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리인자

Search Result 31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Development of Early Forecasting System using GIS and Prediction Model related to the Cyanobacterial Blooming in the Daecheong Reservoir of Korea (예보모델과 GIS를 기반한 대청호의 남조류 발생에 대한 조기예보시스템 개발)

  • Kim, Man-Kyu;Park, Jong-Chul;Kim, Kwang-Hoo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0 no.2
    • /
    • pp.91-102
    • /
    • 2007
  • To anticipate and respond to harmful algae produced in a big artificial lake like Daecheong reservoir, development of a regional analysis computer system using GIS or RS technique is needed in addition to biological and chemical researc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yanobacterial blooming prediction model to prevent harmful algae produced in Daecheong reservoir and construct an early forecasting system based on GIS.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relationship between cyanobacteria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Daecheong reservoir and selects precipitation and air temperature as two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yanobacterial blooming prediction model. Data used in this study are water quality and weather data for three water regions in Daecheong reservoir between 2000 and 2004. Based on qualitativ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yanobacteria and environmental factors, this paper presents a Rump model which enables us to predict cyanobacteria in water regions of Daecheong reservoir. Under this model the prediction of initial occurrence time and growth period of cyanobacteria are possible. The model is also applied to the GIS-based early forecasting system for cyanobacteria, and finally a GIS which can predict cyanobacteria produced in Daecheong reservoir and can manage the related data is developed.

  • PDF

GIS Applications for Optimum Site Selection of Public Facility (도시공공시설 적지선정을 위한 GIS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Kim, Jae Ik;Chung, Hyun Wook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4 no.4
    • /
    • pp.8-20
    • /
    • 2001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 new method of evaluation, and to suggest how to apply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optimum public facility site selection. For this purpose, a new evaluation model for the site selection is developed. The model provides a simple and easy method of evaluation. It also allows differences among location factors through two step weighting procedures.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odel, solution procedures and visual figures are illustrated with the case of Dalseong-Gun's city hall location example.

  • PDF

Pollutant Source Database and Water Quality Managemen Ecosystem Model for Juam Reservoir Watershed Using GIS (GIS를 응용한 주암 상수원수계의 오염원 DB 구축과 수질관리 생태계모형)

  • 양홍모;권유리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3 no.3
    • /
    • pp.209-219
    • /
    • 1999
  • 주암호는 전라남도와 광주광역시에 약 1,180,000톤/일의 생활용수와 공업용수를 공급하는 상수원이다. 상수원수계의 생활하수, 축산폐수, 숙박업소, 식당 등 점오염원과 주거지, 농경지, 산림지역에서 우수와 함께 유출되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오염부하량으로 이들 상수원의 수질은 점점 악화되어 3급수로 전락할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이들 상수원의 수질관리에 있어 중요한 인자의 파악과 인자들간 상호작용의 이해를 용이하게 해주는 수계수질관리 부분생태계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지리정보체계를 응용하여 수계의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을 데이터베이스화하는 방법, 오염부하량 산출방법, 점원 및 비점오염원의 공간분석, 상수원 보호구역으로부터 완충구역분석, 위성자료 분석을통한 상수원 수계 토지이용분석과 비점오염원 부하량산출 응용 방법등을 연구하였다 분석결과 주암호수계의 BOD 부하량은 주거지. 생활하수, 축산폐수, 경작지, 식당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며 총질소 부하량은 경작지, 산림, 생활하수, 추간폐수가 높으며 그리고 총인 부하량은 생활하수, 축산폐수, 경작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점오염원인 생활하수, 축산폐수, 식당 뿐만 아니라 비점오염원인 경작지도 수질오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 PDF

Verification about Threshold Discharge Computation using GIUH on ungauged small basin (지형학적순간단위도를 이용한 미계측 소유역의 한계유출량 산정 검증)

  • Choi Hyun;Lee Sang-Jin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4 no.1 s.36
    • /
    • pp.15-27
    • /
    • 2006
  • This paper is about the threshold discharge computation using GIUH(Geomorphoclimatic Instantaneous Unit Hydrograph) on ungauged small basin. GIUH is one of the possible approaches to predicting the hydrograph characteristics. This study is calculated the various ways which are hydrologic characteristics, bankfull flows, unit peak flows(the Clark, the Nakayasu and the S.C.S) as well as threshold runoffs on about $5km^2$ scale at Kyungbuk gampo in subbasin. We are estimated propriety that peak discharge calculated the GIUH from acquiring data b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compared to observed peak discharge. And, the threshold discharge was calculated by NRCS(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for a flash flood standard rainfall.

  • PDF

The Analysis of Linkage by Industrial Ripple Effect among Regions (산업의 지역간 파급효과에 의한 연계성 분석)

  • Kim, Sung-Rok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3
    • /
    • pp.424-436
    • /
    • 2012
  • While local autonomy is settled, each local government plans and fulfills policy to foster local industry for local development so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industry location and economic foundation which is fitting to local conditions. Local development requires the development of local industry and it is necessary that this industry fits to the local conditions in order to be focused and developed. The regional input-output tables contain very useful data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local industry and interregional industry and also the analysis of linkage by industrial ripple effect among regions is needed. The study divided the country into 7 units and conducted factor analysis by using sum data of inducement coefficients in 78 parts of 2005's regional input-output tables, and as conclusion extracted 8 factors.

  • PDF

Analysis of Rainfall-Runoff Modeling based on DEM Grid-size -Centering on the Seolma Stream Basin- (DEM 격자크기에 따른 강우-유출 모델링(설마천유역을 중심으로))

  • Lee Jong-Kyu;Jang Hong-Jun;Choi Byung-L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169-1173
    • /
    • 2005
  • 자연현상의 강우와 유출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상당히 복잡하고 어려우며 대부분의 하천이 충분한 수문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수문학적인 문제의 해결을 위한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방법이 필요하다. 지리정보시스템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s; GIS)은 강우-유출 등 수문학적 모델링에 있어서 많은 새로운 방법을 연구할 수 있다. 우리나라 소하천 유역은 아직 수위나 유량 관측이 행해지지 않은 미계측유역이 있어 홍수시 정확한 유출량 추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GIS와 WMS를 이용하여 지형특성인자값을 산정하고, 유역특성인자들을 IHP 대표유역인 설마천 유역에 적용하여 DEM 격자크기별 지형특성인자값을 비교하고, HEC-HMS 수문모형을 이용하여 유출수문곡선을 모의하고 이 결과와 실제 수문곡선과의 비교를 통하여 설마천 유역의 적정한 DEM 격자크기를 결정해 보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Estimating Basin Characteristics at Nak-Dong River Basin (낙동강유역에 대한 유역특성 분석)

  • Oh, Yeon-Kun;Kim, Moon-Ju;Kim, Ha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72-77
    • /
    • 2006
  • 유역특성조사는 지형도와 원격탐사자료 및 확인조사를 기초로 지리정보시스템(GIS)기법 등 최신기법을 도입하여 유역단위의 특성인자를 도출함으로서 이수 및 치수 등 수자원과 관련된 각종 분석의 기초자료 제공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기존의 유역특성 자료는 전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전반에 문헌을 통한 개괄적인 인용, 또는 수작업으로 중소하천의 유역특성인자를 파악함으로서, 일관성 및 정확도에 어느정도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중소하천 유역별(소유역별) 유역특성 파악 및 특성인자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초자료 구축을 위한 전면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국유역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수자원단위지도를 기반으로 하여 DEM과 하천망도를 구축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유역특성 및 하천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

Spatial analysis on forest fire occurrence with meteorological data (기상인자를 이용한 산불 발생 공간 분석)

  • Kwak, Han-Bin;Lee, Woo-Kyun;Lee, Si-Young;Won, Myung-Soo;Koo, Kyo-Sang;Lee, Myung-B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9.04a
    • /
    • pp.279-281
    • /
    • 2009
  • 우리나라 산불은 대부분 인간에 의해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그것이 반드시 기상요인을 받지 않는다고는 볼 수 없다. 연중 대부분의 산불이 봄철 건조한 시기에 일어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처럼 산불 발생과 관련이 있는 기상인자 중 기온과 강수량, 습도를 중심으로 산불 발생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몇몇 독립변수들을 통제하기 위해 지형 지리 인자들이 분석에 포함되었다. 시간을 두고 발생하는 이산형 사건 분석에 적합한 포아송 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산불 발생 지점의 점 자료를 래스터화하여 사용하였다.

  • PDF

The Factor Analysis of Topography on Precipitation in Jeju-island (산악형 강수의 지형학적 영향 요인 추출에 관한 연구)

  • Yun, Hye-Seon;Um, Myoung-Jin;Cho, Won-Cheol;Heo, Jun-Hae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2-16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산악형 강수의 특성을 보이는 제주도의 여러 지형 조건과 강수량의 관계를 확인하고 강수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인자를 분석하였다. 제주도는 원추형의 형태로 중심에 한라산이 있는 전형적인 산악형 지형이고 해발고도의 분포가 $EL.0^{\sim}1950m$로 다양하여 본 연구의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 강우자료는 제주도 내 기상관서 4개소(제주, 서귀포, 성산포, 고산) 및 자동기상관측소(AWS) 13개소의 관측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짧은 자료기간을 보완하기 위해 지역빈도해석을 적용하여 확률강우량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지형인자 6개를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추출된 지형인자에 대하여 요인분석으로 대표 인자를 추출하고 요인과 실제변수들의 강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정결과 도출된 요인을 이용하면 강수량 산정 시 지형 변수들의 영향을 반영함과 동시에 보다 적은 수의 변수를 이용하여 지형 변수들을 모두 반영하였을 경우와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추후 지형 변수들을 추가로 확보하여 지형특성을 반영한 간편하고 합리적인 강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Geomorphic Variables Influential to Develop Erosional Characteristics (산지사면의 침식에 영향을 주는 지형인자에 관한 연구)

  • Yoo-Jeong Hwang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3 no.3
    • /
    • pp.365-376
    • /
    • 199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geomorphic variables contolling gully development on hillslopes following deforestation. Two possible geomorphic processes, surface erosion and mass movement were reviewed to compare the characteristics and geomorphic variables involved. The research objective in this paper is to find the variables and the statistical model which can explain gully density in the study area. Gully density was selected as a response variable. For log gully density, the best subset regression was found to have the variables such as area, surface length, and surface width. Log area is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 Even with several outliers, the normal probability plot of the residuals from this regression looks straight. So, area, surface length, and surface width explain half of the variance in gully dens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