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능형 컴퓨터이용교육

Search Result 34,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Qualitative Evaluation by using Intelligent Fuzzy Logical Inference for the Public Education (지능형 퍼지 추론 기법을 적용한 공교육의 정성 평가방법)

  • Kim, Youngtaek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7 no.1
    • /
    • pp.97-105
    • /
    • 2014
  • To enhance the practical usage of solely quantitative evaluation method for each students on the current public education fields which might cause some social problems, an intelligent and adaptive fuzzy logical inference methodology for the additional qualitative evaluation technique is proposed to utilize each students personal characteristic properties to be evaluated. Proposed method uses some verbal descriptions for the linguistic qualifier in addition to the grade points. An imaginary virtual experimentation only has been implemented due to some difficulties with the critical national educational policy problems in the case of some possibly real and practical experimental environments to be utilized for the simulation.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Systems using Bookmark (즐겨찾기를 이용한 교육용 정보공유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Han, Sun-Gwan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7 no.6
    • /
    • pp.77-84
    • /
    • 2004
  • This study proposed the agent system for educational information sharing using bookmark. In order to search and share the educational information effectively, we designed DAML+OIL-typed bookmark information. Proposed system in this study had the P2P type based on Client-Server type. We implemented the bookmark agent that has the intelligent characteristics, that is, automatic categorization of peers and documents, autonomous communication between agents using DAML, and delicate information searching using the ontology dictionary in Semantic Web environment. Hereafter,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activate sharing and searching educational information as well as proposed system will offer the important technologies for SCORM-based e-learning environment.

  • PDF

AiMind: SW·AI Convergence Education Platform for Fostering Digital Talent (AiMind: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SW·AI 융합 교육 플랫폼)

  • Se-Hoon Lee;Ki-Tea Kim;Jay Yun;Do-Hyung Kang;Young-Ho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07a
    • /
    • pp.387-38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AI) 체험부터 초중등, 대학 및 평생교육에서 필요한 광범위한 응용과 활용을 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디지털북 형태로 지원하며, 블록과 텍스트 코딩의 장점을 취합해 입문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SW·AI 융합 교육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현하였다. 플랫폼은 웹어셈블리 기반의 파이오다이드를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파이썬 코딩을 가능하게 하고 복잡한 설치과정 없이 쉽게 이용이 가능하다. 다양한 LMS와 연동이 가능하도록 API를 제공하며, Drag & Fill 블록으로 입문자가 코딩에 겪는 어려움 중 하나인 많은 양의 함수와 파라미터 사용법의 어려움을 해소하였다. 플랫폼은 블록으로 코딩하여 문법의 어려움, 오탈자, 오류 등을 줄이는 동시에 블록에서 생성되는 파이썬 텍스트 코드로 입문자가 텍스트 코드에 익숙해질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Mobile English Learning (모바일 영어 학습을 위한 지능형 교육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Lee, Young-Seok;Cho, Jung-Won;Choi, Byung-Uk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0A no.5
    • /
    • pp.539-550
    • /
    • 2003
  • As the service of mobile internet has been expended, student users are increase. The computers have been widely used in a education field as the teaching tool by improvement of the multimedia contents processing and user interface. The English learning using the computers in the restricted education environment provides motivations and effective learning to learners, but still have some problem such as teaching and evaluating without consideration for differences of individual level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take the advantages, we propose the intelligent tutoring system for english learning with mobile technology. Overcoming limitations of the mobile environment and using proper treacher's roles,. We have applied the conventional estimation method of the intellectual learner level for students. Also, we have proposed the diagnostic function in order to determine the method of teaching-learing and item disposition that each leaner prefers. Then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the expert module, providing the feedback for teaching, of the intelligent turoring system for mobile english learning. This system will be able to support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replace some roles of teacher in the mobile english learning.

Ubiquitous intelligent lesson management system (유비쿼터스 지능형 교육관리 시스템)

  • Hong, Sung-Moon;Oh, Suk-Kyung;Lim, Hyung-Min;Cho, Jae-Min;Kim, Dong-Suk;Park, Sang-Gu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1.05a
    • /
    • pp.739-742
    • /
    • 2011
  • This paper describes system design and realization to the ubiquitous intelligent lesson management. This system includes students management by utilizing RFID and web-cam, personal security certification by fingerprint recognition, keyboard locking of PC by hooking technology, personal data management by cloud system, internet block access by a packet monitoring. We have design and realize this system, In the future, we will applicate our system to the classes using computer.

  • PDF

Design of Intelligent Multimedia Tutoring System Using Agents (에이전트를 이용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교습 시스템 설계)

  • 범수균;유영호;윤위영;김경석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438-443
    • /
    • 1998
  • 최근 멀티미디어 응용 기술을 기반한 컴퓨터 교육 매체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 수준별 개별 학습으로 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지능형 멀티미디어 교습 시스템(IMTS)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활발한 상호작용으로 학습자의 상태를 진단하고, 개별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동적인 학습 과정을 능동적으로 수립하면서 교습 활동을 전개해 나간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다양한 학습자 수준과 상태에 따른 적응적 교습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자 모델을 유지 관리한다. 그리고 다수의 학습자를 위한 원격 교습 과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학습자 모델을 유지 관리한다. 그리고 다수의 학습자를 위한 원격 교습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교습 과정에 필요한 모든 모듈을 에이전트로 대체하여 클라이언트/서버 환경에서 교습 활동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설계하였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an Courseware Authoring Tool Using a Concept based Courseware Representation Method (개념 기반의 코스웨어 표현 방법과 이를 이용한 인터넷 기반의 코스웨어 저작 도구의 구현)

  • Kim, Man-Seok;Kim, Chang-Hwa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5 no.2
    • /
    • pp.39-48
    • /
    • 2002
  • It is general that the ICAI(Intelligent Computer Assisted Instruction) consists of 4 modules. Export module, Teacher module, Student module and Interface module. In each module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some rules to control strategies efficiently and systematically that are related to the texts and assessment instruments, assessment results and evaluation, feedback, etc. It is necessary to use a method to classify the curriculum into sections with units and to represent the identified relationships between them. These relationships are available to all the process of learning, assessment, evaluation and feedback.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o represent these units and relationships as a graph. In addition, we implement an internet-based courseware authoring tool to support the environment in which several expert can construct concurrently the courseware with cooperation between them.

  • PDF

Research on a AI character Avatar for teenager’s right language using (올바른 언어사용을 위한 인공지능형 캐릭터 아바타에 관한 연구)

  • Park, Jung-Eun;Lee, Dong-Yeon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b
    • /
    • pp.396-402
    • /
    • 2006
  • 최근 청소년층의 인터넷 이용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초등학생 중 90% 이상이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연령대도 낮아져 저학년 어린이의 이용률이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또한 청소년의 30%가 인터넷 중독 또는 중독 직전에 있는 것이 실태이기도 하다. 10대가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정보매체인 컴퓨터는, 그것을 사용함에 있어 교육적으로 도움이 되는 면도 있지만 반면에 무분별한 인터넷 용어나 비속어의 사용, 무절제한 지속적인 이용, 유해사이트에의 노출 등 많은 문제가 산재해 있다. 기존의 유해사이트 차단과 컴퓨터 사용시간 제한 등의 사용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들이 많이 선보여진 상태이지만 그 활용 면에서 보면, 좀 더 사용자의 특성을 이해하여 어른들보다 절제가 어려운 어린이 사용자를 위해 부모 혹은 선생님과 같은 관리자와 가르침의 역할을 해줄 수 있는 부분이 더욱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무형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사용자에게 명령을 내리고 그것을 수행하게 하는 것 보다, 사용자가 친숙하게 받아들이고 정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사용자와 인터렉션이 가능한 캐릭터 형태의 물리적 아바타를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비속어나 그와 비슷한 단어들을 사용할 시 의미적으로 비속어인지 아닌지 아바타가 추론할 수 있는 기능으로, 인공지능을 부여하여 사용자가 인터넷 채팅이나 게임을 할때 아바타로 하여금 사용자와의 인터렉션을 통해서 올바르지 않은 언어사용에 대한 인지를 쉽게 하고 개선의 효과를 높이며 지속적인 관심을 이끌 수 있는 인공지능을 가진 캐릭터 아바타를 제안하고자 한다.

  • PDF

Two Dimensional Visualization Simulation of Physical Law using Virtual Anomaly (가상 이상 개념을 이용한 물리법칙의 2D 시각화 시뮬레이션)

  • Park, Jung-Y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0 no.11
    • /
    • pp.1-9
    • /
    • 2010
  • In comparison with the acquirement of knowledge by expression of symbol or numerical formula, the experience based knowledge acquirement give stable and clear understanding of information to a learner. Various educational systems based on computer such as virtual reality, intelligent learning system, visualization of concept, simulation-based system, and microworld have so far been developed. In this paper, a method of two dimensional visualization of a physical law by simulation has been suggested to educate a learner. Especially, learning the law of gravity by simulation based educational method gives a learner indirect experience that enhance the efficiency of knowledge acquirement clearly. The visualization methods of a real-time physical law and a virtual anomalies' physical law by simulation are proposed in this paper to deliver information or knowledge clearly. Then we show that a learner can acquire some knowledge effectively by the proposed method.

Analysis of Edu-Tech Trends Using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가상·증강현실을 활용한 에듀테크 동향 분석)

  • Hwang, Eui-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1a
    • /
    • pp.115-116
    • /
    • 2021
  • 5세대(5G) 이동통신망의 보급과 코로나19 여파로 비대면 시대가 열리면서 가상 증강현실(VR·AR)을 기반으로 한 '실감(XR·Extended Reality)경제가 본격화 되었다. 가상증강현실의 적용분야로는 게임·영화 등 엔터테인먼트, 제조업, 쇼핑 및 전자상거래, 병원·의료기기, 고객서비스, 지식서비스교육 분야 등이 있다. 본 논문은 VR·AR&교육콘텐츠를 키워드로 최근 3년(2018.1.1.~2020.12.31.)간 중앙지, 경제지 등 54개 언론사 기사를 빅카인즈와 데이터랩을 이용하여 관계도 분석, 월간 키워드 트렌드, 연관어 분석을 하였다. 'VR, AR, 에듀테크'를 키워드로 뉴스 검색결과 63,959건 중 '에듀테크' 검색결과 2018년 632건, 2019년 1043건, 2020년 2389건으로 해마다 급 상승하였다. '(AR+VR)AND 교육콘텐츠'에 대한 검색 결과 연관성(키워드 빈도수)이 높은 키워드로는 증강현실(120), 가상현실(116), 인공지능(114), 에듀테크(100), 코로나19(66), 실감형(65), 아이들(61), VR·AR(56), ICT(35), 빅데이터(25) 순으로 가상·증강현실 기술 발전, 코로나19의 장기화, 교육의 효율성으로 에듀테크 분야의 활용도가 급격히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