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가능한 토지이용

Search Result 178, Processing Time 0.051 seconds

Effects of Hydrology and Water Quality on Land use change in a Small Watershed (소유역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수문.수질 영향 평가)

  • Chang, Seung-Woo;Kang, Moon-Seong;Park, Seung-Woo;Hwang, Soon-Ho;Lee, Eun-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289-289
    • /
    • 2011
  • 토지이용의 변화는 강우에 의한 유역의 수문 및 수질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다. 최근에 도시유역 뿐만 아니라 농촌유역에서도 도시화 및 시설재배지의 증가 등으로 인하여 토지이 용의 변화가 급격히 일어나고 있으며, 이는 곧 유역의 물 순환에 다양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AGNPS 모형을 이용하여 토지이용 특성의 변화가 농촌유역 수문 및 수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시험유역은 서울대학교 지역시스템공학과에서 운영하고 있는 발안 유역의 HP#6 소유역으로 다양한 토지이용상태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시험유역에 대해 수문 수질 자료와 기타 수집된 자료를 이용하여 유출량, 유사량, 그리고 영양물질에 대해 보정과 검정을 실시하였다. 시험유역의 비점오염 배출특성을 고려하여 토지이용의 변화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선정된 시나리오는 유역 상류에 위치한 나지의 피복상태를 초지로 개선하는 경우(시나리오 I), 현재의 논이 비닐하우스 등 시설재배지로 변경되어 불투수면이 증가하는 경우(시나리오 II), 시나리오 I과 시나리오 II가 복합적으로 일어나는 경우(시나리오 III) 등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시나리오를 통하여 유역 내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수문 및 수질영향을 정량적으로 예측 및 평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농촌유역 미래의 토지이용 변화가 물 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서 지속가능한 농촌유역의 개발 계획 수립 및 물환경 정책 결정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nalysis of Land Use Change using Agent based Modelling Approach (행위자기반모형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분석)

  • Ko, Jin-Seok;Jee, Hong-Kee;Lee, Soon-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361-1364
    • /
    • 2009
  • 최근 몇 년동안 지속가능하고 효과적인 수자원 관리는 전체적인 접근방법이 요구되고 있으며, 사회와 경제발전과 생태계 보호 및 토지이용과 수자원 이용의 적절한 관리와 연결된 개념이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유역을 간단한 고정된 지역적인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보다 전체로서의 유역 기능을 개선하는데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사회와 경제발전으로 인해 도시화, 여가 관광지역 및 사회기반시설의 확장 그리고 자연환경의 변화가 발행하고 있다. 효과적인 토지이용 배분과 자연지역의 보호도 중요하지만 잠재적인 홍수피해 저감도 중요한 문제이다. 토지이용의 변화는 많은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유발되는 문제이기 때문에 거시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다양한 관계자와 자연환경과의 연결과 상호작용 유형을 이해하고 다양한 정책선택과 자연환경 상태가 토지이용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인간의 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토지이용의 변화를 모의하기 위해서 행위자기반모형(Agent based Model, ABM)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ABM은 유역관리의 이해당사자간의 정책과정을 도출하고 다양한 유역관리 대안을 평가하기 위해서 홍수위험, 자연개발 및 비용과 같은 유역관리의 영향을 설명하는 통합된 유역모델이다. 여기서 토지이용은 경제적, 지형학적 상황, 공간계획 및 홍수방어정책에 좌우되며, 토지의 속성과 규칙을 통해 토지이용이 선택되게 된다. 본 모형을 통해 공간적으로 분포된 행위자의 운영을 기반으로 종합적인 토지이용 패턴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토지이용 결정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추정하여 통합홍수관리 목적에 맞는 관리 대책의 결정 및 설계를 가능토록 하였다.

  • PDF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Application for Sustainable Land Use of Non-urban Area : The Case Study of Eco-delta City (비도시화 토지의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그린인프라 적용기법 : 에코델타시티 사례를 중심으로)

  • Kim, Dong Hyun;Seo, Hye Jeong;Lee, Byung Koo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6 no.6
    • /
    • pp.402-411
    • /
    • 2014
  • This study suggests the method of green infrastructure (GI) application which helps proper distribution of structural GI and non-structural GI by using land characteristics assessment and performs the case study. Land assessment standard consists of land cover type, fragmentation degree, proximity degree to residential districts, and cluster degree of fragmented areas which represents the quality of green network. The result of assessment proposes the land suitability to preserve or develop and it can be utilized to choose the type of the green infrastructures.

Landus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for Urban Growth Analysis using Satellite Imagery (도시확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 Kim, Youn-Soo;Lee, Kwang-Jae;Ryu, Ji-Won;Kim, Jung-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3
    • /
    • pp.83-94
    • /
    • 2003
  • All the urban planning process require land use informations, which should be obtained after through intensive investigation and accurate analysis about the past and current situations and conditions of a city. Until now, the generation of land use informations from remotely sensed imagery has had many limitation because of its spatial resolution. It is now expected that the availability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whose spatial resolution less than 10m will reduce these limitations. For the purpose of urban growth monitoring we must first establish a urban land use classification nomenclatur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establish a land use nomenclature for land use classification using remotely sensed data, especially using KOMPSAT EOC imagery.

  • PDF

Now ESCO 2 - 세계의 도시, 녹색과 만나다

  • Mun, Tae-Hun
    • The Magazine for Energy Service Companies
    • /
    • s.60
    • /
    • pp.22-25
    • /
    • 2009
  • 도시에서 녹색성장을 위한 노력은 이미 '지속가능한 도시'를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토지이용, 주택, 교통, 환경, 산업, 행정계획 등 다방면에 걸쳐서 여러 곳에서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지속가능한 도시는 안정적인 경제성장, 쾌적하고 건강한 환경의 보전, 사회적 약자의 보호와 문화발전을 동시에 달성하는 도시를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도시성장이 경제위주의 양적 성장이었다면 지속가능한 도시성장은 환경문제와 사회문제를 경제문제와 같은 비중으로 다루어나가는 질적인 발전을 의미한다.

  • PDF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lanning Support System for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계획지원시스템의 구축과 활용에 관한 연구)

  • Lee, Hee-Yeon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2 no.1 s.118
    • /
    • pp.133-155
    • /
    • 2007
  •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has emerged as a new paradigm of urban studies in recent years. A review of the literature of land use and transport policies in rela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reveals a consensus that the main objectives of sustainable strategy should decrease the numbers and length of journeys, and change the land use pattern towards mixed use and high density.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as to what types of policies might influence effectively the reduction in the energy consumption and emission of $CO_2$. in order to sustain urban development. This paper tries to construct the conceptual structure of the PSS(planning support system), which is designed to the simulation of the probable effects of policies and planning of different kinds in cities, and evaluate the sustainablilty level according to construct the structure of the PSS(planning support system), which is designed to the simulation of the probable effects of policies and planning of different kinds in cities, and evaluate the sustainablilty level according to the alternative scenarios. The PSS is composed of three components (input-modeling-output). The core of PSS is integrating land use-transport-environment modeling. The advantages of integrating land use-transport-environment modeling are well known, but there are very few such integrated modeling packages in practice. So this paper tries to apply TRANUS software, which is an integrated land use and transport model. The TRANUS system was calibrated to city of Yongin for the base year. The purpose of the application of TRANUS to Yongin is to examine the operability of TRANUS system in Korea. From the outputs and results of operating the system, TRANUS may be effectively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alternativ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policies, since sustainablilty indicators can be extracted from several aspects such as land use consumption, total trips, distance and cost, energy consumption, ratio of transport split.

Land Use/Cover Classification Nomenclature for Urban Growth Analysis (도시성장 분석을 위한 위성영상 토지이용 분류기준 설정)

  • 김윤수;이광재;류지원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7-543
    • /
    • 2003
  • 도시의 물리적 성장을 분석하기Hl 원격탐사 자료는 매우 유용한 도구를 제공한다 할 수 있다. 도시의 물리적 성장은 도시의 토지이용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을 위하여서는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한 성장관리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 토지이용의 분류는 우선 그 기준이 사용자의 관점에 따라 다르고 영상의 해상도 등에 따라 달리 그 기준이 정해질 수 있다. 도시의 성장 분석을 위해서는 다중시기의 위성영상 및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 분류를 수행하고 시기별 토지이용 변화와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성장요인을 추출하고 이를 기반으로 향후의 도시 성장을 예측할 수 있는 성장모델 개발이 가능해 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성장 예측모델 개발의 전 단계로써 도시의 성장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공간 해상도를 지닌 원격탐사 자료의 국내외 다양한 분류기준의 검토를 통해 토지이용 분류 기준을 도시 성장관리의 측면에서 설정하고자 한다.

  • PDF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지속가능한 토지이용을 위한 경관규모 생태계평가기법 연구)

  • Hwang, Kook-Woong;Park, So-Y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6 no.1
    • /
    • pp.78-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cosystem soundness in landscape scale using landscape indices, and to extract regional information that can be used for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About BongWha-gun, the landcover classification using Landsat TM images and patch analysis ware carried out, and some landscape indices were calculated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GIS) and patch analyst program.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Seokpo, Jaesan and Sochun got higher scores in landscape indices related to the ecosystem soundness. But, Bonghwa-eup got lowest scores in the 10 regions. When compared with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NDVI), this result showed consistency to some degree. Although, there needs more supplementary studies, it is anticipated that landscape scale ecosystem evaluation using landscape indices can gives us some informations related to sustainable landuse planning.

  • PDF

Analysis of Land Use Pattern Change of Sub-Watershed -Focused on Moyar, India- (유역하류지역의 토지이용변화 분석 -인도 Moyar유역을 중심으로-)

  • Malini, Ponnusamy;Yeu, Ye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18 no.2
    • /
    • pp.87-92
    • /
    • 2010
  • Large pressure on the growing population has increased rapid change in the LULC (land use/land cover) patterns in the watershed area. Spatial distribution of LULC information and its changes are desirable for any effective planning, managing and monitoring activities.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duce the 1,50,000 scaled LULC change map for the sub-watershed, Western Moyar, India using the multi-temporal satellite image dataset of IRS LISS III images for the year 1989, 1999, and 2002. About 9 classes are extracted using onscreen visual interpretation techniques for all the three years. The change detec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atrix method for period I (1989-1999) and period II (1999-2002). The study reveals that the changes noticed in period II (1999-2002) is comparatively more than period I (1989-1999), which is dynamic information to protect the sub-watershed area from the deterioration and paves the way to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Land Cover Change Prediction Based on Climate Change Scenarios using CLUE Model (CLUE 모형과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 예측)

  • Oh, Yun-Gyeong;Choi, Jin-Yong;Lee,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546-1550
    • /
    • 2010
  • 최근 IPCC에서는 제 4차 평가보고서를 통해 대기 속 이산화탄소 농도가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2005년 기준 약 35% 증가하였으며, 지난 1세기 동안 지구 평균기온이 $0.74^{\circ}C$ 증가하였다고 발표하였다. 이러한 기후변화로 인해 야기된 홍수, 가뭄, 사막화, 생태계 혼란 등의 심각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자 UN에서는 1992년 세계 환경 개발에 관한 리우 데 자네이로 정상회의에서 기후변화에 관한 기본협약을 체결하여 국제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 중 토지이용변화에 관한 연구는 기후변화를 야기하는 주요한 요인에 관한 연구로서 온실가스 증가와 생물종다양성, 수문학적인 변화 등을 파악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개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경제학적, 사회학적인 시나리오 조건에서 미래의 토지이용변화 양상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지이용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 경제적 요인과 과거의 토지이용변화 패턴을 고려하여 토지이용변화를 모델링 할 수 있는 CLUE(The Conversion of Land Use and its Effects) 모델을 이용하여 SRES(Special Report on Emissions Scenarios) 시나리오에 기초한 토지피복 변화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는 향후 기후변화를 최소화하기위한 개발전략 수립에 있어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