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속가능한 발전의 원칙

Search Result 52,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Suggestions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CDRS assessment (CDRS 개발기술평가에 있어서 어려운점과 극복방안)

  • 박정규;최미희;허은녕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2003.05a
    • /
    • pp.689-696
    • /
    • 2003
  • 지구 온난화로 인한 지구시스템 변화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세계는 기후변화협약 등 다양한 자구책 마련에 급급하다. 기후변화협약에서는 대기 중 온실파스 농도 안정화를 목적으로 선진국의 역사적 책임에 따른 선도적 역할, 개도국의 특별한 사정존중, 지속 가능한 성장보장 등을 원칙으로 규정하고 산업선진국에는 이산화탄소 저감의무가 주어졌으며, 개도국 중 특히 한국이나 멕시코와 같이 경제발전이 어느 정도 이루어졌고 이미 OECD에 가입한 나라들에 대해서는 이러한 압력이 보다 가시화 될 것으로 보인다.(중략)

  • PDF

Extension of Engineering Ethics: Searching for Nanoethics (공학윤리의 확장: 나노윤리의 모색)

  • Choi, Kyung-Hee;Song, Sung-Soo;Rhee, Hyang-Yon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 /
    • v.14 no.4
    • /
    • pp.39-47
    • /
    • 2011
  • This paper deals with nanoethics as a sort of extension of engineering ethics utilizing various books, articles, and reports concerning historical, social, and ethical aspects of nanotechnology. After a brief examination on the place and development process of nanotechnology, ethical issues on nanotechnology are analysed including safety problem, impact on environment, violating privacy, social inequity, military use, and human enhancement. The basic principles on nanoethics are proposed such as promotion of public understanding, construction of participatory governance, contribution to sustainable development, commitment to precautionary principle, and compliance with research integrity. Lastly, integrated method in nanoethics education is illustrated putting lecture model, investigation model and discussion model together. This paper can provide the contents available for nanoethics education, and make a basis for the sound development of nanotechnology.

A Study on Policy Direc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of North Korea (북한 지역개발 방향에 대한 연구)

  • Lee, Sang-Jun
    • Land and Housing Review
    • /
    • v.6 no.2
    • /
    • pp.101-106
    • /
    • 2015
  • In order to minimize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the North and the South, it is very important to reduce shortages of food and energy in North Korea in the short and mid-term. In the long term, it is important to reduce not only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two Koreas but also regional disparities in North Korea. It is important to consider national policies of the North, the South and other countries in Northeast Asia in the process of building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for North Korea because the future of regional development in North Korea depends on policies of stakeholder in Northeast Asia. This study suggest some policy directions for regional development in North Korea. At first, building new industries, such as hi-tech industries and MICE, is important for regional development potentials in North Korea. Also, we should take some special development strategies according to regional potentials in North Korea. For example, Nampo region should be specialized through hi-tech industries. Wonsan region should be specialized through MIC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issues to the South Korean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rom South Korean government abou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should have priorities on the regions where have potentials of hi-tech industries and MICE. Also, we should implement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policies under consideration about spatial aspects.

International Cooperation Development with Recipient Countries by Catalytic Aid (촉진적 원조를 통한 수원국과의 개발협력에 관한 연구)

  • Lee, Ho-Gun
    • Korea Trade Review
    • /
    • v.41 no.1
    • /
    • pp.117-138
    • /
    • 2016
  • ODA is an effort and action of international community to keep human rights by eradicating poverty. UN declared MDGs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during 2001 and 2015. As a follow-up action, UN sets up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during 2016 and 2030. SDGs expands the concept of ODA. SDGs includes cooperation development over the scope of ODA by mobilizing various financial resources from public sectors and private sectors. It will overcome the limitation of traditional ODA and be 'AID and beyond'. Catalytic aid is appropriate for the concept of SDGs. Cooperation development by catalytic aid focuses on building economic infrastructure and production facilities rather than humanitarian aid, which will establish a sustainable development basis for recipient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to make a PPP business by linking KSP(Knowledge Sharing Program), to objectify criteria of priority recipient selection and aid allocation, to adapt grant and concessional loan complexly according to the business, to support realization of CSV(Creating Shared Value) by establishing SPC(Special Purpose Company) and to construct a PCSD(Policy Coheren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ystem to fulfill the fore-mentioned strategies.

  • PDF

Urban energy transition and energy autonomy in Daegu (대구의 도시 에너지 전환과 에너지 자립)

  • Choi, Byung-Doo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6 no.4
    • /
    • pp.647-669
    • /
    • 2013
  • Depletion of fossil fuels and sharp rise of international oil price as well as climate worming and frequent environmental disasters have required to strengthen resource(esp. energy) and environmental policy and discourse. And hence highly influential discourses and policies such a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trategy for carbon regulation have been developed and pursued world-widely. But these concept and strategy have seemed to be subsumed in the process of neoliberalism, so as to have little effective results. This leads us to energy transition and energy autonomy or autarky as alternative strategic and normative concepts. Daegu has shown strong interests in urban energy problems relatively earlier than other cities, and developed the so-call 'Solar City' project. But it could not properly tackled with the problems, while tending to meet with the global imperatives. This paper considers urban energy problems and energy policy of Daegu with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nd suggests 4 principles for urban energy transition and autonomy with some concrete alternative measures; that is, the transition from fossil and nuclear energy to renewable energy, the transition from supply-led policy to demand side focusing policy, the transition from central governing energy system to locally distributed one, and the transition from market-dependent management to citizen-participatory energy governance.

  • PDF

Designing a Sustainable Energyscape - Based on the 'Sun-Garden' Project in Solaseado Solar Power Plant, Haenam - (지속 가능한 에너지스케이프의 설계 - 해남 솔라시도 태양광 발전단지 내 '태양의 정원' 설계안을 중심으로 -)

  • Kim, Bo kyung;Lee, Byung Chul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52 no.3
    • /
    • pp.103-113
    • /
    • 2024
  • This study is based on the design project of 'Sun-Garden' within the Solaseado Solar Power Plant located in Solaseado, which is a New City being developed in Haenam, Jeollanam-d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n integrated and sustainable energyscape that harmonizes energy infrastructure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while supporting the city's carbon neutrality agenda. To achieve this, design principles we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ree key aspects. The first aspect is economic, which seeks to create multifunctional spaces that integrate nature and technology, pursuing long-term sustainability while generating additional economic value. The second aspect is natural, emphasizing the creation of planting environments that conserve and enhance ecosystems, introduce region-specific species, and maintain ecosystem services and sustainable resource use. The third aspect is landscape, offering sensory and educational experiences to visitors and functioning as a landmark that symbolizes the carbon-neutral garden city of Solaseado through the aesthetic harmony of nature and technology. Through the creation of the 'Sun-Garden,' the Solaseado Solar Power Plant exemplifies a sustainable energyscape development model that merges economic, environmental, and landscape aspects beyond the conventional energy production facility. This project is expected to provide guidelin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energy infrastructure design, contributing to global energy transition efforts.

Marine Environment Protection in Northeast Asia and NOWPAP: Achievements and Challenges (북서태평양실천계획의 성과와 과제)

  • Chung Suh-Y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9 no.2
    • /
    • pp.120-129
    • /
    • 2006
  • This paper aims at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s and challenges of Northwest Pacific Action Plan (NOWPAP), a regional cooperation mechanism to protect marine environment in Northeast Asia. As one of 16 UNEP's Regional Seas Program, NOWPAP has evolved since its inception in 1994. Based on the belief that a cooperative institution may work more efficiently to address common regional concerns on marine environment, China, Japan, Russia and South Korea have developed NOWPAP under the UNEP's leadership. NOWPAP now has its own independent secretariat, and 4 regional activity centers while expanding its partnership with other institutions. However, NOWPAP must address several challenges that it now faces for better achievement of its goals. They include consideration of unique geopolitical situation in this region, participation of North Korea, incorpor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concept in its activities, reconsideration of equal opportunity principle for more efficient cooperation, and securing sufficient financial resources.

  • PDF

Development of the sustainable water resources allocation system to Cope with climate change and drought (이상기후 대비 물배분시스템 개발)

  • Kim, Hae-Do;Lee, Kwang-Ya;Joo, Jin-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67-467
    • /
    • 2011
  •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학적 변동은 지속가능한 수자원 관리를 위해 중요한 인자로 고려되고 있다. 특히, 가뭄 등 기상재해는 자연재해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갈등으로 발전할 여지가 크며 특히 수자원 배분은 환경, 경제를 뛰어넘은 생존의 문제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후변화가 가져올 가뭄 등 재해관리를 위한 의사지원체계 구축하고 다양한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대응할 수 있는 탄력성 있는 수자원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을 통해 이상기후 및 가뭄대비 물분쟁에 대한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댐의 상황을 모델로 하고 있다. 섬진강 유역은 섬진강댐의 건설당시 발 빠른 이주대책의 불이행으로 수몰지역 내에 초기 정착민들이 계속 거주하게 되어 댐 제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어 효과적인 치수사업에 어려움을 겪어오다가 공사간의 협력을 통해 치수능력증대사업을 추진하여 저수지의 저류량을 증가시키고자 섬진강댐 재개발 사업을 추진한 지역이다. 하지만, 유역내의 이상기후로 인한 수문학적인 변동과 가뭄으로 인한 물관련 당사자간의 용수확보분쟁의 소지가 있어 물관리를 위한 수자원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인 지역이기도 하다. 대상지역 수자원전문가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HSPF(Hydrologic Simulation Program with FORTRAN)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수문학적 변동성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수자원 전문가 모델로서 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SUPER, HEC-ResSim, RiverWare, MODSIM, WRAP, PowerSim, 그리고 STELLA의 장 단점 등 특성을 분석하여 국내에 적합한 수자원전문가시스템 갖추어야할 기능 및 구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실정에 필요한 모델은 공영시각모형(Shared Vision Model)으로서 그 장점은 첫째, 수자원의 관리나 물분쟁시 반드시 필요한 유역의 물리적인 인자와 수역관리에 필요한 수문인자, 그리고 물분쟁의 소지가 있는 의문사항이나 문제점의 해결책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할수 있다. 둘째, 물관련 이해당사자들이 직접 참여하여 모형을 평가하고 서로간의 이해관계를 위한 충돌이 발생했을 때 문제해결을 위한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물배분의 원칙에 따른 한쪽으로 편중된 대안이 제시되었을 경우에 공동으로 대안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평등한 물배분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시민단체나 환경단체, 그리고 기관책임자들이 공동으로 모형의 형성과정을 지켜본 후 논의할 수 있어 이상적인 모형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 PDF

40 Years of Korea's Basic Research: a Comprehensive Evaluation & Future Challenges (한국의 기초연구 40년, 합리적 진단과 발전과제)

  • Park, Kwisun;Kim, Haedo;Jang, K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17.11a
    • /
    • pp.1581-1603
    • /
    • 2017
  • 한국의 기초연구는 1977년 한국과학재단(현(現) 한국연구재단) 설립을 시작으로 1989년 기초과학진흥 원년 선포, 기초과학진흥법 제정을 통해 정부의 과감한 연구비 투자와 과학기술 인력양성 등에 힘입어 놀라운 속도로 성장하였다. 그러나 정부 R&D 투자가 증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학 연구자의 낮은 정부 기초연구비 수혜 체감율 이슈가 지속적으로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기초연구의 정의와 역할에 관한 근본적인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 그간의 투자와 성과 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한 합리적 진단을 통해 미래를 위한 발전과제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기초연구투자 현황과 수준 등을 분석하여 우리의 기초연구가 다음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 필요한 여섯 가지 핵심이슈별 진단을 내리고자 하였다. 핵심이슈는 대학에 대한 기초연구 투자 규모, 교수 1인당 적정 지원 규모, 기초연구비 지원 방식, 연구과제 선정률의 적정선 유지, 우수 연구자의 체계적 지원, 연구몰입환경 조성이다. 다각적 분석과 진단을 기반으로 기초연구의 지속적 혁신을 위한 다섯 가지 발전과제를 제안하였다. 발전과제는 대학연구비 증액, 기초연구 펀딩방식 다양화, 연구분야별 연구지원체계 구축 및 예측 가능한 원칙 수립, 우수연구자에 대한 안정적이고 충분한 지원, 연구행정 부담 완화이다. 정책적 제도적 발전과제 외에 기초연구를 통한 직접적인 경제 사회 문화적 효과를 강조하기 보다는 창의적 도전적인 연구 수행 과정을 통해 축적되는 고유의 경험과 지식을 기반으로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가 창출될 수 있음을 우리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문화조성이 더불어 필요할 것이다.

  • PD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and Farmer(s Attitudes in England (영국의 환경농업장려지구(ESAs) 사업과 농민의 태도 연구)

  • 김기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2
    • /
    • pp.177-191
    • /
    • 1999
  • 본 연구는 영국의 환경농업장려지구(ESAs) 사업의 내용과 이에 대한 농민의 태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친환경농업정책의 내용과 한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농업정책은 농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농민은 정해진 계약에 따라 영농을 하게 되면 일정한 보상금을 받는다. 특정지구에서만 실시하는 사업과 전지역에서 시행되는 사업이 있으며 동일사업에 대한 적용 기준과 보상금 등은 지역마다 상이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환경농업정책은 ESAs 사업이다. 이는 농업으로 인해 환경이 민감하게 훼손될 수 있는 지구를 설정하여, 환경 농업을 장려하는 사업이다. 이에 참여함으로써 농민이 받는 장려금은 환경 친화적인 영농을 함으로서 예상되는 농민의 손실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은 환경농업정책에 대하여 영국의 농민들의 태도는 적극적이는 못하다. 경영규모가 적은 농민과 지정지구내에서 영농하는 농민들은 비교적 친환경 농업에 적극적이다. 대규모 농장의 경우 경제적 수익 향상을 농업의 주목적으로 생각하고 있어 환경농업정책의 참여에 소극적이다. 따라서 환경농업은 소규모 농장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환경농업 정책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