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영역

Search Result 1,614,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nalysis of the Computer Proficiency of the College Freshmen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기초소양 비교 분석)

  • Kim, Jong-Sun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1a
    • /
    • pp.261-266
    • /
    • 2007
  • 제7차 컴퓨터 교육과정에 대한 많은 논란과 개선방안이 제기되어 왔지만 경험한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성취수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도에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실행했던 컴퓨터 소양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하여 2005년도와 2006년도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연차별로 컴퓨터 소양과 활용수준 그리고 양 집단간의 수준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5년도에 개발된 설문지 사용하여 각 학기가 시작되는 시점에서 학생들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두 집단 모두 다섯가지의 영역에서 영역간의 수준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통신, 기초기능 그리고 정보윤리 보통 이상의 수준을 보였으며, 반면에 기초지식과 소프트웨어 활용 영역에서 보통 이하의 수준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간의 연차별 수준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보였다. 컴퓨터통신과 정보윤리 영역에서 미미하나마 2005년도에 비하여 평균이 약간 증가하였으며, 나머지 세 개의 소프트웨어 활용과 기초지식 및 기초기능 영역에서는 각각의 평균이 0.05 이하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대학 신입생의 컴퓨터 소양교육을 위한 두 집단간의 연차별 선수 지식의 수준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Planning Domain Knowledge Converter for Semantic Web Service Composition (시맨틱 웹 서비스 조합을 위한 계획 영역 지식 변환기)

  • Kim Hyun-Sik;Lee Sang-Youn;Kim In-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06b
    • /
    • pp.133-135
    • /
    • 2006
  • 최근 들어 자동화된 시맨틱 웹 서비스 조합을 위해 인공지능 계획 기법을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 하지만 이러한 계획 기법이 효과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먼저 시맨틱 웹 서비스의 명세와 온톨로지들을 계획기에서 이용 가능한 계획 영역 지식 형태로 변환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OWL-S로 기술된 웹 서비스 명세와 OWL로 정의된 온톨로지를 표준 계획영역지식 표현언어인 PDDL로 변환하는 변환기의 설계와 구현에 대해 설명한다. 이 변환기의 특징은 기존의 OWLS2PDDL와는 달리 KIF 기반의 전제조건과 효과에 대한 변환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며, 웹 서비스의 입출력 데이터에 대한 명세변환도 보다 실용적으로 간소화하였다. 또한, 이 변환기는 계획을 위한 영역모델과 이 영역모델에 기초한 다양한 문제모델들을 별도로 분리하여 생성하며, 이 두 모델 모두에 온톨로지가 적용될 수 있도록 허용한다.

  • PDF

Analysis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al Content Knowledge about Differential area (예비교사의 미분영역에 관한 내용지식의 분석)

  • Cho, Wan-Young
    • School Mathematics
    • /
    • v.14 no.2
    • /
    • pp.233-253
    • /
    • 2012
  • The purpose of the study investigate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MCK) of prospective teachers in differential area. 70 prospective teachers were asked to perform six questions based on Cho's MCK (2010, 2011). The results show that depending on whether they experience any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level of prospective teachers' mathematics content knowledge may vary. In particular, prospective teachers struggled with an unfamiliar problem situations. We also found that prospective mathematics teachers have some difficulty in solving problem about the use of mean value theorem and derivative.

  • PD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테크놀로지 교수내용 지식 (TPACK) 에 대한 예비초등교사의 인식)

  • Kwon, Hyuk-il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6 no.4
    • /
    • pp.339-345
    • /
    • 2020
  •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er knowledge based on the Technological, Pedagogical, and Content Knowledge (TPACK) framework. Seventy-four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who were enrolled at an University of Education located in mid-continent of Korea participated in a survey. Results of the survey was analyze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It was found that perception of importanc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erformance at all seven domains of the TPACK. IPA matrix extracted from the survey indicates that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CK),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TPK), and TPACK which are related to technology especially need to develop. Results of this study also show the necessity to support pre-service teachers so tha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develop and use technology-related knowledge and skills. This study especially implies that technological knowledge needs to be integrated with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when implementing curriculum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pre-servie elementary teachers.

Domestic Research Trends of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수학과 교사지식에 관한 국내 연구의 동향 분석)

  • Song, KeunYoung;Pang, JeongSu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16 no.1
    • /
    • pp.265-287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in terms of its conceptualizations of teacher knowledge, topics, methods, subjects, and content domains. For this purpose, the papers published in 9 professional journals during the recent 14 years (1999-2012) were analyzed by 5 criteri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cept of PCK was the most frequent, whereas its subcategories appeared in different forms. The most frequent research topic was survey of teacher knowledge.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quantitative methodology, whereas mixed one was hardly used. The subjects for research included a little m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an secondary counterparts, but did similarly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Whereas both the research on number and operations in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and the research on function in secondary were active, the rest of content domains were no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is paper provides severa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 in teacher knowledge in mathematics.

  • PDF

A Multi-Agent Simulation Approach to Investigating the Influence of Members' Heterogeneity on Team-Level Digital Creativity and Corporate Performance (구성원 다양성에 따른 팀단위 디지털 창의성 변화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접근방법을 중심으로)

  • Lee, Kun-Chang;Seo, Young-Wook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9 no.3
    • /
    • pp.159-172
    • /
    • 2008
  • 기업의 지적자산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지식경영 차원에서 기업들은 디지털 시대에 부합되도록 다양한 종류의 지식을 창조해내는 디지털 창의성을 기반으로 한 지식 경쟁력 향상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창의성의 개념을 정의하고 이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구성요인으로 디지털환경, 전문성영역, 디지털리스트성향을 제시하고 구성원의 다양성에 따른 디지털 창의성 변화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 에이전트 시뮬레이션 접근방법을 사용하여 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구성원의 다양성이 높은 집단일 경우 시간의 흐름에 따라 구성원의 다양성이 낮은 집단, 즉 동질성이 높은 집단 보다 지식관리시스템 (KMS)을 이용한 지식의 생성 및 공유와 디지털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성영역, 디지털리스트성향이 디지털 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디지털 창의성도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디지털 창의성과 경영성과 향상에 대한 시사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Domain-Dependent Question-Answering System (이벤트 탐색을 사용하는 일정 영역 질의 응답 시스템의 구현)

  • Chang, Du-Seong;Oh, Jong-Hun;Choi, Key-S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1.10d
    • /
    • pp.414-421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한정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질의응답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질의를 해석하고 적당한 대답을 생성하기 위해 백과사전이나 일반사전 등과 같은 지식원에서 추출된 구조화된 지식을 사용하는 과정을 기술한다. 질의응답을 위하여 지식원은 그 단락의 의미에 따라 구조화되고 각 단락은 논리형식으로 변환되었으며, 논리형식 내 각 개체들은 사전 정의문에 따라 확장되었다. 이 구조화된 지식은 입력된 자연언어 질의문에서 질의의 의도를 추출하고, 질의에 포함되어 있는 지식에 의미속성을 부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지식원의 논리형식 변환을 위해 한국어의 논리형식이 도입되었으며, 사용된 지식원은 우리말 큰사전과 계몽백과사전의 30여개 질병정의문이다.

  • PDF

Measuring and Analyz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f Functions (중등 수학교사의 함수에 대한 지식(MKT) 측정 및 분석)

  • Mun, Jinsu;Kim, Gooyeon
    • School Mathematics
    • /
    • v.17 no.3
    • /
    • pp.469-492
    • /
    • 2015
  • This study explore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particular, it focused on teachers' knowledge of functions. In order to measure teachers' MKT, we developed items according to Ball, Thames & Phelps (2008)'s domains and conducted to 34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in 5 high schools in Seoul. The findings from the data analysis suggested as follows: a) overall, the teachers scored average 67.4 out of 100, 87.43 in Common Content Knowledge[CCK], and the average score of Specialized Content Knowledge [SCK] was the lowest; b) correlations among SCK, KCS, and KC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 there was no sign of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CCK and the rest.

The Study on the Knowledge Resources Archive (지식정보자원 보존 체계에 관한 연구)

  • Cho, Jan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5 no.4
    • /
    • pp.85-104
    • /
    • 2004
  •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digital information, it comes to front to develop the policy about preservation of digital information, regarding it as national heritage. Especially, in recent years, KOREA has invested a lot of m to develop National Knowledge Database. So it is indispensable to preserve it permanently. This study categorizes knowledge information to 4 categories and suggests desirable direction for preservation policy and organization And design $\ulcorner$knowledge Creation$\cdot$Circulation$\cdot$Preservation system$\lrcorner$, which is expanded on current functional flow of Knowledge information.

  • PDF

Scientific Creativity and Visual Artistic Creativity: The Domain-universality and Domain-specificity on Creative Accomplishment (과학적 창의성과 시각예술적 창의성: 창의적 성취 사례의 영역보편성 및 영역특정성)

  • Kang, Jung-Ha;Choe, In-Soo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 /
    • v.18 no.2
    • /
    • pp.201-237
    • /
    • 2008
  •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domain-universality and domain-specificity of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from case studies on individuals who had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domain of science and visual art. For case studies, 10 people who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science and technology domain and 9 people who made creative accomplishments in the visual art domain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participants. The conclusions for the case studies were made on the data obtained from interviewing the research participants using KES as an analytical fra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as follows. Creativity on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is both the domain-universality and domain-Specificity. The domain-universality Of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is related to the nature of human beings, originality in creativity, and the natural selection. On the other hand, The domain-specificity of scientific domain and visual art domain is related to the type of knowledge and the context of applying the knowledge, will, thinking skill, direction, and social compon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