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르코니아 표면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19초

지르코니아의 새로운 표면처리 방법이 레진 시멘트와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New Surface Treatment Method of Zirconia on the Shear Bond Strength with Resin Cement)

  • 조원탁;배지현;최재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245-251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지르코니아의 새로운 표면처리 방법이 레진 시멘트와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르코니아 표면처리 방법 따라 5개의 그룹으로 분류하였다: 표면처리 미시행한 군(CON군), 100℃에서 9% 불산에 10분간 노출시킨 군(HF군), 15%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적용한 군(ZS15군), 30%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적용한 군(ZS30군), 50%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적용한 군(ZS50군). 표면처리한 지르코니아 위에 레진 시멘트를 적용하였고, 열 순환 처리 후 지르코니아와 레진 시멘트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통계 방법으로 Kruskal-Wallis test와 Mann-Whitney U test 및 Boneferroni correction를 사용하였다(α=.05/10=.005).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적용한 군은 CON군과 HF군에 비해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p<.05/10=.005). 지르코니아 슬러리를 이용한 표면처리 방법은 레진 시멘트와 지르코니아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증대시킴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새로운 표면처리 방법은 지르코니아가 지닌 접착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개선함으로써 지르코니아의 보다 다양한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지르코니아와 상호작용하는 금 표면 위의 메르캡토파이러빅산층 표면 물성 (Surface Properties of Mercaptopyruvic-acid Layer Formed on Gold Surfaces Interacting with ZrO2)

  • 박진원
    • 청정기술
    • /
    • 제20권2호
    • /
    • pp.130-135
    • /
    • 2014
  • 지르코니아 표면에 흡착되는 금 입자의 분포 또는 그 반대 경우의 분포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정전기적 상호작용과 금 입자를 코팅한 메르캡토파이러빅산(mercaptopyruvic-acid)층의 표면물성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자힘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으로 메르캡토파이러빅산층 표면과 지르코니아표면 사이의 표면힘을 염농도와 pH값에 따라 측정하였다. 측정된 힘은 derjaguin-landau-verwey-overbeek (DLVO) 이론으로 해석되어 표면의 포텐셜과 전하밀도들이 정량적으로 산출되었다. 이 특성들이 염농도와 pH에 대하여 나타내는 의존성을 질량보존의 법칙으로 기술하였다. pH 8 조건에서 실험으로 산출된 표면 특성의 염농도 의존성은 이론적으로 예측했던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메르캡토파이러빅산층의 표면이 지르코니아 표면보다 높은 포텐셜과 전하밀도를 갖는 것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메르캡토파이러빅산 층의 이온화-기능-그룹에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PFM metal과 zirconia의 표면상태에 따른 전단결합강도 분석 (Shear bond strength analysis of PFM metal and zirconia with different surface condition)

  • 정재관;김경아;이수옥;김기백;김재홍;김영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329-4335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금속 도재관과 지르코니아 도재관 보철물의 하부 구조물인 금속과 상부 도재의 결합강도 (금속군), 하부 구조물인 지르코니아와 상부 도재의 전단결합강도 (지르코니아군)를 결정함에 있어서 각각 하부 구조물인 금속과 지르코니아의 표면 처리를 다르게 하였을 때,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금속군에서는 금속 표면에 각각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집단(NM), 모래분사를 실시한 집단(SM), 불투명 도재를 도포한 집단(OM), 모래분사와 함께 불투명 도재를 도포한 집단(SOM) 총 4집단으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지르코니아군에서는 아무 처리를 하지 않은 집단(NZ), 표면에 모래 분사를 실시한 집단(SZ), 지르코니아 표면에 이장재(지르라이너)를 처리한 집단(LZ), 모래분사와 이장재 처리를 함께한 집단(SLZ) 총 4집단으로 시편을 제작하였다. 금속군과 지르코니아군 각각의 4집단의 표면 처리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에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SPSS를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시행하였다. 금속 도재관의 경우 하부 구조물인 금속 표면에 모래분사를 한 후 불투명 도재를 도포하는 것이 가장 권장되며, 지르코니아 도재관의 경우 하부 구조물인 지르코니아 표면에 모래분사를 한 후 지르라이너를 도포하는 것이 권장된다.

샌드블라스팅과 프라이머가 지르코니아와 레진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andblasting and primer on shear bond strength of resin cement to zirconia)

  • 이정행;김형섭;배아란;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49-56
    • /
    • 2011
  • 연구 목적: 최근 지르코니아가 전부도재관의 코어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지르코니아와 레진 시멘트의 결합 강도를 높이기 위한 기계적, 화학적인 표면 처리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여러 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지르코니아와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재료 및 방법: 80개의 지르코니아 (Lava, 3M ESPE, St. Paul, MN, USA) 시편과 80개의 지르코니아/알루미나 복합체 (Zirace, Acucera Co Inc, Korea) 시편을 디스크형태로 제작하여 에폭시레진에 매립하였다. 이들을 각각 4개의 군으로 나누어 $50\;{\mu}m$ $Al_2O_3$ sandblasting, $110\;{\mu}m$ $Al_2O_3$ sandblasting, $50\;{\mu}m$ $Al_2O_3$ sandblasting과 프라이머 (Z-PRIME Plus, Bisco Inc, Schaumburg, IL, USA) 사용, $110\;{\mu}m$ $Al_2O_3$ sandblasting과 프라이머 (Z-PRIME Plus) 사용 군으로 나누었다. 표면 처리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2가지 레진 시멘 (Calibra, Panavia F)으로 접착하였다. 그 후 증류수 ($37^{\circ}C$)에 24시간 보관 후 전단 결합 강도 실험을 시행하였고, SEM을 사용하여 표면 처리한 표면과 전단강도 실험 후 파절양상을 관찰하였다. 결과: ANOVA분석에 따르면, 두 가지 종류의 시편 모두에서, 프라이머 (Z-PRIME Plus)를 사용하여 표면 처리한 군들이 전단 결합 강도가 높았다 (P < .05). 결론: 기계적 결합 강도와 함께 새로운 프라이머를 사용하는 것이 지르코니아와 레진 시멘트의 접착 강도를 증가시킨다.

지르코니아 세라믹의 표면처리에 따른 치과용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The effect of surface treatment conditioning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and dental resin cements)

  • 김지혜;서재민;안승근;박주미;송광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73-81
    • /
    • 2013
  • 연구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지르코니아 표면처리에 따른 3종의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의 전단결합강도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총 143개의 디스크 모양의 지르코니아 블록(HASS Co., Gangneung, Korea) 시편을 제작하고 총 13개군(n=11)으로 나누었다. 그중9개군은 표면처리 방식(1. 알루미나 분사, 2. 알루미나 분사와 지르코니아 라이너의 도포, 3.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3M ESPE, Seefeld, Germany) 처리) 및 사용한 3종류의 레진시멘트(Bistite II (Tokuyama Dental Co., Japan), Panavia F2.0 (Kuraray Medical, Japan), Super-bond C&B (Sun Medical, Japan))에 따라 나누어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을 시행하였다.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은 위 3종류의 레진시멘트를 3가지 방법으로 표면처리한 지르코니아 시편에 접착하고, 상온의 증류수에 24시간 동안 보관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열순환처리 후 접착강도 실험은,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에서 우수한 전단결합강도를 보인 지르코니아 표면처리군(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처리를 하고 3종류의 레진시멘트를 접착한 3개의 군)과 대조군으로 알루미나만으로 표면처리 후 Super-bond C&B를 접착한 1개의 군을 대상으로 $5^{\circ}C$$55^{\circ}C$사이에서 5,000회 열순환처리를 시행하고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열순환처리 전 접착강도 실험에서는 알루미나 분사와 Rocatec 처리를 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Super-bond C&B를 접착한 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Super-bond C&B를 사용한 군이 다른 시멘트 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지르코니아 표면에 Rocatec 처리를 한 군이 다른 표면처리를 한 군보다 유의성 있게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열순환처리를 한 후에는, Rocatec 처리를 한 지르코니아 표면에 Super-bond C&B를 접착한 군만이 유일하게 전단결합강도가 증가하였으며, 다른 모든 군에서는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였다. 결론: 본 실험에서는 Super-bond C&B 시멘트가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으며, Rocatec 시스템은 레진시멘트와 지르코니아의 전단결합강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이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나노구조 알루미나 코팅 처리가 지르코니아 도재와 레진 시멘트 사이 전단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ano-structured alumina coating treatment on shear bond strength between zirconia ceramic and resin cement)

  • 김동운;이정진;김경아;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354-363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지르코니아 도재 표면의 나노구조 알루미나 코팅이 지르코니아와 레진 시멘트와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지르코니아 원판 80개를 표면처리방법(산화알루미늄 분사처리(A), 산화알루미늄 분사 후 Rocatec 처리(R), 연마 후 나노구조 알루미나 코팅(PC), 산화알루미늄 분사 후 나노구조 알루미나 코팅(AC))에 따라 4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알루미나 코팅은 질산 알루미늄을 가수분해시킨 용액에 침적 후 $900^{\circ}C$에서 열처리 하여 시행하였다. 지르코니아 표면 코팅은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레진 블럭을 레진 시멘트를 이용하여 각 실험군의 지르코니아 표면에 합착하고 열순환처리 전, 후의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알루미나 코팅을 한 지르코니아 표면은 균일하고 치밀한 나노구조 알루미나가 관찰되었다. PC, AC 군은 열순환처리 전과 후 모두 A와 R 군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전단결합 강도를 보였다. A, R 군은 열순환처리 후에 급격한 결합강도의 감소를 보였으나, PC와 AC군은 열순환처리에 의해 유의할만한 결합강도의 감소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르코니아 표면에 나노구조 알루미나 코팅처리하는 것은 레진시멘트와의 결합강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플라즈마 용사에 의한 열벽코팅의 상변태가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Phase Transformations on the Durability of the Plasma Sprayed Thermal Barrier Coatings)

  • 이의열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76-185
    • /
    • 1996
  • 플라즈마 용사된 열벽코팅의 수명을 평가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양의 CeO$_2$(16,18,20,22,24 그리고 26 wt.% CeO$_2$)를 포함하는 지르코니아 코팅에 대한 상분석이 행하여 졌다. 플라즈마 용사된 후 16 및 18 wt.% CeO$_2$를 포함하는 지르코니아 코팅에서는 비평형 tetragonal 상 만이 생성되었으나 20-26 wt.% CeO$_2$를 포함하는 지르코니아 코팅에서는 비평형 tetragonal 및 cubic 상의 혼합상이 관찰되었다. 열순환 산화시험 동안에는 비평형 tetragonal 및 cubic 상은 평형 tetragonal 및 cubic 상으로 변태하였다. 평형 tetragonal 상의 일부는 열순환 산화시험의 냉각과정 중에 monoclinic 상으로 변태하였다. 그리고 16 wt.% CeO$_2$를 포함하는 지르코니아 코팅은 다른 조성의 지르코니아 코팅보다 열순환 산화시험 동안 더 많은 monoclinic 상이 생성되었으며 세라믹 코팅 수명이 짧았다.

  • PDF

세라믹과 지르코니아의 골유착에 관한 고찰 (Osseointegration of Ceramics & Zirconia : A Review of Literature)

  • 송영균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8권3호
    • /
    • pp.319-326
    • /
    • 2012
  • 세라믹은 오랜 기간 동안 치과용 수복재로 사용되어 왔다. 세라믹이 치과학에 도입되면서, 치과용 수복물은 심미성 면에서 눈부신 발전을 하게 되었다. 그러나 최근 세라믹은 수복재료뿐만 아니라 생체재료로서 주목을 받고 있다. 알루미늄 옥사이드와 사파이어등으로 시작된 연구는 지르코니아가 등장함에 따라 새로운 국면을 맞게 되었다. 특히 지르코니아는 색상이나, 기계적 성질, 생체친화성 등 여러 가지 장점 때문에 전통적으로 임플란트 고정체의 주재료이었던 티타늄의 대체 물질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지르코니아의 골반응은 매우 우수하지만, 표면 처리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표면 처리된 티타늄보다는 뛰어나지 못하다는 내용들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벗어나기 위해, 표면에 화학처리를 하거나 처음부터 다공성 형태를 갖도록 성형하는 방법과 다른 물질로 코팅처리하는 방법들이 소개되었고, 그 결과 수종의 지르코니아 임플란트가 현재 상용화된 상태이다. 앞으로 골이식재 구성성분으로서의 연구 등 다양한 목적의 생체재료로서 지르코니아의 활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이 논문에서는 생체재료로서의 지르코니아에 대한 연구와 앞으로의 발전가능성 등에 관한 문헌을 고찰할 것이다.

구강인기방법과 블록 종류에 따른 지르코니아 코핑의 변연적합도 비교 (Comparison of Marginal Fitness of Zirconia Copings According to Impression Techniques and Zirconia Blocks)

  • 정인성;전병욱;김원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51-157
    • /
    • 2016
  • 구강인기방법과 지르코니아 블록 종류에 따른 지르코니아 코핑의 변연적합도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2종의 고무인상재와 1종의 구강스캐너를 사용한 구강인기방법과 3종의 지르코니아 블록을 사용하여 지르코니아 코핑을 10개씩 제작하여 표면 거칠기와 변연적합도를 측정하였다. 표면 거칠기는 LUXEN Smile($2.3{\pm}0.9{\mu}m$) 블록이 가장 우수하였다. 그리고 협측 변연간격은 HL시편($26.5{\pm}2.1{\mu}m$), 설측 변연간격은 HL시편($27.2{\pm}2.1{\mu}m$), 근심 변연간격은 HJ시편($29.6{\pm}4.0{\mu}m$), 원심 변연간격은 HJ시편($29.0{\pm}3.0{\mu}m$)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통계학적으로 유의차가 있었다(p<0.05). 이 결과, 구강인기방법과 지르코니아 블록 종류가 변연적합도에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연간격은 모든 군에서 임상적 허용 범위 내에 속했다.

생체 내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표면에서 형성시킨 치면세균막의 비교 (Comparison of biofilm on titanium and zirconia surfaces: in vivo study)

  • 임규택;이지현;임일구;박소현;임현필;김옥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4호
    • /
    • pp.245-251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생체 내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표면에 치면세균막의 형성 정도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티타늄과 지르코니아의 구강 내 치면세균막의 형성을 위해 구강 내 장치를 아크릴릭 레진과 교정용 와이어를 이용하여 9명의 실험대상자에 맞추어 제작한 후 티타늄과 지르코니아 봉을 일정 크기의 시편 ($6mm{\times}6mm{\times}2mm$)으로 만들어 장치에 고정하여 실험 대상자 구강 내에 24시간, 72시간 유지시켰다. 2쌍으로 만들어 장치한 시편을 실험 대상자는 치약 등의 구강세정제를 사용하지 않고 잇솔질만으로 구강위생을 유지하였다. 24시간, 72시간 경과 후 시편을 제거하여 SEM (주사전자 현미경)으로 치면세균막을 관찰하였다. 결과: 주사전자현미경의 결과 치면세균막의 형성 정도는 개인의 특성에 따라 큰 편차를 보였고, 24시간 후 치면세균막의 비교했을 때 지르코니아 표면에서 치면세균막의 형성 정도가 티타늄의 표면에 비해 적었다. 72시간 후 치면세균막의 형성 정도는 티타늄 표면보다 지르코니아 표면에서 적은 경향을 보였다. 결론: 구강 내에서 치면세균막의 초기 형성은 지대주 소재의 차이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