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 환경교육, 29(3), 251-262. https://doi.org/10.17965/KJEE.2016.29.3.251
  16. 손미희, 박혜경, 정철(2011). 친환경학교 가꾸기 프로젝트 활동이 중학생의 환경 인식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24(3), 34-43.
  17. 손연아, 박정은, 민병미, 최돈형(2007). 초.중등학교에서 진행되는 환경 관련 수업의 현황 분석. 환경교육, 20(3), 45-62.
  18. 여호근, 강승구(2002). 지속 가능한 관광에 대한 환경인식에 따른 관광태도 차이. 관광레저연구, 14(1), 69-84.
  19. 윤진아, 남윤경(2020). 환경교육 활성화를 위한 과학과교육과정과 환경과 교육과정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41(2), 155-175. https://doi.org/10.5467/JKESS.2020.41.2.155
  20. 이수연, 최동식, 문지원(2012). 환경교육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변화. 환경교육, 25(4), 438-450.
  21. 이영우, 남영숙(2004). 댐 환경을 활용한 지역환경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환경교육, 17(2), 26-37.
  22. 이현주(2018). SSI 교육이란 무엇인가: 과학기술관련 사회쟁점에 대한 사회참여와 실천을 위한 교육. 서울: 박영스토리.
  23. 장지영, 문지영, 유효숙, 최경희, 크라직, 김성원(2012). 과학과 관련된 사회 윤리적 문제 (SSI)의 맥락에 따른 중학생들의 인성적 태도와 가치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7), 1124-1138.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7.1124
  24. 정민이, 소금현, 심규철, 여성희(2007). 중학생들의 전지구적 및 지역적 환경 문제 인식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20(3), 63-75.
  25. 조성화, 최돈형, 김찬국, 정원영, 안재정, 정국초, 박효인, 양성근, 김미란, 황유경(2012). 중.고등학교 '환경'및 '환경과 녹색성장'과목 운영 실태 조사 및 개선 방안 도출. 한국환경교육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76-78.
  26. 주혜은, 이은아, 고희령, 신동희, 이문남(2005).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소양 및 환경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초등과학교육, 24(3), 310-320.
  27. 홍상미, 이재영(2008). 환경 쟁점 수업에서 찬반토론이 학생들의 의사 결정에 미치는 영향. 환경교육, 21(1), 16-30.
  28. 홍수미, 성효현(1998). 한국 고등학교 학생들의 환경문제 및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6(1), 31-49.
  29. Catton Jr, W. R., & Dunlap, R. E. (1978). Environmental sociology: A new paradigm. The American Sociologist, 13(1), 41-49.
  30. Dunlap, R. E., Bechtel, R., & Churchman, A. (2002). Environmental sociology. In R. B. Bechtel, & A. Churchman (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2, pp. 160-171). John Wiley & Sons.
  31. Ha, J. H., & Lee, H. J. (2019). Nursing students'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nd medical waste related knowledge and attitud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2), 174-182. https://doi.org/10.12799/jkachn.2019.30.2.174
  32. Larson, L. R., Castleberry, S. B., & Green, G. T. (2010). Effects of a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orientations of children from different gender, age, and ethnic groups. Journal of Park & Recreation Administration, 28(3), 95-113.
  33. Lee, H., Chang, H., Choi, K., Kim, S. W., & Zeidler, D. L. (2012). Developing character and values for global citizens: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moral reason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6), 925-953. https://doi.org/10.1080/09500693.2011.625505
  34. Leeming, F. C., Dwyer, W. O., & Bracken, B. A. (1995).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 and knowledge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6(3), 22-31. https://doi.org/10.1080/00958964.1995.9941442
  35. Perterson, N. (1982). Developmental variables affec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rofessional environmental educators. Master's thesis,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at Carbondale.
  36.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The significance of content knowledge for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pplying genetics knowledge to genetic engineering issues. Science Education, 89(1), 71-93. https://doi.org/10.1002/sce.20023
  37. Sivamoorthy, M., Nalini, R., & Kumar, C. (2013). Environmental awareness and practices among college students. W: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Invention, 2(8), 11-15.
  38. Sivek, D. J. (2002). Environmental sensitivity among Wisconsi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8(2), 155-170. https://doi.org/10.1080/13504620220128220
  39. Song, J., & Na, J. (2015). Directions and issues of 2015 national science curriculum and their implications to science classroom culture. School Science Journal, 9(2), 72-84. https://doi.org/10.15737/SSJ.9.2.201507.72
  40. Unesco (1980).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light of the Tbilisi Conference.
  41. Zeidler, D. L., Applebaum, S. M., & Sadler, T. D. (2011). Enacting a socioscientific issues classroom: Transformative transformations. In Socio-scientific issues in the classroom (pp. 277-305). Springer, Dordrec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