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재산권교육

Search Result 26,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공과대학원의 지식재산 교육에 관한 국제 비교 연구)

  • Kim, Joon-Ho;Hong, Jin-Hwa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1 no.1
    • /
    • pp.101-116
    • /
    • 2008
  • As industrial society has changed to knowledge-based society, the needs for th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the engineering school is emphasized. Therefore graduate engineering school in USA, Europe, and Japan has strengthened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The curriculum has expanded from intellectual property introduction to business development using patent technology, valuation of intellectual property, intellectual property strategy and management. However, th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engineering school in Korea is in early stage. This study has surveyed the 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in major engineering school in USA, Europe and Japan, and compared it with the education in Korean engineering school. Finally, some recommendations are provided based on this study.

Case Study of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Convergence Capstone Design Class (전문대학 예비유아교사 융합형 캡스톤디자인 수업을 통한 지식재산권 연계 사례 연구)

  • Ko, Eun Mi;Park, Young Si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6
    • /
    • pp.833-841
    • /
    • 2023
  • The study is to suggest the example of convergence capstone design operation i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college and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Based on key experiences such as practical training, students derived ideas for solving problems across the field related to young child, and overlaps with exis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deas were verified. Linkage with industry and engineering experts was established for mentoring, after going through a refinement process, it contains the process by which five teams among the winning works of the school competition achieved the result of patent application and registration. Through this, we revitalize convergence capstone design education that goes beyond a creative and practical competency-centered curriculum and is linked to the performance of secur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발명하는 사람들-제62호

  • Korea Women Inventors Association
    • The Inventors News
    • /
    • no.62
    • /
    • pp.1-16
    • /
    • 2007
  • 2007여성발명축제/여성발명의 미래 우리가 책임진다/장애여성지식재산권교육 첫 실시/발행인 칼럼/한국 나노기술 세계수준/미국 특허출원 쉬워진다/심판관 면담도 인터넷 신청/국내 대학.공공 특허관리역량 선진국 기관 대비 45.8% 불과/특허청 상표 분석 중기 도움/장애여성 지식재산권 갖기 운동/2007여대생발명캠프/2007 여성발명축제/발명은 글로벌 시대를 여는 도전 정신입니다/내일을여는 멋진여성 허혜숙 중앙회장/장애인용자동차 특허출원 증가 추세/미래를 여는 여성발명교육의 발전 방향/'특허괴물' 국내서도 활동/고객 맞춤형 특허제도로 수정 '긍정평가'

  • PDF

대만의 지적재산 관련 활동에 대하여

  • Hwang, Yong-Gu
    • Patent21
    • /
    • s.49
    • /
    • pp.3-8
    • /
    • 2003
  • WTO/TRIPS 협정 체결과 WIPO의 저작권 조약이 선진국의 주도로 성립된 뒤로 지적재산권 분야의 변화와 대응은 각국의 주요 이슈로 부각 되었다. 새로운 지적재산 체제는 경제는 물론 교육, 문화, 사회 전반에 걸핀 서비스영역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지식재산 시대에서 한국과 경제적, 문화적, 지정학적으로 비슷한 위치에 있는 대만의 과학기술 정책과 연구 개발 활동, 그리고 지적재산권에 대한 현황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대만의 지적재산 관련 정책대응과 활동에 대해 알아본다.

  • PDF

특허 News

  • (사)한국여성발명협회
    • The Inventors News
    • /
    • no.21
    • /
    • pp.2-2
    • /
    • 2004
  • 한국발명진흥회 지식재산권 오프라인 교육 통해 전문인력 양성 - 냄새 없이 영양 강화한 청국장 건강식품으로 대두

  • PDF

돋보기- 사이버국제특허아카데미

  • Sin, Seung-Cheol
    • Digital Contents
    • /
    • no.5 s.132
    • /
    • pp.117-117
    • /
    • 2004
  • 인터넷을 통해 커다란 정보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첨단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각종 인프라를 통해 시공을 초월한 지식정보화 산업시대로 변모하면서 지식자산이 국가 경쟁력을 좌우하게 됐다. 한국발명진흥회는 최근 지적재산권 전문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사이트,‘ 사이버국제특허아카데미(www.ipacademy.net)’를 개설했다. 5월 19일 발명의 날을 맞아 이 사이트를 소개한다.

  • PDF

Curriculum model plans to extend the IP training base (IP(지식재산권) 교육 저변확대를 위한 교과운영모델 방안)

  • Jo, Jaeshin;Song, Yosoo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5
    • /
    • pp.329-338
    • /
    • 2016
  • As the creative economy is considered important recently, learner-centered IP(Intellectual Property) education has proliferated rapidly to universities, and there are greater attention and demand on IP education.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ack of curriculums and an accreditation for IP education. This paper is to propose IP education module and emphasize the need of the accreditation for IP education and its authentication plan. This paper will also show the need of specialists and educational curriculum in the field of IP, the current status and the analyse of the IP education, and the trend of IP courses in intellectual-property-leading universities. It subsequently examines the domestic education accreditation system and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NCS) curriculum and suggests the IP education 8 courses model as a curriculum management model, the standard curriculum of the IP educational system, and the instructional module.

대학 창업교육 및 지원제도의 중요도 및 성취도 비교 분석

  • Kim, Su-Jin;Nam, Jeong-Mi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04a
    • /
    • pp.65-71
    • /
    • 2022
  • 최근 경제불황 및 실업률 증가, 일자리 창출의 대안으로 창업이 떠오르고 있다. 특히 정부는 혁신적인 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대학 학생을 중심으로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 중요도 및 성취도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요인별 우선순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질적 성장 및 고도화 방안을 도출하고자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분석을 이용한 중요도-성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학 창업교육 및 창업지원의 모든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가 성취도보다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중요도-성취도 매트릭스에서 가장 개선의 우선순위가 높은 요인은 「자금 및 투자지원」, 「창업 공간 및 시설지원」, 「경영자문」, 「특허 및 지식재산 지원」, 「창업현장실습」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창업교육 및 지원제도가 구축할 수 있도록 대학 내 자체 창업투자 재원 확보(실행), 대학의 액셀러레이터 역할 및 기능 강화, 학생창업자 입주공간 우선 지원 및 확대, 기술 기반 학생창업자에 대한 지식재산권 보장(지원), 학생들의 수요조사를 반영한 창업교과목 개발 및 보급 등을 제언하고자 한다.

  • PDF

발명계 소식

  • (사)한국여성발명협회
    • The Inventors News
    • /
    • no.35
    • /
    • pp.3-4
    • /
    • 2005
  • 특허기술상품 해외 전용 판로 열리다 - 미래 바꾸는 `2005 대한민국 특허기술 이전 박람회` - 특허청, 6시그마 도입으로 `특허행정 매뉴얼화` 추진 - GS 그룹의 새로운 로고 분쟁, 특허청 손에! - 미국, 한국에 대한 지적재산권 감시 등급 낮춰 - 충남중기종합지원센터 지역 첫 지식재산센터로 지정 - 대학로고에 `성형바람` - 발명교육 청소년 사이트 `발명틴틴` 퀴즈 이벤트 - 특허심판, `2006년 말까지 6개월 이내` 처리 - 특허고객콜센터 `한국서비스품질우수기업인증` 획득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