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 및 태도

Search Result 1,195,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여고생의 영양지식, 식태도, 식습관 및 식품영양표시에 대한 인식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조수희;유현희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2권5호
    • /
    • pp.519-533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dietary habits of girl's high school students in Kunsan, and to investigate their recognition of food-nutrition label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General nutrition knowledge is relatively low, with an average of 0.57. It was shown that high school female students skipped breakfast rather than lunch or dinner, with a skipping rate of 28.9% for breakfast, 0.7% for lunch, and 8.6% for dinner. Regarding snacks, 35.5% of all the surveyed students had 1 snack per day, with 31.9% having them between lunch and dinner. The most popular snacks include biscuits (22.3%), noodles (18.3%) and bakery (13.3%). The most popular response was that students 'sometimes checked' the food label of processed domestic and imported processed food.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ood labels is moderate, with an average of 2.96, out of 5. The most satisfactory title about food labels was 'helpful for food selection' with 3.19. On the other hand, the least satisfactory title was 'understands the label' with 2.78. Regarding the identification of the nutrition labeling, the highest response was 'sometimes watched, sometimes not' with 40.5%. Products which were most often checked were milk/milk products (3.44), snacks/bread (3.33), and soft drinks (3.07). Among nutrition labeling items, total calories w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fat, carbohydrate, cholesterol and calcium. The question regarding the knowledge of nutrition labeling rated an average of 0.58 (out of 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the nutrition label verification and the dietary attitude score, along with the nutrition labeling knowledge and the nutrition knowledge score of the subjects. On the other hand, the degree of the nutrition label verification and the knowledge on nutrition labeling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Hence, it is of the opinion that education on properly reading nutrient information is necessary to enable adolescents to apply that in real life. Furthermore, labeling nutritional information on processed fred through a more comprehensive method is deemed necessary as a supporting measure.

AIDS에 대한 보건교육을 통한 일부 사병의 지식 및 태도변화 (Change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 of Soldier through Health Education)

  • 홍순이;정문숙
    •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3-15
    • /
    • 1994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hanges of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AIDS of soldier through health education. The sample was selected with and experimental group(160 persons who were received health education group) and control group(160 persons who were not received), 20-21 years of age from 320 persons(soldier) who were between in a certain base located in Kyung Gi province. The data was collected from 24th Feb. to 21st April 1993. By questionnaires before and post test for education process about 4 weeks(pre and post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Of 320 soldiers 66.6% had received health education on sex before attending in base, 58.8%(94 persons) of experimental group and 58.1%(93 persons) had experience with sexual intercourse. In characteristics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age of first sexual intercourse for experimental group was 19 in highest percentage as 30.0%, 18 in control group, 64.9% of experimental group and 61.4% of control group answered no use condom during sexual intercourse. About the reasons why use condom 51.5% of experimental group answered to prevention of VD and 44.4% of control group answered to prevention of partner's pregnancy in the highest percentag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 of knowledge level of experimental group and mean score of control group in pre-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15.23) of experimental group and mean score(12.98) of control group(p<0.01) in post-test. The attitude level in pre, post education was mean score 1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9.04) of experimental group in pre-test and mean score(9.39) in post education(p<0.05), There wa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9.16) of control group in pre-test and mean score(9.60) in post-test(p<0.05), Mean score of perceived susceptability level of experimental group decreased from mean score 2.84 in pre-test to 2.66 in post-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 of pre-test and that of post-test in 2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s of perceived severity of experimental group in pre-test and that in post-tes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ean score of perceived severity of control group in pre-test and post-te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ean scores of perceived benefits to act health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or control group and pre-test and post-test.

  • PDF

퍼지이론을 이용한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의 항만운영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Port Operation for New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Using Fuzzy Theory)

  • 유성재;차영두;여기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1호
    • /
    • pp.91-100
    • /
    • 2016
  • 본 연구는 퍼지이론을 이용하여 신규 건설중인 인천항 신국제여객터미널의 항만운영 성공요인 도출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항만운영 성공요인은 카페리선사와 항만하역사에 종사하는 임직원을 대상으로 1차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후, 한중카페리 선사 및 해당 하역사의 근무경력 15년 이상 전문가와 심층인터뷰(Indepth-Interview)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전문가의 지식 추출이 가능한 퍼지방법을 활용하여 성공적 항만운영 요인에 대한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신국제여객터미널을 이용하게 될 선사와 하역사들을 대상으로 "부지 사용적 측면", "생산성 측면", "비용적 측면", "항만서비스 측면"으로 상위평가요인을 분류하여 항만운영의 성공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부지사용적 측면"은 컨테이너장치장 확보(0.857)가 가장 중요한 요소로 나타났으며, "생산성 측면"에서는 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 구축(0.806)이 가장 중요하게 분석되었다. "비용적 측면"과 "서비스적 측면"에서는 부지 임대료 산정(0.861)과 선석스케쥴 관리(0.798)가 각각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신국제여객터미널은 적정임대료 산정, CY장치장 적정면적 확보, 터미널의 자동화 시스템 구축 등에 주력하여 항만운영을 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지니며 향후 동일 운영형태의 국제여객터미널 비교분석 연구를 진행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간호학생 실습이 지역주민의 보건지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간호대학 보건간호학 실습을 중심으로- (A Survey of the Effect of Nursing Students on Community Health Knowledge)

  • 조원정;김의숙;이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1-119
    • /
    • 197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delivery of health services effects the health knowledge of the recipients of that service. 10 was hypothesized that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theory, though health services rendered by public health nursing students during their field experiences. would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quantity and quality of health knowledge of the female population of a given community. In April 1970, ninety five women(between an age 15-49) from Koyang-Gun were interviewed regarding their knowledge and attitudes in four areas of health: maternal health, child health. family planning and tuberculosis prevention. After 11 years(Nov. l971), during which time the women received home visits by student nurses, the women were again interviewed using the original questionnaire. Additionally, they were asked where they had received information about each question. During the 1$\frac{1}{2}$ year period the visits were made by a total of 112 students. They visited the community twice a week. The result were as follows: Maternal health There was marked improvement in the knowledge of specific aspects of maternal health such as the proper instruments needed for cutting the cord and nutritional precaution of pregnancy (p<0.05). In each case 42.0 percent of more of this knowledge was attributed to information gained from the nursing students. However even after the nursing students'visits, the knowledge of other general areas of maternal remained poor. Child health There were increases in the knowledge of the respondents for the time to supplement breast feeding and for time to wean infants (p<0.05). In each case 35.0 percent or more of this information was attributed to the student. The increase in knowledge regarding types of immunization was more often attributed to the clinic nurse than to the nursing students. Knowledge of the necessity of booster immunization was poor both before and after the visits by the nursing students. Family planing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correct information regarding the time of I.U.D. insertion (P<0.05) and method of taking the oral pill (P<0.05). More than 42.0 percent of the increase was attributed to the nursing students'visits. However there was a slight decrease in correct information about concept of family planning. Tuberculosis There was a general lack of improvement in all areas concerned with tuberculosis. Two thirds of the respondents felt tuberculosis was hereditary and did not know what B.C.G. was. From this study,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 specific area the health knowledge of the female population studied was positively effected by the visits of the nursing students. The study also, suggests, however, that there was a marked unevenness in the overall increase in health knowledge. This raises serious questions which require further research. Suggested areas for further research are (1) Adequacy of the course content preparing nurses for the field experience. (2) A public health nursing manual for student reference. (3) Where and when specific aspects of health can be taught most effectively.

  • PDF

구강보건교육 경험에 대한 20대의 인식조사 (Survey of Oral Health Education Effects in Twenties)

  • 심호진;박소영;송은주;신종현;김진범;박혜련;김지연;정태성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99-507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를 졸업한지 10년 이내의 성인을 대상으로 구강보건교육 경험과 인식을 조사하여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보건교육을 제고할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412명의 성인에게 설문지를 배포 후 회수된 설문지 중 기준에 부합하는 388명을 선정하였다. 설문 내용은 학령기 구강보건교육 경험과 인식,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구강건강 행동과 태도에 대한 항목을 포함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효과적인 구강보건교육 시기는 초등학교로 인식되었다. 가장 선호하는 구강보건교육 방법은 치과의사의 구강검진 및 대면 설명이었고 구강건강 지식은 주로 웹 검색을 통해 습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불소와 홈메우기의 치아우식 예방 효과에 대한 인식은 다소 부족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향후 소아와 청소년의 구강보건교육에 치과의사의 역할을 확대하고 웹 검색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온라인 소비자 리뷰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Investiga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Effects of Online Consumer Reviews)

  • 이호근;곽현
    • 정보화정책
    • /
    • 제20권3호
    • /
    • pp.3-17
    • /
    • 2013
  • 온라인 상점의 발전과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소비자들 사이에 상품정보에 대한 의견이 교환되기 시작하면서 온라인 소비자 리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소비자 리뷰와 관련된 연구의 개괄적인 흐름을 파악하여 연구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방향을 탐색하였다. 온라인 소비자 리뷰 연구에서는 리뷰의 유용성, 리뷰로 인한 소비자의 태도변화를 주로 다루었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은 대체로 메시지 요인, 리뷰어 요인, 소비자 요인, 그리고 제품/서비스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메시지의 특성에 대한 연구는 메시지의 양과 평가적 메시지가 많을수록 유용하며, 메시지의 방향성에 대해서는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또한 리뷰어의 신뢰성 및 평판, 소비자의 제품지식과 제품관여도, 제품/서비스의 유형에 의해 리뷰의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에는 소셜미디어의 등장으로 보다 활발하게 소비자 리뷰가 이루어지고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전달됨에 따라 이에 따른 소비자 리뷰의 영향력에 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소비자 리뷰를 역이용하는 기업이 늘어남에 따라 온라인 소비자 리뷰의 부작용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 PDF

해양교육의 가치 측정 지표 개발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Measuring the Value of Ocean Education)

  • 이슬기;김태균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224-230
    • /
    • 2021
  • 2005년 정부가 첫 해양교육 정책인 「청소년 해양교육계획(2005~2010)」을 발표한지 16년이 지났다. 정부의 노력으로 해양교육 중요성에 대한 국민의 공감대는 형성되었지만, 그동안 수립한 정책이 국민을 비롯해 사회경제에 미친 영향을 객관적으로 분석하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교육 서비스에 개인들이 부여하는 가치의 정확한 정의와 측정 지표를 개발함으로써 해양교육 참여집단과 비참여집단 간 해양에 대한 인식과 행동의 차이를 파악하고 해양교육의 효용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해양교육의 가치를 정의하고 국민 개인에게 제공할 수 있는 가치 항목에 대해 분류하였다. 둘째, 분류된 가치 항목들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개발을 위해 다양한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각 항목별 내용타당도(Content Validity Ratio, CVR)를 측정하여 최종 지표와 설문 문항을 도출하였다. 전문가 델파이 분석 결과 32개의 지표 항목 중 CVR값 0.6 이상인 18개의 항목이 최종 채택되었다. 인지적 가치 범주에는 개인의 해양 지식 수준과 인식 변화, 문제해결 역량 등을 파악할 수 있는 지표들이 선정되었으며, 행동적 가치 범주에는 좀 더 구체적으로 해양을 바라보는 태도와 관계, 책임감 있는 행동 변화를 판단할 수 있도록 지표로 확장하였다. 본 연구는 정부가 국민에게 제공하는 해양교육서비스의 가치를 직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들은 정부가 해양교육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데 있어 안정적인 예산 확보 및 인적자원 확대의 당위성을 확보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 Study on the Realistic Media Creator Curriculum Based on Drone Video

  • Kim, Gi-Weon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0호
    • /
    • pp.83-91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단순한 드론 조작 교육을 통한 자격증 취득 교육이 아닌 특성화된 에듀테인먼트 SW 교육강사 및 드론 실감미디어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한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해 일차적으로 NCS 기반 교육과정을 도출하였다. 개발된 교육과정으로는 에듀테인먼트 드론 교육과정과 실감미디어 크리에이터 교육과정이 있다. 이 중 드론 조종 교육과정에 대해 핵심 책무를 정의하고 각각에 대해 핵심작업, 지식, 태도를 기술함으로써 드론 조종에 대한 세부 교육과정을 도출하였다. 실감미디어 크리에이터 교육과정에서는 광고 영상물을 실제 제작하는 파일럿 과정을 통해 산업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 교육을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메타버스 환경에서 온라인 컨퍼런스 개최를 통해 교육생들이 제작한 미디어 영상물을 서로 공유하고, 토론하는 가상 컨퍼런스를 운영하였다. 교육종료 후에는 교육 수료자 46명을 대상으로 교육만족도 분석을 통해 본 교육과정의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본 논문은 포스트 코로나 이후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하는 비대면 온라인 교육에서의 SW 교육 내실화를 이룰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실감미디어 크리에이터 양성 교육과정과 파일럿 프로그램, 메타버스 컨퍼런스 운용 사례를 보임으로써 실감미디어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였다.

한국 공공보건의료 의사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curriculum for developing physician's competencies in public health)

  • 김상현;박정훈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5권4호
    • /
    • pp.194-207
    • /
    • 2020
  • 본 연구는 평생교육 차원에서 우리나라 의사를 대상으로 한 초기 연구이고, 지식뿐만 아니라 술기, 태도를 포함하여 의사평생교육(CME)에서 나아가 전문직업성 개발(CPD)로서 역량바탕교육을 지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으로서 공공보건의료 의사역량개발 교육에서 어느 정도 교육만족도와 교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교육대상이 소수에 국한되어 있고 객관적인 평가방법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향후 교육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평가가 이루어지기 힘든 평생교육에서도 자기평가가 아닌 객관적 평가(예: 간단한 테스트 등)를 실시함으로써 수행(performance)이 아닌 역량바탕교육(competency based education)을 지향해야 할 것이다.

농촌지역 치매노인의 삶의 질 구조모형 - PRECEDE 모형 기반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ased on PRECEDE Model for the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Rural Area)

  • 송미순;김현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7권4호
    • /
    • pp.242-254
    • /
    • 2022
  • 본 연구는 농촌지역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PRECEDE 모형을 적용하여 관련요인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PRECEDE 모형의 단계에 따른 사정요인을 문헌을 참고하여 선정하고, 치매 선별검사를 통하여 치매 진단받은 대상자들을 일대일 면접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노인 삶의 질은 건강변인인 우울과 주관적 기억 감퇴 및 의존성에 의해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건강변인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강화요인인 사회적 지지와 행동요인인 치매예방행위와 건강실천행동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강화요인과 행동요인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미쳐서 결과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간접 영향변수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소인요인인 치매지식, 치매태도, 자기효능감은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즉 PRECEDE 모형의 단계별 요인 중 소인요인, 강화요인, 행동, 건강요인이 연결망을 이루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가능요인은 환경요인에 영향을 미쳤지만 삶의 질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대상자들의 사회적 물리적 환경이 농촌이라는 지역적 소외, 낮은 교육수준과 고령이라는 한계를 반영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농촌지역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간호프로그램 계획 시 PRECEDE 모형을 적용한 다면적인 사정 요인들을 대상자의 특성를 반영하여 포괄적으로 구성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