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Improvement of Less Prosperous Index by Development Promotion Zone Projects

개발촉진지구사업을 통한 지역개발사업의 낙후도 개선효과에 관한 연구

  • 이현주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안재성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 김미숙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Received : 2010.08.31
  • Accepted : 2010.10.13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rovement in less prosperous index as a result of development promotion zone project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projects to develop the less prosperous regions in Korea since 1994. Comparing two less prosperous indices between 1995 and 2008, we performed cluster analysis using change values of ranks. Then, we analysed spatial pattern of clus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extent of improvement of the less prosperous index was higher in Jeollan-do and Chungcheong-do, and slightly lower in Gangwon-do and northern part of Gyeongsanbuk-do.

본 연구의 목적은 1994년 이후 우리나라 대표적인 낙후지역개발제도인 개발촉지지구 사업의 결과로 나타나는 낙후도의 개선정도를 고찰하는 것이다. 1995년과 2008년 사이의 낙후도 선정지표의 순위 변화를 비교하여 상대적인 개선정도를 분석하고, 순위변화 값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군집별 공간적 분포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라지역과 충청지역의 낙후도 개선정도가 뛰어나고 일부를 제외하고 강원도와 경북 북부지역에서는 낙후도 개선정도가 미약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2001), 개발촉진지구 선정지표 개선에 관한 연구
  2. 건설교통부(2004), 개발촉진지구사업 평가지침 및 평가편람.
  3. 건설교통부(2005), 개발촉진지구 평가 및 선정지표 정비 관련 연구
  4. 건설교통부(2007), 낙후지역의 인구 ․ 사회특성을 감안한 지역 개발방안.
  5. 국토해양부(2009), 2009년 지역개발사업 집행평가 연구.
  6. 국토해양부(2009), 국토계획 및 이용에 관한 연차보고서.
  7. 안창진, 이원호(2009), "중국의 주택상품화 과정이 주거빈곤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제 15권 제6호, 736-751.
  8. 김현호, 한표환(2005), 낙후지역개발사업의 조정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9. 양지청(2001), 지역발전을 위한 지원실태와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10. 차미숙, 김태황, 김재영, 박준화, 남윤우 외(2008), 지역개발사업의 통합적 추진모형 구축 및 적용방안, 국토연구원.
  11. 건설교통부(2007), 낙후지역 개발제도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12. 고영종외 5 옮김(1997), 현재지역이론과 정책(원저 : Charles Gore, Regions in question, Methun), 한울아카데미.
  13. 서태성, 이승복(1996), 개발촉진지구의 합리적 운영방안 연구, 국토개발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