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속가능한 관광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4초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문화관광축제 콘셉트 설정 연구 (A Research on Setting up Cultural Tourism Festival Concepts to Revitalize Local Tourism in the Post-Corona era)

  • 정종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151-160
    • /
    • 2021
  •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심층적인 분석과 논의를 통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가장 적절한 축제콘셉트를 설정하고 국제 경쟁력과 관광자 만족을 위한 관광축제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새로운 축제콘셉트를 설정하여 구현함으로써 지역관광 활성화와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와 실증적 조사 및 종합적인 메타분석 결과는 축제콘셉트 설정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으로 나타났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온라인 동영상 플랫폼을 통한 콘셉트 구축, 안전 패키지형 관광축제 방역시스템 구축,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관광축제시기와 공간의 최대한 분산 개최가 필요하다. 또한 주민들의 참여를 통한 마을관광축제의 기획과 실행, 마을 단위 소규모 이웃과 이웃이 함께 즐기는 관광축제 콘셉트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도네시아 동자바의 텡거마을의 문화경관과 관광 -생태관광계획에 대한 영향- (Tourism and Cultural Landscape at the Tengger, East Java, Indonesia: The Implications for Ecotourism Planning)

  • ;홍선기;김재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07-220
    • /
    • 2008
  • 자연 환경을 이용한 관광은 많은 열대 지역 국가에서 활성화되고 있으며 중요한 국가의 수익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경과 문화 자원에 미치는 관광의 영향은 관광산업의 지속 가능성과 경쟁력을 위협하고 있다. 그러므로 환경과 문화적으로 민감한 관광 지역에 대한 적합한 계획과 관리는 지역의 경제적 수익과 더불어 지역 문화와 환경을 균형 있게 유지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사항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사화문화자원과 자연 자원을 결정하기 위한 관광사업의 관행을 탐구하는 것이다. 또한 문화 경관에 대한 주민 인식을 평가함과 더불어 지속 가능한 관광을 성취하기 위한 적절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미래의 관광자원 개발에 대한 논의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인도네시아 East Java지역의 Bromo Tengger Semeru국립공원(BTSNP)에 있는 Tengger 고산 마을에서 진행되었다. 문헌 자료와 주민 인터뷰를 통하여 최근 관광 현황과 자원 활용에 관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관광 개발에 대한 주민의 관점, 문화 보전, 문화 경관 보호에 관한 사항을 주민 인터뷰와 설문지를 이용하여 얻었다. 식생 정보를 이용하여 최근 환경의 상황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BTSNP와 지역 주민의 정신적 문화 자원인 Tengger Caldera지역의 관광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있었다. 문화와 자연 자원의 풍부성은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중요한 자본이다. 주민들은 관광 사업이 주민들에게 이익을 주고, 자연을 보전하고, 마을 주민들의 지속 가능한 전통적 생활을 보장하도록 계획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화 경관의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긍정적인 사회적 인식과 자연 문화자원에 대한 고유적인 특성의 보전이 필요함을 설명하고 있다. 끝으로 이러한 관점에서 지역 주민의 이익을 높이고 문화와 문화 경관을 균형 있게 보호하기 위한 생태적 장치가 필요하다.

관광산업 분야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를 위한 시론적 연구 (A Study for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in Tourism Industry)

  • 우은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3호
    • /
    • pp.239-247
    • /
    • 2023
  • 관광산업은 다른 산업들보다 사회문화 교류의 촉매 작용을 하는 산업으로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그리고 환경적 측면에서 지속 가능 경영에 강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하지만, 일반 기업보다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에 대한 인식이 낮으며, 현재까지 모기업이 대기업인 곳만 ESG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관광기업도 ESG에서 환경(Environment) 분야에만 집중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관광학 분야의 ESG 연구 분야 및 현황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관광학 분야에서 필요한 ESG 연구 분야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관광학 분야에서 ESG 발전을 위해 필요한 분야를 다음과 같이 세 분야로 제시하였다. 첫째, 관광산업 분야에서 ESG를 이해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이해관계자 집단들이 생각하는 ESG 경영에 대한 인식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둘째, 서비스 산업인 관광산업의 특성을 반영한 객관적인 ESG 평가변수가 개발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WTTC(World Travel & Tourism Council)에서 관광산업 분야에 제시한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공시전략을 바탕으로 ESG 경영 활동을 객관적으로 공시하는 전략기술이 필요하다.

생태 관광 정보 제공을 위한 플랫폼 설계 (The Design of Platform for Ecotourism Information Supply)

  • 권성현;김영근;손철수;김원중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419-426
    • /
    • 2018
  • 생태 관광이란 우수한 자연자원과 주변의 역사, 문화 자원 체험을 통해 느끼고 관찰하는 관광을 말하며, 현재 국민들의 여가생활 패턴이 변경됨에 따라 자연을 찾는 힐링(healing) 여행이 활성화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계절에 따라 변화하고 특정한 시기에만 관람이 가능한 생태 관광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속 가능한 생태 관광이 이루어 질 수 있는 관광 콘텐츠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관광 콘텐츠 시스템은 이미지 촬영 단말기에서 매일 촬영한 생태 관광 이미지 파일을 수거하여 동영상으로 변환 후 서버에 업로드 하면 관광객이 생태 관광 객체에 도착했을 때,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알려주고 식물의 성장 과정 등을 동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정체·쇠퇴원인에 따른 국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의 중요도 설정 연구 (A Study on Importance Setting of Activation Elements in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Regeneration Consequent on the Cause of Stagnation or Decline)

  • 김중재;이경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107-119
    • /
    • 2016
  • 국내 관광지는 현재 230개소가 관광진흥법에 따라 지정, 조성, 운영되고 있으며, 선행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중 30% 이상이 정체 쇠퇴단계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관광지를 운영, 관리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해결방안 모색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정체 쇠퇴하고 있는 관광지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고 합리적이고 지속가능한 관광지 재생을 위해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국내 정체 쇠퇴 관광지의 정체 쇠퇴 원인을 기준으로 전문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토대로 델파이 조사 분석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기법을 통해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를 도출하였다. 관광지 재생의 합리적 사업 진행을 위해 도출된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의 우선순위와 가중치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체 쇠퇴 관광지 재생 활성화 요소로 상위 속성 7개와 하위 속성 23개, 세부요소 66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활성화 요소를 활용하여 향후 관광지 재생사업을 시행할 때 합리적 의사결정과 사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본 연구 결과가 정체 쇠퇴하고 있는 국내 관광지가 지속가능성을 가지며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국내 관광 사업에 대한 무분별한 관광개발을 막고 관광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방안으로서 역할을 기대해 본다.

환경의식에 따른 산림생태관광객의 심리적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nvironmental Consciousness Influences on the Psychological Reaction of Forest Ecotourists)

  • 연광호;나승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43-52
    • /
    • 2012
  • 2011년은 유엔(UN)이 지정한 '세계 산림의 해'이다. 최근 들어 산림은 환경, 경제, 사회, 문화 등 우리 사회 제 분야에서 그 가치와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특히 기후변화에 따른 지구환경문제가 국제적인 아젠다로 부각되면서, 산림은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에 대한 유일한 흡수 원으로서 그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또한 산림은 생태관광자원의 주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로서 현재 생태관광객이 널리 이용하는 자원이기도 하다. 게다가 한국의 경우 국토의 60%이상을 차지하는 산림은 국민들한테 아주 좋은 생태환경을 제공함과 동시에 국민들의 생태관광지에 대한 환경보전의식도 제고를 가져왔다. 따라서 환경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보전가치가 우수한 산림생태지역을 방문하는 관광객이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정부에서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반면에 생태환경은 관광지를 개발하는 과정과 결과에서 부적절한 개발로 오히려 손상을 받게 되는 경우가 더 많으며, 생태관광객의 높은 환경의식과 엇갈려 실패를 보는 경우도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생태관광객의 환경에 대한 관점이나 의식 등에 관한 연구가 미흡하여 지속가능한 생태관광개발에서 생태관광지와 관광객사이에 초점을 맞추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산림생태관광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산림자원을 이용한 생태관광객과 그들의 환경의식을 정의하여 관광지에 대한 매력성, 만족 및 관광 후 태도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서, 관광객의 입장에서 어떠한 생태관광지를 선호하는지를 파악하는데 그 중점을 두었다. 연구결과 산림생태관광객의 높은 자연보호의식은 관광지 매력성, 만족 및 관광 후 태도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고 환경오염의식은 관광지 매력성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에 따라 우리는 지속적인 생태관광지 개발과 생태관광 프로그램을 작성함에 있어서 관광객의 자연보호의식 전환 및 생태관광객의 심리적 반응을 중심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PDF

대학생의 생태관광 인식이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otourism Perception on Behavior Intention and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 이익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68-276
    • /
    • 2021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생태관광에 대한 가치인식이 행동의도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식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의 모든 생태관광 가치 인식 요인은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식적 가치, 감정적 가치, 기능적 가치의 모든 생태관광 인식요인은 행동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생태관광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생태관광 만족도와 행동의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서비스 및 품질, 프로그램 등으로 이루어진 기능적 가치는 다른 요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향을 적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생태관광 상품 만족도 및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생태관광 가치인식 요소에 대해 대응할 수 있는 접근성 높은 주말상품 개발, 지속가능한 간광상품개발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과 교육프로그램 등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관계 법령 검토를 통한 어촌 어항의 발전 방향 제시

  • 김승
    • 어항어장
    • /
    • 통권74호
    • /
    • pp.35-39
    • /
    • 2006
  • 어항.어촌.어장을 연계한 통합개발은 너무 급하게 서둘러서도 안 될 것이며 지금부터 새로 기반을 조성하여 새롭게 시작한다는 관점에서 제도를 시책에 걸맞게 개선해야 한다. 어항.어촌.어장의 연계개발은 수산업진흥을 통한 어업소득 증대와 어촌관광시설 확충을 통한 어촌경제 활성화, 도서지역의 환경보전을 도모하는 것이기에 지속가능한 장기적 발전에 초점을 맞추어야 한다.

  • PDF

산악관광을 통한 지역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 히말라야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gional Mountain Tourism Development: Focused on Himalayan Region)

  • 이승구;샤말 레누카
    • 산학경영연구
    • /
    • 제21권2호
    • /
    • pp.57-77
    • /
    • 2008
  • 산악관광은 독특한 자연환경과 문화를 기반으로 모험추구레저와 다양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대안관광으로의 가치와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특히 산악관광의 대표적 목적지인 히말라야산맥의 관광대상지에서는 지역개발의 최고 목표이자 최적의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많은 관심과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물리적인 접근성이 미약하고 문화적인 수용력이 매우 낮은 산악지역의 관광 및 레저개발은 단기적으로 지역경제활성화 및 지역 인프라 확대에는 많은 기여를 하고 있지만 실질적인 지역소득연계나 사회, 문화, 환경적으로 부정적인 영향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히말라야산맥의 대표적인 산악관광지로 발돋움하고 있는 네팔과 북부 인도지역을 중심으로 산악관광을 통한 지역개발 현황과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문명의 개발로부터 소외되었던 히말라야산맥 지역의 관광개발은 지역소득과 고용효과에 대단한 성장추세가 지속되고 있고 관광산업에 대한 신뢰와 희망 또한 매우 높은 편이다. 하지만 단기간의 개발에 따른 관광개발의 부정적인 현상들이 현실적으로 나타남에 따라 보전과 보호 및 개발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의 필요성을 각인하게 되었다. 결국 생태계 및 문화유산 보호와 지역개발의 두 가지 목적을 성취하는 개발방안의 논의와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향성의 제시가 요구된다. 특히 NGO를 중심으로 복합적인 산악관광협의체를 설립과 액션플랜이 관건이다.

  • PDF

드라마세트장의 지속가능한 관광자원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죽변 드라마 세트장의 개발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Planning Sustainable Tourist Resource of TV Drama Location Sets - Centering on the Development Plan of Juk-Byun Drama Location Set -)

  • 장미현;이준성;남수현;장현승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1-12
    • /
    • 2007
  • TV-Drama Location sets as a potential magnet for tourism have been a popular subject during the past years. A large number of provincial governments have been trying to attract location sets to their region for this cause. But so far the drama sets, once they lost the heat of the initial exposure, have not been used continuously and thus result in waste of province budget. Systematic approach to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 application is needed. On the basis of analyzing the issues and problems of existing TV drama sets, this study explores possibilities of development in the case of "Into the storm" drama set, locationed at Jukbyun, Uljin-gun. Through SWOT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the study proposes sustainable scheme that accommodates potential for future drama, tourist attraction and functions for local reside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