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능형 센서 플랫폼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28초

에너지 IoT 플랫폼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ergy IoT Platform)

  • 박명혜;김영현;이승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5권10호
    • /
    • pp.311-318
    • /
    • 2016
  •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분야는 풍부한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쉽게 접근해서 서비스를 창출해야 하나, 전력시스템의 특수성으로 인해 다음의 사항이 IoT 확산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으며 '지능형 전력망 정보의 보호 조치에 관한 지침'에 의거, 전력설비 접근이 용이하지 않고, 특히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분야에 IoT 기술적용시 엄격한 보안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이로 인해 IoT 기술의 전력시스템에 적용 및 활용에 제약이 발생되는 실정이다. 전력정보통신망은 그간 폐쇄망으로 운영되어 왔으며, 스마트그리드(Smart Grid) 인프라인 지능형 전력망에서도 개방형 양방향 통신을 검토하고 있으나 정보보안 취약성이 높아지고 사고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종합적인 보안정책 및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은 IoT 기반 에너지 플랫폼 개발 연구내용의 일부로 전력정보시스템의 IoT 플랫폼 아키텍쳐 설계를 목표로 한다. IoT를 기반으로 전력서비스 및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센서-게이트웨이-네트워크-플랫폼-서비스'를 하나로 연결하는 표준 프레임워크를 제정하고자 한다. 프레임워크는 크게 '센서-게이트웨이-플랫폼'을 연계하는 정보모델링 및 연동규약을 다루는 표준과 이를 토대로 다양한 센서를 수용할 수 있는 게이트웨이, 실시간 데이터 수집 분석 제공 역할을 수행하는 플랫폼으로 구분하고 관련 기술을 확보하고자 한다.

도시시설물 관리 지능화를 위한 도시공간정보플랫폼 구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patial Information Platform for Intelligent Urban Facilities)

  • 나준엽;김태훈
    • 한국GIS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GIS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297-298
    • /
    • 2009
  • 지능화된 도시시설물 관리를 위해서는 상하수도, 가스, 난방 등 지하시설물 및 교량, 도로 등 지상시설물에 대한 관리시스템을 유기적으로 연계하고 상호운영성의 기반위에서 통합 운영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이 필요하다.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은 도시내 다양한 센서 단말 등으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여 도시관리 및 정보제공 서비스를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간정보 플랫폼에 대한 사용자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플랫폼을 구성하는 세부기능을 정의하였으며, 이를 종합하여 도시공간정보 플랫폼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대기질 센서를 이용한 환경 측정 및 무선 네트워킹 설계

  • 이석환
    • 전자공학회지
    • /
    • 제36권12호
    • /
    • pp.24-30
    • /
    • 2009
  • 본 논문은 2.4GHz기반의 RF트랜시버를 이용하여, 대기질 센서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펌웨어의 설계에 대해 제안한다. 하드웨어를 구성하는 대기질 센서는 CO2, Dust, CO, NO2, VCO등의 환경 센서와 온/습도를 센싱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이 된다. 각각의 센서는 하나의 보드에 탑재되며, 무선 플랫폼과 어댑터로부터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펌웨어는 응용 및 확장이 용이한 TinyOS를 사용한다. 펌웨어의 기능은 타이머, 센싱, RF전송 등이며, 타이머 분할 및 완료 함수 등을 이용한 각각의 센서 데이터 수집이 가능하도록 설계해야한다. 또한 RF 전송은 멀티 홉(Multi-Hop)이 지원되도록 설계하여, 수신부까지의 거리가 미치지 못하는 노드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지능형 네트워크의 개념을 부가한다.

  • PDF

유무선 네트워크 기반 지능형 홈웨어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Homeware based on Wire and Wireless Network)

  • 정준영;이병윤;김광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658-1659
    • /
    • 2007
  • 가정내 가전기기들은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디저털 가전기기들간의 네트워크 환경 구축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굳혀지고 있다. 하지만 가정내 네트워크 관련기술은 유 무선과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발전되고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상호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관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 무선 환경을 고려한 디지털 가전기기나 정보가전기 기들간의 상호 인터페이스와 실행환경을 구성하기 위해 지능형 홈웨어를 구현하였다. 지능형 홈웨어는 다양한 플랫폼을 가진 디지털 가전기기나 정보가전기기에 탑재되어지며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과 전력선 통신을 사용하여 글로벌 네트워크 환경으로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유선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 유선과 무선 환경의 상호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가정내 생활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홈 오토메이션 기능을 위한 실행환경을 제공한다.

  • PDF

서비스 로봇을 위한 CAN 기반의 지능형 부품 통합 로봇 플랫폼 모델 (Development of CAN(Controller Area Network) based Platform Model for Service Robots)

  • 곽상필;최병재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98-303
    • /
    • 2013
  • 로봇의 응용분야는 산업화의 주요 적용 분야였던 자동화 영역을 넘어서 가정, 의료 등 일반 서비스 분야로 그 영역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로봇 플랫폼의 소프트웨어 표준화를 위한 여러 연구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기존 자동차 산업과 자동차 부품 산업의 형태와 동일하게 앞으로의 로봇 산업 역시, 로봇 부품산업이 큰 부분으로 자리 매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부품에는 로봇의 외형을 이루는 기구적 부분과 로봇의 기능을 지능적으로 수행할 각종 센서와 엑추에이터로 구성되는 전자적인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전자적 부품들은 중앙처리부와 유기적으로 연결되고, 중앙처리부는 로봇에 장착된 전자적 자원들을 파악하여 제어 방식을 구성하고 효율적으로 동작하도록 제어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로봇의 각 구성 부품간의 통신을 CAN(Controller Area Network)을 통해 일원화하여 결선구조를 단순화하고, 중앙처리부의 인터페이스를 개방하는 방법을 적용한 새로운 플랫폼 모델 개발을 제시한다.

Smart Power Grid 실증시스템 구축 현황 및 2단계 확대 계획 (Smart Power Grid demonstration state and plan of second stage)

  • 남궁원;이성우;장문종;하복남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11년도 제42회 하계학술대회
    • /
    • pp.728-729
    • /
    • 2011
  • Smart Power Grid (SPG) 분야 실증 플랜드 구축과제는 스마트그리드 플랫폼 기반에서 송전, 변전, 배전 분야의 전력기기와 운영 시스템을 통합해 전력망을 효율적, 지능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지를 실증하는 프로젝트이다. 현재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는 송전계통의 무효전력관리시스템, 위성망을 이용한 전압위상관리시스템, 송전선로용 볼센서 등을 다루는 지능형 송전, IEC 61850 기반의 IED를 채용한 변전소 자동화, 전기품질 온라인 감시기능을 갖는 지능형 단말장치를 적용 및 변전소 SCADA 기능을 통합 구현하는 배전지능화가 설치되어 있다.

  • PDF

M2M/IoT 기반의 사무실 관리 서비스 플랫폼 연구 (A Study on the Office Management Service Platform based on M2M/IoT)

  • 남강현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405-1414
    • /
    • 2014
  • 사무실 관리 서비스 플랫폼은 사무실 센서 장치, G/DSCL(Gateway/Device Service Capability Layer), NSCL(Network Service Capability Layer), NA(Network Application)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사무실 관리 서비스에 적합한 게이트웨이 리소스트리와 서비스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지능형 기능 모델링을 통해서 사무실 관리 서비스가 운영 될 수 있음을 보인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을 활용한 지능형 서비스 로봇 개발 (Development of Intelligent Service Robot using Smart Phone based on Android OS)

  • 문채영;류광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4193-419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을 장착하여 지능형 로봇의 성능 구현이 가능하도록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과 로봇 플랫폼을 설계 및 구현하였다. 터치스크린, 사운드 입출력, 네트워크 그리고 각종 센서 기능을 갖고 있는 스마트폰을 전원부와 모터 등의 단순 기능을 갖는 로봇플랫폼에 접목시켜 원격제어, 홈오토메이션, 게임기, R-러닝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스마트폰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로봇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며 원격지의 컴퓨터와는 WI-FI를 통해 인터넷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설계 하였다.

스마트 축산용 블랙박스 시스템 & 지능형 시스템 관리 플랫폼 개발 (Development of Black-box System for Smart Livestock and its Intelligent System Management Platform and Methods)

  • 신해선;박성순;김경훈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8-29
    • /
    • 2020
  • 최근 들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책에 힘입어 전통적인 축산농장의 환경을 스마트 축사로 개선하는 사업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에 축산농장의 스마트화를 위해 다양한 축산용 ICT 기기들이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고, 클라우드기반의 인터넷환경까지 연결되고 있으나, 이러한 ICT 기기들을 사용하여 스마트 축사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편의성 측면에서나 효율성 측면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축산 현장에서 사용자의 편의성 측면을 고려하여 축산현장 정보를 기록하는 스마트 블랙박스 시스템을 개발하고, 효율성을 고려하여 이 시스템을 위한 지능형 시스템 관제 플랫폼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현장상황에서 실증평가를 통해 축산 인들이 현장에서 축산 ICT 기기를 쉽고, 안전하게 운영하도록 하도록 사용자 환경을 구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개발된 스마트 축산 ICT 블랙박스 시스템(Smart.Dx)과 IoT센서 수집용 게이트웨이(Smart.Dn), 그리고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솔루션(Smart.Center)을 기술한다. 이 연구내용은 또한 축산업에 종사하는 고령자나 스마트폰 환경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 환경 특성을 고려하여, 유니버셜 디자인의 7대 원칙을 지원하고 있다.

  • PDF

지역의 버스정보 제공을 위한 Open BIS 플랫폼 및 비즈니스 모델 개발 (Open BIS Platform and Business Model Development for Providing Bus Information in the Area)

  • 강원평;조용성;손승녀;어효경;김경석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97-111
    • /
    • 2024
  • 개발도상국 및 소규모 지자체는 재정적인 여건이 불리하여 자체 버스정보시스템 도입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개발도상국은 열악한 사회 인프라 및 낮은 소득 수준에도 불구하고, 스마트폰의 보급률이 높으며, 온라인 콘텐츠, 소셜 미디어 보급 및 사용률이 매우 높은 실정이다. 스마트폰은 GPS 센서, 카메라 등 위치기반의 정보 수집 및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가의 현장 단말기를 대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가의 현장단말기를 스마트폰으로 대체하고, 센터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 기반으로 개발함으로써, 어디에나 적용 가능한 확장형 Open BIS 서비스 제시 및 플랫폼을 개발하고, 비즈니스 모델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