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적 탐색

Search Result 940,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Cross-Platform Search Pattern (크로스 플랫폼에서의 탐색 패턴 연구)

  • Kim, Hwoi-Kwang;Park, Chan-Ik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4
    • /
    • pp.321-327
    • /
    • 2018
  • Applications have evolved with the evolution of smartphones, and the search structure is changing as well. In this study, we searched through various cases of cross platform and found out the search pattern and suggested correct usage method accordingly. As a result, the search structure for cross platform can be divided into persistent navigation, temporary navigation, and auxiliary navigation. Persistent navigation is available in a hierarchical structure using springboards, lists, galleries, and top menus. Temporary navigation can take advantage of drawers, toggle menus, and pie menus, while secondary navigation can provide the same experience across platforms using an accordion menu or scrolling.

An Efficient Approach for Single-Pass Mining of Web Traversal Sequences (단일 스캔을 통한 웹 방문 패턴의 탐색 기법)

  • Kim, Nak-Min;Jeong, Byeong-Soo;Ahmed, Chowdhury Farhan
    • Journal of KIISE:Databases
    • /
    • v.37 no.5
    • /
    • pp.221-227
    • /
    • 2010
  • Web access sequence mining can discover the frequently accessed web pages pursued by users. Utility-based web access sequence mining handles non-binary occurrences of web pages and extracts more useful knowledge from web logs. However, the existing utility-based web access sequence mining approach considers web access sequences from the very beginning of web logs and therefore it is not suitable for mining data streams where the volume of data is huge and unbounded. At the same time, it cannot find the recent change of knowledge in data streams adaptively. The existing approach has many other limitations such as considering only forward references of web access sequences, suffers in the level-wise candidate generation-and-test methodology, needs several database scans, etc.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approach for high utility web access sequence mining over data streams with a sliding window method. Our approach can not only handle large-scale data but also efficiently discover the recently generated information from data streams. Moreover, it can solve the other limitations of the existing algorithm over data streams. Extensive performance analyses show that our approach is very efficient and outperforms the existing algorithm.

Memory Adaptation in Finding Frequent Itemsets over Data Streams (데이터 스트림에서 빈발항목 탐색을 위한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

  • 김민정;장중혁;이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b
    • /
    • pp.28-30
    • /
    • 2003
  • 컴퓨팅 환경의 발달로 방대한 양의 정보들이 매우 빠른 속도로 생성되고 있다. 구성 요소가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무한 집합으로 정의되는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마이닝 방법은 이들 정보로부터 중요한 지식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들어 다양한 방법들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마이닝 방법에서는 지속적으로 확장되는 데이터 스트림의 특성으로 수행과정에서 메모리 사용량을 가용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스트림에서 빈발 항목을 탐색하는데 있어서 가용 메모리 범위에서 최적의 메모리를 사용하여 최상의 마이닝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메모리 사용량 최적화 방법을 제시한다.

  • PDF

The Influences of Consumer's Individualism/Collectivism Disposition on the Perception of Marketing Signals and Information Search Behavior (소비자의 개인주의/집단주의 성향이 제품평가단서 지각과 정보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황윤용
    • Asia Marketing Journal
    • /
    • v.3 no.4
    • /
    • pp.59-89
    • /
    • 2001
  • 본 연구는 글로벌 시장에서 소비자들에게 주요 제품평가단서로서 이용되고 있는 브랜드, 가격, 물리적 특징, 판매점과 관련된 정보내용(합의정보와 속성정보)에 대하여 소비자의 문화적 지향성이 정보탐색원천과 정보탐색 유형별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한국과 중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탐색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발견된 내용은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타인의 태도가 반영되지 않고 소비자들에게 스스로 판단하도록 하는 속성정보를 더 선호하였으며, 반면에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타인의 태도가 반영된 합의정보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비인적 정보원천에서 속성정보를, 반면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은 인적정보원천에서 합의정보를 주로 더 이용하였고, 정보탐색 유형에서는 지속적 탐색보다 구매전 탐색에서 합의정보와 속성정보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양 국가의 비교문화적 관점에서 차별적 결과도 제시되었는데, 개인주의 성향을 가진 한국 소비자들은 속성정보와 더불어 합의성 정보도 병행하여 이용하였으나 중국 소비자들은 주로 비인적 정보원천을 활용한 속성정보를 주로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주의 성향을 가진 한국 소비자들은 주로 판매원을 통한 합의정보를 선호하였으나 중국 소비자들은 판매원과 더불어 친구나 동료의 구전정보도 평상시에 많이 탐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글로벌 시장을 공략하려는 국제 마케터들은 공통된 결과들을 바탕으로 한 표준화된 마케팅단서의 활용과 더불어 양 국가간의 문화적 차이에 기초한 차별적인 마케팅 믹스도 동시에 수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PDF

Space Allocation of Export Container Yard by Constraint Satisfaction Search (제약만족탐색 기법을 이용한 수출 컨테이너 장치장 계획)

  • 손예진;류광렬;김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 Inteligent Information System Society Conference
    • /
    • 2002.05a
    • /
    • pp.99-105
    • /
    • 2002
  • 컨테이너 터미널의 수출 장치장은 수출될 컨테이너들이 지속적으로 반입되어 해당 선박에 선적되기까지 일시적으로 보관되는 장소이다. 장치장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면서 선적 시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제약조건과 장치 규칙에 따라 컨테이너들의 장치 위치를 결정해야 할 뿐 아니라, 소정의 기간을 대상으로 그 동안 반입 예정인 전 컨테이너들에 대한 적절한 공간할당 계획을 미리 수립해 두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수출 장치장 계획 문제를 제약조건만족 문제로 보고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탐색 기법을 제시하고 있다 대규모의 탐색공간으로부터 효율적으로 해를 찾기 위해 dependency-directed backtracking 기법을 적용하였고, 탐색 중에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해를 찾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일부 제약조건을 완화하여 해를 재 탐색하는 제약조건 완화 기법을 적용하였다. 실제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의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 결과 만족할 만한 수준의 계획을 빠른 시간 내에 수립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Energy-Efficient Routing Protocol for Mobile P2P System using Super Peers (슈퍼 피어를 이용한 모바일 P2P시스템에서의 에너지 효율성을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 Han, Jung-Suk;Lee, Ju-Hee;Song, Jin-Woo;Lee, Kwang-Jo;Kim, Ji-Hoon;Yang, Sung-B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05a
    • /
    • pp.833-836
    • /
    • 2008
  • 모바일 기기 보급이 급증함에 따라 모바일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Peer-to-Peer(P2P)방식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모바일 기기는 무선통신이라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이동하는 peer의 에너지 절약이 항상 요구된다. Peer에 저장된 에너지를 모두 사용하게 되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가 없고, 에너지가 없는 peer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되면 파일 탐색이 불가능하게 된다. Super peer를 기반으로 하는 계층적인 P2P 시스템은 기존의 단일 계층인 P2P 시스템보다 적은 양의 메시지를 이용하여 파일을 탐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super peer로 선정된 peer는 주변의 sub-peer들로부터 파일 탐색 요청 메시지를 지속적으로 받게 되어 빨리 에너지가 소모되는 단점이 있다. 본 논문은 super peer를 이용한 모바일 P2P 시스템에서 peer들의 남은 에너지를 고려하여 에너지가 적은 peer의 사용을 피하여 상대적으로 에너지가 많이 남은 peer들의 사용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실험을 통해서 성능평가를 하였으며, 제안된 시스템의 네트워크 유지시간이 기존 super peer를 이용한 시스템보다 오래 지속됨을 확인하였다.

파트너십 구성요인과 관계 성과;구성적 관점의 탐색적 연구

  • Choe, Jae-Ung;Gwon, Tae-Hyeong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11a
    • /
    • pp.52-57
    • /
    • 2007
  • 본 연구는 IT아웃소싱 서비스 공급기업의 관계 성과를 조명하기 위하여 성과를 사회적 기술적 측면으로 접근하고 이에 대한 영향 요인으로 파트너십 형성 요인과 파트너십을 성장 강화시키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성공적인 아웃소싱은 서비스 고객사와 서비스 공급사간의 지속적인 의사소통은 물론 상호간 위험과 이익을 공유하며 필요시 서로 상생할 수 있는 파트너십 관계로의 관리가 요구되고 있음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eCRM Establishment Affected Factors (E-CRM 구축 영향 요인간의 구조적 관계)

  • Kim, Jong-Ho;Sin, Yong-Seop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5.11a
    • /
    • pp.629-648
    • /
    • 2005
  • 본 연구는 eCRM 활용을 위한 운영 속성별 모델의 한 형태인 인터넷 콘텐츠를 기반으로 하여 그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 특성들에 의해 고객들이 사이트를 탐색하는 동안 경험하게 되는 플로우가 방문빈도 및 방문지속성인 고객밀착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또한 고객밀착도가 eCRM의 활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콘텐츠 특성 요인 중 탐색의 편리성 및 디자인이 고객밀착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는 인터넷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페이스 중 탐색의 편리성과 콘텐츠의 디자인을 높게 지각할수록 고객의 방문빈도 및 지속성이 증가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콘텐츠 특성과 플로우 관계검증 결과 유의하게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는 콘텐츠가 가지고 있는 독특한 특성이 고객들로 하여금 흥미성, 새로움 추구 및 자발성을 이끌어 내야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플로우와 고객 밀착도와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유의적인 영향을 나타냈다. 이는 고객들이 사이트를 탐색하는 동안 플로우의 경험을 많이 할수록 밀착도인 방문빈도 및 방문 지속성이 높아진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고객밀착도와 eCRM 활용요인과의 관계를 검증한 결과 밀착도는 eCRM 활용요인인 고객유지(충성도), 신규고객확보(구전효과), 소비자 개발(고객 생애가치)에 모두 유의적인 결과를 보였다. 그러므로 eCRM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인터넷 콘텐츠의 전반전인 고객밀착도를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 PDF

A Study on the Continuous Use of Hospital Information Seeking Applications (병원정보탐색 어플리케이션의 지속적 이용에 관한 연구)

  • Jang, Jeong In;Yi, Yong J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 /
    • v.38 no.1
    • /
    • pp.243-262
    • /
    • 2021
  •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continuous use and discontinuance of the hospital information seeking applications(hospital apps thereafter) by employing the post acceptance model. Th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people who used the hospital apps from October 11 to 18, 2019. Researchers collected 125 valid data and analyzed them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udy found that the satisfaction and confirmation of expectation for the hospital apps us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tention for continuous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respectively. However, the perceived usefulnes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for continue use. The present study has identified the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ontinuous use of these innovative technolog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post acceptance model by observing the adoption and use of the hospital apps and extended the literature of the post acceptance model by discuss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hospital apps that satisfy the urgent help-seekers under emergency situations or the information needs emphasizing promptness. In addition, based on the benefits and limitations of hospital apps reported by consumers, the study provi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designing more user-friendly apps to hospital app developers or manag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