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역맞춤형 정책 수립을 위한 수도권 근교농촌의 유형화 및 특성 분석

Regional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for Promoting Area-specific Policies

  • 이다예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 이희연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환경계획학과)
  • 투고 : 2016.02.23
  • 심사 : 2016.04.29
  • 발행 : 2016.06.30

초록

수도권 근교농촌은 서울 및 대도시의 영향을 받으면서 다변화하고 있다. 전원적 가치를 추구하는 도시민들의 귀농귀촌에 따른 고급 전원주택단지로 변화하거나 도시에서 밀려난 공장들이 무분별하게 입지하는 등 일반농촌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면서 다양한 문제들이 야기되고 있다. 그러나 수도권 근교농촌의 기능적 변화와 다양한 특성에도 불구하고 근교농촌의 다변화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맞춤형 계획 및 정책을 마련하고 있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수도권 근교농촌을 대상으로 읍 면을 단위로 하여 근교농촌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군집분석을 통해 수도권 근교농촌은 전원 농촌관광형, 침상도시형, 농 공 혼재형, 일반농촌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각 유형별 특성과 문제점도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근교농촌 발전을 위해서는 각 유형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의 차별적인 정책 수립이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Suburbs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diversified by the influence of the Seoul and large cities for the last 10 years. This study aims to classify suburban rural areas and to analyze the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types in order to propose more area-specific policy approach to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Using the cluster analysis method, the suburban rural areas in the Capital region have been classified into four types; garden villages in rural areas, urbanization areas, agricultural-industrial mixed use areas, general rural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four types of suburban rural areas are much differentiated one another in terms of internal characteristics and local dynamics and problems. In order to suburban rural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Capital region, the policy efforts should be address the area-specific problems and policy demand for each type of suburban rural area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태헌, 2001, 한국 농촌사회의 변천: 농촌 인구와 가족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인구학, 24(1), pp.5-40.
  2. 박시현.김정호.이동필.허장.성주인.이동우, 2001, 제4차 국토종합계획 실천을 위한 농업.농촌종합발전계획 수립 연구,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국토연구원.
  3. 박시현.최용욱, 2014, 귀농.귀촌 요인과 농촌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4. 박진도, 2010, 한국농촌사회경제의 장기변동구조에 관한 조사연구, 농촌사회, 20(2), pp.47-80.
  5. 성주인.박시현.김용렬.윤병석.남기천, 2012, 농어촌 정주공간의 변화와 정책과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6. 성주인.송미령, 2003, 지역유형 구분과 농촌지역의 유형별 특성, 농촌경제, 26(2), pp.1-22.
  7. 송미령.성주인.김정섭.심재헌, 2015, 귀농.귀촌 증가 추세와 정책 과제,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8. 신호철.민말순.오방일, 1993, 농촌마을 및 주택에 관한 연구: 개발과 정비유형에 관한 연구, 안산: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9. 심재헌.박유진, 2014, 지속가능한 농촌 토지이용계획 지원 모형 연구: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모니터링 지표의 개발과 적용,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 이정환, 1987, 한국 농촌지역의 유형구분, 한국농촌경제연구원논집, 39, pp. 141-159.
  11. 장성준, 2010, 농촌지역의 마을과 주택의 유형과 진화, 대한건축학회지, 26(7), pp.63-74.
  12. 정명채.오내원.최경환.박대식.이상문, 1995, 한국 농촌 사회경제의 장기변화와 발전, 1985-2001: 제10년차 조사결과 종합보고,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조영재.장동호.윤진옥.박지혜, 2010, 도시근교 농촌지역의 실태 및 계획과제, 공주: 충남발전연구원.
  14. 진정.신범식, 2000, 도시근교 농촌주택의 건축적 특징에 관한 사례조사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44, pp.61-70.
  15. 최양부.이정환.정철모.김향자, 1985,정주생활권 설정 및 유형화,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6. 한국농촌경제연구원(2015), 한국 농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중장기 발전 방향(1/5차년도), "대도시 근교 농촌 마을의 변화 실태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