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속적 몰입

검색결과 351건 처리시간 0.024초

중년여성의 골프재미요인과 지속행동의도 관계에서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Mediation Effect of Flow of Leisure in the Relation among Middle-aged Women's Interesting Factor of Golf and Intention of Continuous Behavior)

  • 남재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25-39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골프재미요인과 지속행동의도 관계를 분석하고, 여가몰입의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중년여성이 골프 활동을 통해 중년의 삶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과정을 규명하고 이론적 토대를 바탕으로 골프산업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처리는 SPSS 25.0 Window Version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과 AMO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골프재미요인은 여가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골프재미요인은 지속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몰입은 지속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골프재미요인과 지속행동의도 관계에서 여가몰입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골프산업의 발전과 중년여성 골프참가자를 골프장으로 유인하기 위해서는 골프재미요인을 통한 즐거움이 선행되어야 판다고 판단된다. 이를 위해 여가몰입을 활용하여 만족감을 높여주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각화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고 사료된다.

호텔조리부서에서 효과적인 직무성과를 위한 쉐프의 공유 리더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ef's Shared Leadership for Effective Job Performance in Hotel Cooking Department)

  • 전상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427-440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메스컴 등을 통하여 인지도 상승과 함께 초.중 학생들의 상의 희망 직업에 속하는 쉐프가 근무하는 조리부서에 대한 연구이다. 업무에 있어 수직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는 조리부서는 쉐프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맞게 조리부서에서도 변화가 필요 하다. 이에 조리부서에서 쉐프의 공유리더십이 조리사의 정서적 몰입과 지속적 몰입 및 직무만족, 그리고 직무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연구조사 대상을 서울 특급 호텔에 근무 중인 조리사를 대상으로 319부의 최종 설문을 표본으로 확보하였고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거쳐 구조모형분석을 진행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는 쉐프의 공유리더십은 조리사들의 정서적인 몰입 그리고 직무만족, 직무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사항으로는 조리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성과에서 정서적인 몰입과 지속적인 몰입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텔조리부서에서 조직의 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유와 소통문화가 확립되어야 한다. 이를 통한 목표 및 비전 확립은 조리사 개인뿐만 아니라 부서 전체의 직무만족과 성과로 이어지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것을 제시하였다. 이에 호텔조리부서의 조리사에 대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방안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되어 진다.

옴니채널 서비스 이용 동기가 지속적 몰입과 정서적 몰입 및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usage motivation for omni-channel services on continuance and affective commitment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 최미영
    • 복식문화연구
    • /
    • 제27권6호
    • /
    • pp.553-568
    • /
    • 2019
  • This study examined motivation to use omni-channel services on mobile devices in fashion stores and the effects of such usage motivation on brand purchase intention through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on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who experienced omni-channel services during shopping for or purchasing fashion products. An online survey asked 413 consumers to rate their brand purchase intention. Sub-levels of each variable were examined using SPSS 25.0, followed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AMOS 19.0. In addition, path analysi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applied to analyze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The statistical results were mixed. First, only two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for omni-channel services,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continuous and affective commitment. Second, continuous commitment had a greater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of brands that provided omni-channel services than it did on affective commitment. Third, of the dimensions of usage motivation, utilitarian motiva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purchase intention in the modified model, while social motivation did not affect service commitment and purchase intention. Finally, our findings suggest that brand loyalty can be built by encouraging service commitments through hedonic and relational motivation, based on the usability of omni-channel services.

SPA 브랜드의 지각된 가격과 VMD 적합성이 다차원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Perceived Price and VMD Fitness of SPA Brand on Multi-dimensional Commitment)

  • 신미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3호
    • /
    • pp.39-49
    • /
    • 2012
  • 본 연구는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브랜드의 특징인 지각된 가격과 VMD 적합성이 다차원적인 몰입 즉, 감정적 몰입, 계산적 몰입, 행동적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SPSS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지각된 가격은 감정적 몰입, 행동적 몰입, 계산적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이 있고, VMD 적합성은 감정적 몰입에만 유의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적 몰입과 계산적 몰입은 행동적 몰입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각된 가격과 VMD 적합성이 SPA 브랜드의 소비자와 판매자간의 관계지속에 중요한 요인임을 실증적으로 밝힘으로서, 향후 SPA 브랜드의 가격정책과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지침을 제공해주었다는 실무적인 의의가 있다.

6DoF지원 360VR 테스트 플랫폼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6DoF supported 360VR Test Platform)

  • 윤국진;정준영;윤정일;정원식;서정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8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50-252
    • /
    • 2018
  • 최근 차세대 미디어 중 하나로 가상의 공간내에서 현실적인 경험과 환경을 사용자에게 제공해 줄 수 있는 몰입형 미디어가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 세계를 제공할 수 있는 VR미디어의 등장은 몰입형 미디어가 점차적으로 추구하는 실감서비스의 발전 형태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보다 자연스러운 현실감 및 몰입감을 지원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듯, MPEG은 최대 6DoF 사용자 움직임을 지원함과 동시에 고해상도의 VR 해상도를 제공하는 몰입형 미디어 요소기술 개발을 위하여 MPEG-I(Immersive) 표준화를 진행 중에 있다. 본 논문은 종래 3DoF 움직임(회전운동)을 지원함과 동시에 병진운동에 따라 360VR영상 내 가상시점을 매핑함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몰입감을 제공할 수 있는 6DoF지원 360VR 테스트 플랫폼을 제안한다.

  • PDF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Facilita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정세희;손아진;차윤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12호
    • /
    • pp.229-23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일(work)-가정(family)은 대립적 관계가 아닌 서로 보완적 관계이며, 이들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인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일-가정 촉진(work-family facilitation)이 조직몰입에 긍정적 영향이 있음을 실증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스마트워킹시대 인사 관리자들에게 조직관리의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지역의 일반 기업체 근무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 후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 하였다. 연구결과 일-가정 촉진은 조직몰입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가정 촉진과 조직몰입 간의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는 지속적 몰입을 제외한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술적으로는 조직지원인식이 구성원들의 지속적 몰입에 긍정적 관계가 있음을 확인 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일-가정 촉진과 정서적 및 규범적 몰입 간의 긍정적 관계를 설명할 수 있는 추가 메커니즘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실무적으로는 일-가정 균형 뿐만 아니라 일-가정 촉진, 즉 일과 가정 간의 긍정적 상호작용이 조직 및 개인의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직무설계시 직무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족 상황을 고려한 설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게임구성요소와 몰입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The Study of the Interrelations between Game Components and Flow)

  • 박상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6년도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819-823
    • /
    • 2006
  • 게임에 있어서의 몰입은 게임을 지속적으로 플레이하게 만드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사용자가 게임에 몰입하지 못한다는 것은 게임에 흥미를 느끼지 못해 결국 사용자로 하여금 게임을 포기하게 한다. 그러므로 게임이 가지고 있는 몰입 요인을 인지하고 있어야 하며, 몰입을 유발하는 요소들을 게임개발에 적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는 게임의 즐거움을 배가시키고, 게임 개발사에게는 높은 수익창출을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사용자에게 초고조의 몰입 상태를 경험하게 하기 위해서 게임 안에 존재하는 몰입의 요인과 게임의 구성요소와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 PDF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olice Officer's Resilienc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 권혜림;주재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99-508
    • /
    • 2018
  • 이 연구는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회복탄력성을 측정하고,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경찰조직을 대상으로 한 실증적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회복탄력성에 대한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서 회복탄력성의 발전과정과 하위 개념들을 정리하고, 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회복탄력성의 하위 개념을 자기조절능력(감정조절력,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대인관계능력(자아확장력, 소통능력, 공감능력), 긍정성(감사하기, 생활만족, 낙관성)으로 나누어 독립변수로, 조직몰입(감정몰입, 지속몰입, 규범몰입)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분석모형을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회복탄력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생활만족>원인분석력>소통능력>공감능력>감사하기>충동통제력 순으로 모두 감정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생활만족>낙관성>감정조절력>소통능력>원인분석력 순으로 지속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확장력>공감능력>낙관성>생활만족>충동통제력>원인분석력 순으로 모두 규범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참여와 관계몰입의 구조적 연구 -병원서비스를 중심으로-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 Commitment)

  • 안진우;천명환;김한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5호
    • /
    • pp.175-192
    • /
    • 2013
  • 고객참여에 관한 지난 연구들은 고객참여의 서비스 접점에서의 역할을 중심으로 서비스 품질과 고객만족에의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들은 고객참여의 관계적 성과에의 영향을 간과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고객참여의 관계적 성과에 초점을 맞추어 고객참여가 관계몰입에 구체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고객참여의 서비스 접점에서의 역할을 더욱 확장하는 것으로 고객참여의 서비스 접점에서의 중요한 기업-고객 간의 관계적 요소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에 대해 실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 고객참여는 관계몰입의 다양한 차원인 규범적 몰입, 지속적 몰입, 감정적 몰입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고객참여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그 영향의 정도는 감정적 몰입보다 규범적 몰입에 더 큰 영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치료적 몰입간의 상관성 연구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nd Therapeutic Flow in Stroke Patients)

  • 김지훈;김환;박준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5호
    • /
    • pp.253-262
    • /
    • 2017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심리사회적 요인과 치료적 몰입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 치료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총 15개 기관에서 뇌졸중 환자 168명을 대상으로 우울,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재활동기와 치료적 몰입을 평가하였다. 결과로 뇌졸중 환자의 치료적 몰입은 우울(r=-.349, p<.001), 스트레스(r=-.290, p<.001)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자기효능감(r=.528, p<.001)과 재활동기(r=.186, p<.05)간에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최종적으로 치료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자기효능감(${\beta}=.443$, p<.001)과 우울(${\beta}=-.155$, p<.05)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의 치료적 몰입과 심리사회적 요인은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확인된바, 향후 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