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적 분포

Search Result 417,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erformance of Adaptive array antenna system under the Multi-Rate Service Environment (Multi Rate Service 환경 하에서의 adaptive array antenna system의 성능 분석)

  • 박현화;김정호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3.11c
    • /
    • pp.396-402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multi-media service를 제공하는데 smart antenna system을 적용했을 때의 performance 를 각 서비스별 특성에 따라 평가한다. 서로 다른 다중 rate 의 신호가 각각의 안테나를 통해서 수신되는 환경 하에서 adaptive smart antenna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고속이고 향상된 용량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지리적 분포 또는 간섭 전력에 따라서 성능 특성이 달라지므로 이에 대한 성능 분석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수행한다.

  • PDF

Frequency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B Chromosomes of Rye (Secale cereale L.) in Korea (한국 호밀(Scale cereale L.)의 B 염색체 출현빈도와 지리적 분포)

  • 방재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v.29 no.2
    • /
    • pp.77-84
    • /
    • 1986
  • The frequencies and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B chromosomes on 15 strains of rye (Secale cereale L.) collected from various localities in Korea were investigated. All of the 15 strains of rye investigated were found to have B chromosomes, and the frequencies of B chromosomes ranged from 6% to 51% with 20.1% average. Plants with 2Bs seem to be the most stable in populations with B chromosomes. Of 1400 plants examined, one plant was observed to have a deficient-B chromosome in Buyo rye.

  • PDF

Geographic Distribution and Seasonal Catches of Three Adoxophyes Species in Korea (애모무늬잎말이나방류 3종의 지리적 분포와 성충 발생소장)

  • Yang, Chang-Yeol;Kyung, Tae-Hyun;Cha, Young-Sik;Kang, Taek-Jun;Jeon, Heung-Yong;Kim, Hyeong-Hwan;Kim, Eun-Young
    •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 /
    • v.48 no.3
    • /
    • pp.295-299
    • /
    • 2009
  • Adoxophyes spp. (Lepidoptera: Tortricidae) are economically important pests of fruit trees in Asia and Europe.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three Adoxophyes species, A. orana, A. honmai and A. paraorana, in Korea was surveyed using species-specific sex pheromone traps for males in 2006 and 2007. The distribution of A. orana was restricted in the midwestern area, while A. honmai was found mainly in the southern area. In contrast to these two species, A. paraorana was widely distributed. Moreover, A. paraorana coexisted with A. orana in the midwestern area, and with A. honmai in the southern area. The seasonal fluctuation of male catches was monitored with pheromone traps in 2008. In the central regions, males of A. orana and A. paraorana were captured from May to September, with peak numbers in late May, middle July, and late August. A. honmai males were trapped from late April to late September, with peak catches in middle May, late June, early August, and early September in Naju.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Alpine Plants (한반도 고산식물의 구성과 분포)

  • 공우석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7 no.4
    • /
    • pp.357-370
    • /
    • 2002
  • Present work aims to investigate the species composition, physiognomy and distribution of arctic-alpine and alpine plants(AAP) of the Korean Peninsula. The dominance of AAP in the northern Korea may be due to the frequent exchanges of floras with circumpolar regions for the seek of the glacial refugia during the alternate Pleistocene glacial epochs. The post-glacial climatic amelioration pushed AAP back northwards and upwards, so they now shows disjunctive distribution on separate mountain tops. The diverse morphological adaptations of AAP to severe environmental conditions, viz. the dominance of perennial species, stunted tree growth, multiple protection of leaves, krummholz, and dwarf shrubs, are the result of long-term graduall development which have safeguarded the survival of AAP in a such a harsh cryo-climatic area. The appearance of the Korean endemic AAP reflects the long-term isolation of species in Korea, and the local environmental diversities which have both accentuated this isolation and aided the development of genetic diversity. Evergreen broad-leaved AAP at c. 1,500m to 1,800m and above are now endangered because of the competition from down-slope plants, and from the global warming.

Geographical Variation in Cancers in Korea (우리 나라 주요 암의 지역적 분포 현황)

  • 김요은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5
    • /
    • pp.543-560
    • /
    • 1999
  • 본 연구는 전국 6개 광역시 및 각 도별로 우리 나라 주요 암의 지역적 분포 현황을 살펴보고 그러한 지역차의 원인을 규명해 보고자 한다. 전국 시 도별 암 등록 현황 자료를 토대로 위암, 직장.결장암, 간암, 폐암과 유방암의 전체 암에 대한 시 도별 상대적 위험도를 분석하여 지리정보체계(GIS)를 이용한 지도화를 근간으로 분석하였다. 위암의 경우 위암 발생의 상대적 위험도는 해당 지역 병원이 부담해야 하는 인구수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또한, 폐암의 경우도 대도시지역이 상대적으로 낮은 발병율을 보였으며, 농촌지역은 폐암의 고위험지역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폐암 환자의 분포 현황은 도시 지역에 비해서 농촌 지역의 흡연율이 높은 것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직장.결장암의 상대적인 위험도도 도시지역보다는 농촌지역에서 높았다. 이러한 분포 패턴은 농촌지역의 노령화 현상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유방암의 경우 농촌지역보다 대도시지역에서 높은 발암율을 보였다. 이것은 유방암 발생이 식생활을 포함하는 서구화된 생활방식과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해 주는 것이다. 간암은 부산, 경남 및 전남 지역에서 높은 환자 빈도를 나타냈다. 특히, 이 해안지역에서의 간암의 상대적으로 높은 위험성은 ‘회’의 섭취로 인한 감염성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PDF

Siz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helf Sediments (한국근해 퇴적물의 입도분포 특성)

  • 공영세;김승우
    • 한국해양학회지
    • /
    • v.26 no.1
    • /
    • pp.38-46
    • /
    • 1991
  • size data of 1,044 surface sediments from Korean shelf area were compiled and reexamined. Size distribution curves of the sediments are unimodal (31% of the total number), bimodal (54%), or multimodal 915%), Size curves of the sediments and modal subpopulations of the mixed sediments show resemblance to normal curve in shape. The modal mean value shows systematic change along a direction inside the Recent mud belts of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nd west of Korea Strait. It was found that the areas covered by unimodal sand are minimal value areas of heavy metal and suspended sediment-concentration in the southeastern Yellow Sea and northern East China transport processes during Recent time. It was also found that the mode analysis is useful method to extract information from sediment size data.

  • PDF

The Impact of Interaction between Cloud and Longwave Radiation In Asia Monsoon Circulation (구름-장파복사 상호작용이 아시아 몬순 순환에 미치는 영향)

  • Yu, Geun-Hyeok;Son, Byeong-Ju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3.09a
    • /
    • pp.112-125
    • /
    • 2003
  • 구름의 몬순의 활동에 있어서 직접적으로나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구름이 몬순의 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ISCCP 구름자료와 GAME 재분석 자료를 입력자료로한 장파 복사 모델을 수행하였다. 모델 수행의 결과로 얻어진 대기 상부에서의 플럭스는 CERES 관측치와 비교하였으며, 구름에 의한 가열율은 몬순활동을 해석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구름이 몬순에 끼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맑은 대기의 가열율과 구름을 포함한 평균 대기의 가열율의 차이를 구하였으며, 이를 수평과 연직분포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가열율의 지리적 분포는 수평적으로는 인도양에서 장파 복사 가열율의 최대가 나타났으며, 가열의 최저 (냉각)은 티벳고원에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적 분포는 구름이 남북방향으로 차등가열을 유발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구름의 분포가 열적인 몬순순환을 강화시켜주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차등가열의 강화는 동서방향으로도 나타나 구름이 동서방향 순환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준다. 구름에 의한 복사 가열의 연직구조는 운정에 의한 냉각과 운저에 의한 가열이 일어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로 인해 대기의 불안정성이 높아져 연직 운동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즉 몬순순환에 의해 생성된 구름은 구름 생성의 원인이 되었던 순환을 더욱 강화시키고 있음을 보이고 있다.

  • PDF

Estimation of Precipitation Correction Factor and Flood Runoff Analysis of Urban Stream using Distributed Model and the Radar Image (레이더 영상과 분포형 모형을 활용한 도심하천의 홍수유출해석 및 강우보정계수 산정)

  • Kang, Bo-Seong;Yang, Sung-Kee;Jung, Woo-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544-544
    • /
    • 2016
  • 최근 지구온난화 등 기후변화에 따른 돌발 홍수가 계절과 관계없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국지성 호우 및 태풍의 영향으로 인한 홍수피해가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강우 관측 및 홍수량 산정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많은 수문학적 연구와 기술 발달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강우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관측 가능한 레이더영상 자료의 활용성이 증대되어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제주도의 경우 다른 지역에 비해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제주도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의 공간적 특성을 격자기반으로 분석하고 매개변수 산정 시 경험적 요인을 제거할 수 있는 분포형 모형인 Vflo와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레이더 영상자료 및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Arc-GIS를 이용하여 제주도 도심하천인 외도천 유역의 지형적 지리적 특성(DEM, 토양도, 토지피복도 등)을 $30m{\times}30m$ 격자크기로 분석하고, 레이더영상 자료로부터 강우 자료를 추출하였으며, 분포형 모형(Vflo)을 활용하여 유출량을 모의하였다. FSIV기법을 통해 현장 관측한 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으며, 레이더 영상자료로부터 추출한 강우자료는 AWS자료를 활용하여 제주도에 적합한 강우보정계수를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향후 제주도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 산정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하천기본계획 및 유역종합치수계획 등 치수계획 수립 시 많은 활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한반도 해안임연군락의 분포특성)

  • Jung, Yong-Kyoo;Kim, Woe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v.23 no.3
    • /
    • pp.193-199
    • /
    • 2000
  • The research about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was accomplished.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direct analysis of the latitude and temperatures of each releve site on the basis of syntaxonomy and hierarchical system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which was already obtained from Zurich-Montpellier School's method. The distribution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South Korea appeared from North to South in the order of Rosa rugosa community, Vitex rotundifolia community, the Linario-Viticetum rotundifoliae, the Roso-Viticetum rotundifoliae and the Imperato-Viticetum rotundifoliae, and it was recognized that tendencies of continuous and overlapped distribution pattern in adjacent syntaxa. Consequently, It is suggested that the syntaxonomical, geographical and bioclimatic informations of Japan, North Korea and China are essential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al patterns of coastal mantle communities in Korean Peninsul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