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식공간론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Concept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천문학 개념의 위계 분석)

  • Yun, Ma-Byeong;Kim, Hui-Su;Lee, Hang-Ro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4a
    • /
    • pp.31-31
    • /
    • 2010
  • 고등학교 지구과학에서 다루는 천문학 개념의 위계를 밝히고, 그에 따른 교수-학습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식공간론을 활용하여 학습과제 속에서 내재되어 있는 학습자의 지식상태를 분석하였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천문학적 공간개념에 대한 구성 요인 간 위계는 '공간위치 $\rightarrow$ 공간추리 $\rightarrow$ 공간변화' 순이었다. 학습자의 천문학적 공간개념 점수가 같아도 개념의 구조화( 지식상태 )가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었다. 이는 학습자에 따라 개별화 학습의 처방이 달라져야 함을 시사한다. 천체관측 개념의 위계는 '지구운동 $\rightarrow$ 천구좌표계 $\rightarrow$ 천체관측( 망원경 원리 $\rightarrow$ 망원경 설치 $\rightarrow$ 망원경 관측 )' 순으로 분석되었으며 2007개정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순서와는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생들의 천체관측 개념에 대한 지식상태 분석에서 개념의 구조화가 잘 이루어진 학생의 경우에는 하위 위계를 이루는 지구운동과 천구좌표계, 망원경 원리에 관한 문항을 잘 맞추었고, 상위 위계에 있는 망원경 설치와 관측 문항에서 정답률이 낮았다. 그러나 개념의 구조화가 덜 이루어진 학생의 지식상태는 하위 위계를 이루는 지구 운동 관련 문항에서 더 많이 틀렸고, 최상위 위계( 망원경 설치, 관측 )를 이루는 문항에 대한 정답률이 높았다. 지구과학I의 천체관측 단원에 대하여 학습자의 심리적 위계와 교과서의 논리 위계에 따라 학습과제를 제시하여 교수-학습한 결과, 개념의 형성률은 심리적 위계에 따라 수업한 경우가 유의미( p & .05 )하게 더 높았다.

  • PDF

Hierarchical Analysis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Based on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에 기초한 천문학적 공간개념의 위계 분석)

  • Yoon, Ma-Byong;Kim, Hee-Soo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31 no.3
    • /
    • pp.259-266
    • /
    • 2010
  •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hierarchy of astronomical concepts and an individual student's knowledge state are analyzed by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that allows one to infer an individual's entire knowledge on a subject based on fragmentary information coming from that student's answers. The hierarchy of astronomical space concepts is: spatial position$\ll$spatial reasoning$\ll$spatial variation. In addition, an analysis of assessment material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shows not only the relationship of assessment questions but also the knowledge state of individual students, which the current evaluation method is not able to reveal. Therefore, the assessment analysis of this study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becomes critically instrumental in providing information of an instructional differentiation amenable to individual learners for deciding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and selecting suitable curriculum.

A note on fuzzy knowledge spaces (퍼지지식공간론에 관한 연구)

  • Lee, chae-Jang;Kim, Taekyun;Jongduek J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Conference
    • /
    • 2002.12a
    • /
    • pp.33-36
    • /
    • 2002
  • 최근 수학구조 및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에 지식공간 이론을 응용하고자하는 논문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유의미 학습과 관련된 수행평가와 수학문제를 푸는 능력에 관한 평가를 연구하는데 지식구조가 응용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데는 많은 애로사항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오고 있다. 특히, Schrepp교수는 스피드문제의 경우로 제한하여 지식공간론을 응용한 일반화된 수학구조의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 지식의 평가를 하게되는 수학구조 및 공간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퍼지지식공간론에 관한 전반적인 기초 이론을 정의하고 그 성질들을 연구하고자한다.

Development of a Tool to Support Learning Tasks Analysis Using the Knowledge Space Theory (지식공간론을 활용한 학습과제분석 지원도구의 개발)

  • Jo, Hyeong-Cheol;Lim, Jin-Sook;Kim, Seong-Si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1
    • /
    • pp.129-139
    • /
    • 2004
  • This society is rapidly changing into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s such, revolutionary and efficient teaching methods are needed in school education rather than traditional methods. To be an efficient teaching lesson, teaching plans based on learners' prior knowledge are needed. The knowledge-space theory provides the methods of efficient analysis about learners' status of knowledge. This study designs and implements the support-learning tool based on the knowledge-space theory to increase the efficiency in classroom less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of analysis of learners' knowledge status.

  • PDF

A note on fuzzy knowledge spaces

  • Jang, Lee-Chae;Kim, Taek-Yun;Jeon, Jong-Due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3 no.1
    • /
    • pp.97-101
    • /
    • 2003
  • 최근 수학구조 및 교수-학습과 관련된 연구에 지식공간 이론을 응용하고자하는 논문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실제로 유의미 학습과 관련된 수행평가와 수학문제를 푸는 능력에 관한 평가를 연구하는데 지식구조가 응용되고 있지만 이를 활용하는데는 많은 애로사항이 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연구되어오고 있다. 특히, Schrepp교수는 스피드문제의 경우로 제한하여 지식공간론을 응용한 일반화된 수학구조의 연구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주관적 지식의 평가를 하게되는 수학구조 및 공간에 관한 연구를 하는데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는 퍼지지식공간론에 관한 전반적인 기초 이론을 정의하고 그 성질들을 연구하고자한다.

Context Aware based Geo-Ontology inference system (상황인지 기반 Geo-Ontology 추론 시스템)

  • Lee, J.K.;Joo, Y.J.;Park, S.H.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67-68
    • /
    • 2010
  • 위치 기반 서비스(LBS)는 유비쿼터스(Ubiquitous) 시대에 필요한 핵심 엔진으로 그 중요성이 논의되어 왔다. LBS 시스템은 GPS 뿐만 아니라 휴대폰을 통한 고속 인터넷 접속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위치 추적과 같은 기술이 현재 서비스된다. 그러나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대부분의 위치 기반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 위주의 일부 특정 상황을 가정한 서비스 모델 또는 사전에 정의된 일정 지역과 한정된 상황에서의 상황 인식(Context Aware) 서비스 제공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론들은 현실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들의 상환인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특성 지식과 공간지리 선호도 지식 정보 추론을 통한 Geo-Ontology통합시스템을 제시한다. 본 연구에서는 Geo-Ontology통합시스템 중에서 사용자의 상황인지기반 LBS시스템을 제시한다. 사용자들의 개인적인 특성 지식과 공간지리 선호도 지식을 구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성으로 구축된 지식 기반 하에 입력된 사용자 정보와 추론을 통하여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대한 가장 적절한 추천 결과가 도출되는 프로토타입 시스템을 제공 할 수 있음을 보였다.

  • PDF

Maintaining Spatial Informations and Structuring Appilcation System in 2-Dimensional Space (2차원 공간에서 공간 정보 유지 및 응용에 관한 연구)

  • Lee, Mal-Rye;Hwang, Su-Cheol
    • The Transaction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 /
    • v.4 no.8
    • /
    • pp.2007-2016
    • /
    • 1997
  • Generally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knowledges are used to describe the spatial information between objects in 2-dimensional space. In this study, we consider the combin of two knowldeges for complementing each disadvantages and suggest a method of maintaining a locational relation when a moving object is rotated or moved to another place between n static-objects. Also, we suggest a algorithm of modifying the relations when new locational relation is inserted into the network that represent the spatial knowledgs of the static objects. Then in order to apply our result, we have constructed a system which provide the locational informations between building and a moving car

  • PDF

A Look at the Physics Concept Hierarchy of Pre-service Physics Teacher Through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지식상태 분석법을 통한 예비 물리교사들의 학년별 물리개념 위계도 분석)

  • Park, Sang-Tae;Byun, Du-Won;Lee, Hee-Bok;Kim, Jun-Tae;Yuk, Keu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25 no.7
    • /
    • pp.746-753
    • /
    • 2005
  • In order to be efficient teachers should understand the current level of leaners through diagnostic evaluation. However, it is arduous to administer a diagnostic examination in every class because of various limitations. This study examined, the major issues arising from the development of a new science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by incorporating the using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The proposed evaluation system was based on the knowledge state analysis method. Knowledge state analysis is a method where by a distinguished collection of knowledge uses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is very advantageous when analyzing knowledge in strong hierarchies like mathematics and science. It helps teaching plan through methodically analyzing a hierarchy viewpoint for students' knowledge structure. The theory can also enhance objective validity as well as support a considerable amount of data fast by using the computer. In addition, student understanding is improved through individualistic feedback. In this study, an evaluation instrument was developed that measured student learning outcome, which is unattainable from the existing method. The instrument was administered to pre-service physics teachers, and the results of student evaluation was analyzed using the theory of knowledge space. Following this, a revised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for facilitating student individualized learning was constructed.

Reinforcement Learning Algorithm using Domain Knowledge for MAV (초소형 비행체 운항방법에 대한 환경 지식을 이용한 강화학습 방법)

  • Kim, Bong-Oh;Kong, Sung-Hak;Jang, Si-Young;Suh, Il-Hong;Oh, Sang-Ro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2.07d
    • /
    • pp.2407-2409
    • /
    • 2002
  • 강화학습이란 에이전트가 알려지지 않은 미지의 환경에서 행위와 보답을 주고받으며, 임의의 상태에서 가장 적절한 행위를 학습하는 방법이다. 만약 강화학습 중에 에이전트가 과거 문제들을 해결하면서 학습한 환경에 대한 지식을 이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새로운 문제를 빠르게 해결할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풀기 위한 방법으로 에이전트가 과거에 학습한 여러 문제들에 대한 환경 지식(Domain Knowledge)을 Local state feature라는 기억공간에 학습한 후 행위함수론 학습할 때 지식을 활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2차원 공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환경 지식을 이용한 강화학습 알고리즘을 3차원 공간에 대해서도 수행 할 수 있도록하는 개선된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알고리즘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초소형 비행체의 항공운항 학습에 대해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Communal Ontology of Landmarks for Urban Regional Navigation (도시 지역 이동을 위한 랜드마크의 공유 온톨로지 연구)

  • Hong, Il-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5 s.116
    • /
    • pp.582-599
    • /
    • 2006
  • Due to the growing popularity of mobile information technology, more people, especially in the general public, have access to computerized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s for wayfinding tasks or urban navigation. One of the problems with the current services is that, whether the users are exploring or navigating, whether they are travelers who are totally new to a region or long-term residents who have a fair amount of regional knowledge, the same method is applied and the direction are given in the same way. However, spatial knowledge for a given urban region expands in proportion to residency. Urban navigation is highly dependent on cognitive mental images, which is developed through spatial experience and social communication. Thus, the wayfinding service for a regional community can be highly supported, using well-known regional places. This research is to develop the framework for urban navigation within a regional community. The concept of communal ontology is proposed to aid in urban regional navigation. The experimental work was implemented with case study to collect regional landmarks, develop the ontological model and represent it with formal structure. The final product of this study will provide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of a region to the other agent and be the fundamental information structure for cognitive urban regional navig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