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역맞춤형

검색결과 469건 처리시간 0.025초

해안가 복합재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 프로세스 개발 (A Development Process of Regional Conditions Disaster Prevention Techniques for Composite Coastal Disasters)

  • 임준혁;오국열;심우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0년도 학술발표회
    • /
    • pp.293-293
    • /
    • 2020
  • 기후변화로 인해 다양한 재난이 복합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해안과 인접해 있는 지역은 풍랑, 지진해일 등으로 인해 다양한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각 지자체는 자연재해대책법에 의거하여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저감대책을 마련하고 있으나, 수립 절차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있다. 따라서 위험지역의 지리적·사회적 조건을 고려한 맞춤형 재해예방기법 도출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 피해이력과 침수예상도 정보가 반영된 위험성평가 지도를 활용하여 위험지역 유형을 4단계(관심, 주의, 경계, 위험)로 구분하고, 단계별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 대책의 적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구조물적 대책과 비구조물적 대책의 도출에는 지역맞춤형 요소와 특성요소를 활용하였다. 지역맞춤형 요소는 자연인자, 재해영향인자, 재해원인인자, 지형인자, 사회인자로 구분하였으며, 각 인자별로 세부인자를 선택하여 논리연산에 따라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하였다. 특성요소는 효율성, 시공성, 공공성으로 구분하였고, 각 구분별 세부요소를 평가하여 재해예방기법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해안가 복합재난이 예상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맞춤형 재해예방기법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며, 자연재해저감종합계획 수립 시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의 개발사례 -창원시 마을흔적보전사업을 중심으로- (A Development Case on the Area-Specific Urban Regeneration)

  • 황혜준;김진일;윤영심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109-110
    • /
    • 2017
  • 전국적으로 도시재생에 대한 연구와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시점에서 창원시의 마을흔적보전사업은 지역 맞춤형 도시재생의 한 가지 사례가 될 수 있다. 마을흔적보전사업은 재개발, 재건축으로 사라지는 옛 마을의 흔적을 보전하여 주민들의 추억과 마을역사, 공동체 문화를 이어주는 도시재생사업의 일환이다. 마을흔적보전사업은 현대산업발전의 시대적 산물이며 주민들의 공통된 추억과 기억이 담긴 공간과 환경이 도시개발과정에서 멸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지역의 문화적 가치를 창출함으로서 '지역맞춤형 도시재생'을 실현하는 한 가지 실천적 방법이 될 수 있다.

  • PDF

농촌지역 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Rural Areas)

  • 모혜란;박형근;조진희;이한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6호
    • /
    • pp.1925-1935
    • /
    • 2014
  • 선택적 집중과 총량적 경제논리에 기반한 거점도시 중심의 균형발전정책은 도시화를 촉진하며 인구유출, 고령화, 소득감소 등 농촌지역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중앙정부 차원의 다양한 지원과 노력이 이어지고 있으나 하향식(Top-Down)에 의한 지원효과는 저조한 실정이다. 최근 농촌지역은 지역성과 정체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맞춤형 정책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위한 지역 맞춤형 진단기술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종합적 진단을 위해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다양한 지표를 검토하고, 농촌지역의 특성을 확인할 수 있는 맞춤형 진단지표의 발굴을 연구의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농촌진단 관련 지표군(POOL)을 구축하고, 전문가 설문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농촌지역의 특성에 맞는 진단지표를 선정하였다. 본 최근 정부정책의 화두인 '맞춤형 적정기술'의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농촌지역에 대한 진단도구로서 의미를 지닌다.

일본 보육지원 정책의 변화과정 및 지역사회 맞춤형 보육지원 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istory of Child Care Support Policy and Community Based Child Care Support Policy in Japan)

  • 황성하;남미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31-250
    • /
    • 2012
  • 본 연구는 일본 보육지원 정책의 형성과 변화과정 및 지역사회 맞춤형 보육지원 정책을 고찰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저출산 및 보육문제 해결을 위한 보육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시사점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본 보육지원 정책의 형성과 중요 시책의 변화과정, 일본의 지역사회 맞춤형 보육지원 정책의 개요와 내용을 고찰하여 우리나라 보육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2010년 보육지원 정책의 개혁으로 실시되고 있는 일본의 지역사회 맞춤형 보육지원 정책에 대한 현황 등에 대한 분석을 통해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의 거시적이고 적극적 보육정책의 지원과 지역사회의 재정과 상황을 고려한 보육지원 제도의 체계적인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국가와 지역사회가 연계하여 보육정책에 대한 재정적 지원을 위한 현물과 현금지원 등 보육지원 재원의 확충이 필요하며 지역사회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보육지원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맞춤형비료 시용에 따른 벼 재배 효과 (Effects of Customized Fertilizer Application on Rice Cultivation)

  • 이종식;송요성;이예진;윤홍배;성좌경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1004-1008
    • /
    • 2012
  • 본 연구는 벼 재배에 있어 맞춤형비료 시용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의 3요소 단비 처리 및 일반 관행시비 농가에 대한 맞춤형비료 시용에 따른 벼 생육과 수량 그리고 비료사용량 절감 효과 등을 평가하였다. 처리별 벼 생육 상황은 기존 3요소 단일비료 처리구와 맞춤형비료 처리구간 유의성 있는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벼의 정조 수량에도 3요소구 및 일반 관행 농가와의 차이가 없어 맞춤형비료 시용에 따른 벼 생육 및 수량 저하 문제는 없었다. 반면에 맞춤형비료 시용에 따른 농가의 관행 비료 시용량 대비 절감율은 조사 지역별로 6~33% 범위로 평균 17% 이었으며, 맞춤형비료 분시비율에 따른 비료 성분량은 밀양지역을 제외한 모든 조사지역에서 가지거름을 시용하지 않고 2회 분시한 맞춤형비료 70구가 3회 분시한 맞춤형비료 50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지역 전체적으로는 평균 5% 정도 비료 성분량이 적게 사용된 결과를 보였다.

미국 재난문자방송(WEA) 동향 (A trend of Wireless Emergency Alert in USA)

  • 변윤관;이현지;최성종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9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04-20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미국 재난문자방송 서비스인 WEA의 개선 사항 중 지역맞춤형 서비스를 중점적으로 서술한다. WEA에서 정의하는 지역맞춤 서비스, 이를 위한 미국 연방 규칙에 대해 서술한다.

  • PDF

지역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수도권 근교농촌의 유형화 및 특성 분석 (Region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Promoting Area-specific Policies)

  • 이다예;이희연
    • 지역연구
    • /
    • 제32권2호
    • /
    • pp.15-29
    • /
    • 2016
  • 수도권 근교농촌은 서울 및 대도시의 영향을 받으면서 다변화하고 있다. 전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에 따른 고급 전원주택단지로 변화하거나 도시에서 밀려난 공장들이 무분별하게 입지하는 등 일반농촌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근교농촌의 기능적 변화와 다양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근교농촌의 다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맞춤형 계획 및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근교농촌을 대상으로 읍 면을 단위로 하여 근교농촌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수도권 근교농촌은 전원 농촌관광형, 침상도시형, 농 공 혼재형, 일반농촌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유형별 특성과 문제점도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근교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의 차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농촌유역 맞춤형 침수 피해 평가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n inundation damage assessment system for agricultural watersheds)

  • 전상민;이종혁;이현지;김지혜;김석현;최원;강문성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2년도 학술발표회
    • /
    • pp.314-314
    • /
    • 2022
  • 기후변화로 인해 집중호우 등 설계강우량을 초과하는 강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농촌유역의 홍수 및 침수의 발생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국내 농업용 저수지 약 17,500여개 중 약 70%는 70년 이상 경과된 노후시설로 분류되고 있으며, 특히 농어촌공사에서 관리하는 3,411개의 저수지를 제외한 시군관리 저수지는 체계적인 유지보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홍수기 농업용 저수지의 월류 및 붕괴에 따른 하류지역 침수 피해가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농촌유역 침수 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확한 침수 피해 평가가 수행되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현재 농촌유역에 특화된 침수 피해 평가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유역의 맞춤형 침수 피해 평가 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농촌유역의 농업용 저수지를 포함한 농업수리구조물의 붕괴 등에 따른 하류 침수 모의 기법을 개발하고, 농작물의 종류를 고려한 침수심 및 침수시간에 따른 침수피해 모의 체계를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농촌유역 맞춤형 침수 피해 평가 체계는 향후 농촌유역의 체계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지역 기반 산업의 인력 수요와 SWOT 분석을 통한 특성화 고등학교 개편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Reorganization of Specialized High School Through Workforce demand of Electric-Electronic-Communication Industry in Gyeonggi Province and SWOT Analysis)

  • 이상봉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65-84
    • /
    • 2011
  • 이 연구는 지역 기반 산업의 인력 수요와 SWOT 분석을 통한 특성화 고등학교 개편에 관한 사례연구로서 경기 지역의 주요 기반 산업인 전기 전자 통신 산업의 인력 수요 분석과 SWOT 기법에 의한 학교현황 분석을 통하여 중등직업교육기관으로서의 특성화고등학교의 본래 기능인 취업률 향상을 위한 학교 개편 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원${\bigcirc}{\bigcirc}$여자고등학교는 전기 전자 통신관련 산업체가 밀집되어 있는 경기지역에 위치하고 있어, 관련 산업분야로의 취업에 유리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으므로, 지역에서 요구하는 산업 인력을 양성하는 육성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지역 산업의 요구에 부응하는 인력 양성을 위한 특성화고등학교 운영체제를 유지하면서, 전기 전자 통신 산업의 흐름에 맞는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기업과 공조하여 기업에서 요구하는 능력에 맞춤형으로 교육함으로써 취업이 보장되는 '기업 연계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다. 현실적으로 기업과 연계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고, 불안정한 경제 속에서 위험부담이 있다는 단점이 있으나, 교육과정 운영이 특정 기업에 얽매이거나 왜곡되지 않으면서 장기적인 안목을 갖고 기업과 공조하여 취업률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하나는 '산업 연계 맞춤형' 교육과정으로의 개편이다. 이는 특정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업 연계 맞춤형' 보다 선택의 폭이 넓고, 취업의 기회가 다양화되므로 안정적인 인력 수요 공급이 가능하며, 특화된 기술 수준의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고령자의 요구도 분석을 반영한 고령자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 (Reflecting the needs analysis of the elderly Elderly personalized health care service model)

  • 정은영;김재승;박동균
    •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27-140
    • /
    • 2018
  • 건강관리 서비스를 통한 고령자의 건강증진 효과에 관련한 연구는 그 동안 많이 진행되어 왔지만 정작 건강관리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고령자들의 니즈를 파악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도시, 농촌간의 지역별 특징과 수요를 분석을 통해 고령자 건강관리 서비스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도심지역과 농촌지역별 고령자의 건강관련 프로그램 이용현황 및 건강관리방법과 건강관리 서비스 형태 및 콘텐츠에 대한 지역별 수요 분석을 통하여 맞춤형 건강관리 서비스 모델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