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표상

Search Result 81,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evelopment of Information Visualization Tool using Knowledge Representation (지식 표상 방법을 이용한 정보 검색 시각화 도구 개발)

  • Ji, Hye-Sung;Park, Ki-Nam;Lim, Heui-Seo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9
    • /
    • pp.383-390
    • /
    • 2012
  • In this paper, we suggest an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using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suggested in this paper is designed to automatically extract retrieval intention using user's search history data and visualize extracted retrieval intention in the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 structure. A psychological knowledge representation methodology was adopted for schema for retrieval intention representation and its effectiveness has been proved through the behavioral experiments. Result of experiment revealed that information retrieval visualization tool has been improved approximately 39% in user satisfaction compared to existing retrieval method, suggesting a measure to solve re-retrieval problem in the process of information retrieval.

Word Sense Disambiguation Using Knowledge Embedding (지식 임베딩 심층학습을 이용한 단어 의미 중의성 해소)

  • Oh, Dongsuk;Yang, Kisu;Kim, Kuekyeng;Whang, Taesun;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19.10a
    • /
    • pp.272-275
    • /
    • 2019
  • 단어 중의성 해소 방법은 지식 정보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식 기반 방법과 각종 기계학습 모델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지도학습 방법이 있다. 지도학습 방법은 높은 성능을 보이지만 대량의 정제된 학습 데이터가 필요하다. 반대로 지식 기반 방법은 대량의 정제된 학습데이터는 필요없지만 높은 성능을 기대할수 없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지식내에 있는 정보와 정제된 학습데이터를 기계학습 모델에 학습하여 단어 중의성 해소 방법을 해결하고 있다.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지식 정보는 상위어(Hypernym)와 하위어(Hyponym), 동의어(Synonym)가 가지는 의미설명(Gloss)정보이다. 이 정보의 표상을 기존의 문장의 표상과 같이 활용하여 중의성 단어가 가지는 의미를 파악한다. 하지만 정확한 문장의 표상을 얻기 위해서는 단어의 표상을 잘 만들어줘야 하는데 기존의 방법론들은 모두 문장내의 문맥정보만을 파악하여 표현하였기 때문에 정확한 의미를 반영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의미정보와 문맥정보를 담은 단어의 표상정보를 만들기 위해 구문정보, 의미관계 그래프정보를 GCN(Graph Convolutional Network)를 활용하여 임베딩을 표현하였고, 기존의 모델에 반영하여 문맥정보만을 활용한 단어 표상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 PDF

The Difference of Knowledge Representation: Comparison of Typicality Effects between Categories and Scripts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 차이: 대상범주와 행위각본의 전형성 비교)

  • 이재호;이정모;이건효;김성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52-257
    • /
    • 2000
  • 개념지식인 범주지식과 각본지식의 표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두 개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 1 에서는 상위 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하위 개념을 목표단어로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전형조건이 비형성조건에 비해서 명명시간이 빨랐다. 범주지식에서는 전형성의 효과가 관찰되었지만 각본지식에서는 전형성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실험 2에서는 하위 개념을 점화단어로 제시하고 상위 개념을 목표단어로한 명명과제를 실시하였다. 범주지식이 각본지식에 비해서 명명시간이 빨랐으며, 범주지식에서는 전형성의 효과가 관찰되었지만 각본지식에서는 그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라서 상위-하위 개념의 표상체계가 다르게 구성됨을 시사한다.

  • PDF

Eojeol Representation in Mental Lexicon (심성어휘집내의 어절 표상 구조)

  • 임희석;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2.05a
    • /
    • pp.46-50
    • /
    • 2002
  • 인간의 지식 표상 규명에 대한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심리학에서뿐만 아니라 인간의 지능을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하고자 하는 인공지능 학문에서도 오래 전부터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특히 인간의 지식 중 언어 지식에 대한 연구는 인간의 언어처리 과정 및 현상을 규명하고 이해하고자 하는 심리언어학에서뿐만 아니라 인간의 언어를 컴퓨터를 이용하여 처리하고자 하는 전산언어학 연구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피험자를 대상으로 한 어절 재인 시 관찰되었던 언어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 모델과 이에 근거한 심성어휘집내에서의 한국어 어절의 표상 구조를 제안한다.

  • PDF

The Level of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CK on Dens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ight Aspects of CoRe by the Level of PCK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밀도에 관한 내용교수지식 수준과 그에 따른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

  • Kwak, Sang-Won;Choi, Byung-Soo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56 no.1
    • /
    • pp.128-136
    • /
    • 2012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level of PCK which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have on the concept of densit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content representation on the concept of density by their PCK level. For that purpose, 20 science teachers were selected and asked to answer the questionnaire on the eight aspects of CoR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science teachers' PCK levels were low in general and evaluated as below average. The difference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teachers' content representation by their PCK level were high in seven aspects of CoRe but the one aspect of the understanding of learner's preconception. These differences were analyzed and the patterns shown by the science teachers in eight aspects of CoRe were drawn in this study. It was also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drawn in eight aspects of content representation shown by the teachers whose PCK level was medium were close to those whose PCK level was low rather than high in most aspects of CoRe.

Knowledge Representation Characteristics of Categories and Scripts: An Investigation on Hierarchy and Typicality Effects (개념지식의 유형에 따른 표상차이: 범주와 각본의 위계성과 전형성 비교1))

  • 이재호;이정모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1 no.3_4
    • /
    • pp.73-81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som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on of category knowledge and script knowledge. Using primed lexical decision task with higher level primers in the representation structure, Experiment 1 examined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knowledge type and concept typicality. It was found that the concept typicality has some effects in category representation, while it has no significant effect in script representation. In Experiment 2, primers of the lower hierarchy in the representation structure were employ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in effect of knowledge type was significant: the response time for category knowledge was faster than that for script knowledge. Typicality effect did not show in this experiment. The results of t the two experiments suggest that category knowledge is represented in hierarchy and typicality. while script knowledge may lack in that characteristics. Other aspects of the differences in characteristics of category- and script- knowledge representation were discussed,

  • PDF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for Shadow Phenomenon (그림자 현상에 대한 초등학생의 시각적 표상 능력)

  • Yoon, Hye-G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9 no.2
    • /
    • pp.295-305
    • /
    • 2019
  • In previous study,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axonomy (VRC-T), which is composed of two dimensions, was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effective visual representation use and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In this study, elementary school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for shadow phenomenon was investigated using VRC-T. In terms of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interpretation' was the highest score, followed by 'construction' and 'integration'. It also showed that students'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was not high even after learning shadow-related units in the regular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text-based scientific knowledge was not correlated with all categories of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to emphasize visual representation more in science class. Finally,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cognitive processes of VRC-T was explored according to ordering theory. If the tolerance level is somewhat loosened, a linear hierarch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six cognitive processes. This suggests that VRC-T is an analytical framework that can be useful when designing assessment tools, tasks, and science class activities to enhance visual representation competence.

Exploring young children's cognitive structures using scientific representation ability (과학적인 표상능력을 이용한 유아의 인지구조 탐구)

  • Shin, Young-Suk;Shin, Sun-H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5.05a
    • /
    • pp.192-197
    • /
    • 2005
  • 인간이 생각하고 지식이 습득되어지는 방법에 대한 이해는 인지과학자들에게 항상 중요 관심사이다. 학교교육이 전개된 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인지과정을 탐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논문에 유아기 유아들을 대상으로 과학적인 표상능력을 이용하여 유아의 인지구조를 고찰하였다. 5세 유아 120명을 대상으로 2년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곤충류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 후, 그림 그리기와 언어 표현 방법을 이용하여 유아들의 인지과정이 탐구되었다. 유아들은 1차, 2차 표상과정을 통해 기존에 갖고있던 사물에 대한 개념에 분명한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들의 과학지식 형성에 대한 인지과정을 기술하며, 과학적 지식으로 확장될 수 있는 효율적인 지도 방법을 제공한다.

  • PDF

Expert-novice differences of mental representation and problem solving strategy in mechanics problems (물리 문제에 있어서 전문가-초보자 간의 내적표상과 해결방안의 차이)

  • Park, Yun-B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8 no.2
    • /
    • pp.43-52
    • /
    • 1988
  • 과학교육에서의 문제해결력의 강조는 그 긴 역사를 가지고 있으나, 인지 심리학에서의 정보처리 모형을 사용한 문제해결과정의 분석이 사용되면서 그 교수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하나의 탐색연구로써 학습자들이 물리문제를 해결하려는 과정에서 그 문제를 자기나름으로 이해하여 만든 내적표상과 동원한 해결방안이 문제해결에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내보려고 한다. 물리전공 박사과정 학생 3명을 전문가로, 고등학생 2명과 대학 1년생 4명, 모두 6명을 초보자로 삼아 역학내용을 다룬 세 문제를 소리내어 푸는 과정을 개인별로 녹음하여 그 문제해결과정들을 분석하였으며, 학생들의 사고수준을 알기위해 사고 수준검사가 실시 되었다. 주로 질적 분석을 사용했으나 그 결론을 뒷받침하기위해 비모수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유의수준 . 10) 밝혀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내적표상은 피험자와 문제에 따라 각각 달랐다. 초보자들은 모두 한가지 표상을 세 문제에 걸쳐 계속 사용한데 반해, 2명의 전문가는 문제에 따라 다른 표상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표상의 형태에 따라 문제해결결과가 달랐다. 즉,일-에너지 표상형태를 사용한 피험자가 더 나은 결과를 얻는것으로 나타났다. 2) 문제해결방안에 있어서는 전문가들은 세문제에 걸쳐 계속하여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하였으나 초보자들은 문제에 따라 다른 방안들을 동원하였다. 지식-개발 방안을 사용한 경우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나은 결과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사고 수준검사(하위검사 또는 전체)의 접수와 문제해결과정 변인들-특히 내적표상의 형태, 문제해결방안의 종류, 목표확인 그리고 문제 해결력-간에는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그외 속도와 가속도 개념의 혼동, 마찰력 개념의 부정확 등이 공통적으로 범하는 실수였다. 본 연구가 과학교육 실제에 주는 함의로는 내적표상, 문제해결방안의 훈련을 통한 문제해결력의 향상을 들 수 있겠으며 이를 위한 세부연구가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

A Grounded Theory on the Process of Scientific Rule-Discovery- Focused on the Generation of Scientific Pattern-Knowledge (과학적 규칙성 지식의 생성 과정: 경향성 지식의 생성을 중심으로)

  • 권용주;박윤복;정진수;양일호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3 no.1
    • /
    • pp.61-7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a grounded theory on the process of undergraduate students' generating pattern-knowledge about scientific episodes. The pattern-discovery tasks were administered to seve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elementary education. The present study found that college students show five types of procedural knowledge represented in the process of pattern-discovery, such as element, elementary variation, relative prior knowledge, predictive-pattern, and final pattern-knowledge. Furthermore, subjects used seven types of thinking ways, such as recognizing objects, recalling knowledges, searching elementary variation, predictive-pattern discovery, confirming a predictive-pattern, combining patterns, and selecting a pattern. In addition, pattern-discovering process involves a systemic process of element, elementary variation, relative prior knowledge, generating and confirming predictive-pattern, and selecting final pattern-knowledge. The processes were shown the abductive and deductive reasoning as well as inductive reasoning. This study also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teaching and evaluating in science educ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