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구 환경

Search Result 4,600,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Earth Science in the Perspectives of Environmental Education (지구과학과 환경 교육)

  • Shin, Dong-Hee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 /
    • v.22 no.2
    • /
    • pp.147-158
    • /
    • 2001
  •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education has also been emphasized. Science is a subject that enormously contributes to education about the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environment, and education for the environment. Among various fields of science, earth science has a large amount of contents relat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s that the subjects of earth science are natural and artificial changes in the earth surface. Accordingly, it is clear that earth science education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is is proved in the fact that the goal and specifics of earth systems education coincidence with tho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Earth science curriculum in Korea, however, contains few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al education. Earth science education that concerns our environment as a whole will help not only catch a new interest on the field of earth science but actively participate in solving our environmental problems.

  • PDF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Perceptions about Global Environment (초등학생들의 지구환경 인식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 Lee, Sanggyun;kim, Soonsh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 /
    • v.11 no.3
    • /
    • pp.212-223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tudents' 'global environment'. The research method used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method of the global environment elements which appeared in the students' explanation about the picture and the picture that emerged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udents' explanation of the pictures along with the pictures of the students, the elementary students were perceived negatively about the global environment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global warming' and 'trash proble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mage of the global environment expressed in the picture, there were many images expressed from a everyday viewpoint rather than a macroscopic viewpoint, and there was a tendency to express the earth personified. In addition, the picture expressing the clean earth environment expressed the most trees with natural environment elements and expressed the healthy earth with various natural elements such as sea, mountain, and land.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global environment by grade, it was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of global environment by grade was not much different.

주거환경개선지구 11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2 s.19
    • /
    • pp.66-71
    • /
    • 1991
  • [ $\circ$ ] 건설부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서울특별시 승인지구 등 11개 지구를 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2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고 있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1.11.8 현재 170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60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Design of GeoGrid System for the Data Analysis of Global Environment (지구 환경 자료 분석을 위한 GeoGrid시스템 설계)

  • Kim, Tae-Min;Lee, Myung-Kyu;Choi, Jae-Young;Yang, Young-Kyu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06a
    • /
    • pp.143-149
    • /
    • 2008
  • 전 지구적 기온상승으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 및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있다. 이에 Geo 관련 연구자들은 지구 온난화, 이산화탄소 배출량, 미세먼지 확산 등의 방대한 지구환경정보를 공유 및 교환하고 활발한 지식 교류를 하기 위한 포털 환경이 요구되고 있다. 국외 여러 환경단체들은 이러한 포털 환경구축을 통해 지구 환경정보를 연구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지구온난화 영향분석, 미세먼지 확산분석, 이산화탄소 배출량 분석 지상 식생변화 모니터링 등의 분야에서 위성 관측 영상 및 지구환경자료를 이용한 서비스가 더욱 절실하다. e-Science 환경 구축의 대표 응용 분야 중의 하나로 발전, 확산시킬 필요성 때문에 정확하고 방대한 지식정보의 신속한 처리 및 서비스를 할 수 있는 GeoGrid 기반 기술 개발 방법과 환경 구축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 PDF

주택환경개선지구 10곳 새로 지정

  • 한국주택협회
    • 주택과사람들
    • /
    • no.7 s.24
    • /
    • pp.24-29
    • /
    • 1992
  • [ $\circ$ ] 한국주택협회는 주거환경이 열악한 광명시 철산지구 등 10개지구를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새로이 추가하여 지정하였다. 주거환경개선지구로 지정된 이들 지구는 시장 등이 수립하는 개선계획에 따라 소방도로 등 기반시설의 정비와 아울러 기존의 주택을 개량하거나 새로이 공동주택을 건설하게 되며 이때, 정부에서는 한국주택은행을 통하여 호당 1,400만원까지 장기저리의 자금을 융자지원하게 된다. $\circ$ 도시영세민이 거주하는 불량주택밀집지역에 대하여 시행하는 이 사업은 ''92. 4. 14 현재 199개 지구가 사업지구(주거환경 개선지구)로 지정되었고 개선계획이 확정된 73개 지구에서는 이미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는 등 호조를 보이고 있다. $\circ$ 정부는 ''99년까지 전국 502개 지구에 대한 주거환경개선사업을 완료하여 ''달동네''를 살기 좋은 주거단지로 조성할 계획이다.

  • PDF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and Farmer(s Attitudes in England (영국의 환경농업장려지구(ESAs) 사업과 농민의 태도 연구)

  • 김기혁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34 no.2
    • /
    • pp.177-191
    • /
    • 1999
  • 본 연구는 영국의 환경농업장려지구(ESAs) 사업의 내용과 이에 대한 농민의 태도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친환경농업정책의 내용과 한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영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환경농업정책은 농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원칙으로 하고 있으며, 농민은 정해진 계약에 따라 영농을 하게 되면 일정한 보상금을 받는다. 특정지구에서만 실시하는 사업과 전지역에서 시행되는 사업이 있으며 동일사업에 대한 적용 기준과 보상금 등은 지역마다 상이히다. 이중 가장 대표적인 환경농업정책은 ESAs 사업이다. 이는 농업으로 인해 환경이 민감하게 훼손될 수 있는 지구를 설정하여, 환경 농업을 장려하는 사업이다. 이에 참여함으로써 농민이 받는 장려금은 환경 친화적인 영농을 함으로서 예상되는 농민의 손실분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이와 같은 환경농업정책에 대하여 영국의 농민들의 태도는 적극적이는 못하다. 경영규모가 적은 농민과 지정지구내에서 영농하는 농민들은 비교적 친환경 농업에 적극적이다. 대규모 농장의 경우 경제적 수익 향상을 농업의 주목적으로 생각하고 있어 환경농업정책의 참여에 소극적이다. 따라서 환경농업은 소규모 농장을 중심으로 국지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자발적인 참여를 전제로 하는 환경농업 정책의 한계로 지적되고 있다.

  • PDF

환경보존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26 no.5 s.288
    • /
    • pp.43-71
    • /
    • 1993
  • 50억 인류의 보금자리 지구호에 비상이 걸렸다. 광활한 우주속에 단 하나뿐인 생명선 지구호가 몹쓸 「환경병」에 걸려 시름시름 기력을 잃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머지않아 마실 물과 숨쉴 공기마저 걱정해야 할 시대가 올지 모른다. 일부 환경학자는 지구호는 결국 환경때문에 종말을 맞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가 지구호를 살리기 위해 갖은 노력을 하고 있는 것은 여기에 있다. 지난해 6월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로에서 열린 「환경과개발회의(UNCED)」도 이같은 노력의 일환이었다. 우리의 삶의 터전 지구는 과연 어느 정도로 환경이 악화돼 있는 것일까.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해야 하는 것일까. 관련학자들의 진단과 처방을 소개한다.

  • PDF

인공위성 원격탐사에 의한 지구 수계환경 감시

  • 박경윤
    • Water for future
    • /
    • v.24 no.3
    • /
    • pp.36-41
    • /
    • 1991
  • 1960년대 초부터 미 국립항공우주국(NASA)에서 기상위성을 지구궤도에 올리면서 시작되고 우주개발 선도국들에 의해 수 없이 발사되어 지구상공을 선회하고 있는 각종 실험위성, 자원탐사위성들로부터 이전까지만해도 지엽적이고 단편적인으로 알려지던 지구환경현황들이 이제는 지구전체에 대한 시시각각의 정보로 확대되고 있다. 기상위성들에 장착된 Sensor들로는 구름과 기상현상의 분포는 물론이고 각 대양의 해수면 온도 분포들이 파악되고 있으며 식물지수에 의한 지상의 식물분포의 계절적 변화양상에서 열대림의 사막화 추세들까지도 분석된다. 특히 위성탐사에 의한 남극 오존홀 (Ozone Hole)의 확인은 최근악화 되고 있느 swlrnchs 환경문제에 대한 커다란 주의를 환기시켜 주었다. 대양의 Phytoplankton 분포가 계절에 따라 위성자료에 의해 분석되므로서 해양의 생산능력(Productivity)의 변화도 알게되고 있다. 해양수면의 높이를 측정했던 초단파(microwave)영역의 SAR 자료는 구름을 투과하여 지구표면을 전천후 Monitoring할 수 있는 다음 세대의 Sensor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 유럽과 일본, 카나다, 소련 등에서 이들 새로운 Sensor들이 탑재 될 자원탐사 위성(ERS)과 RADASAT 등의 위성이 계속해서 개발되고 있어 이들에 의한 지구환경상태 진단은 크게 각광받게 될 것이다. 그외에도 해면풍 운량, 총강우량 분포, 대기 투명도, 대기의 열수지등의 계절적 변화에 대한 인공위성자료 해석을 통하여 지구의 온난화nas제가 본격적으로 ud가되고 있다. 또한 자원탐사위성인 Landsat 과 SPOT 등의 위성에 의해서는 각대륙의 토지 이용도 변화, 토사의 이도, 지질도 작성, 입체도 제착등과 농산물수확량의 예측있어서 괄목할 만한 발전이 계속되고 있다. 더욱이 NASA와 일본, 유럽등에서 지구관측을 위해서 준비하고 있는 각종 지구관측위성(EOS)들이 실용화 될 2000년 대에는 일반 지구환경감시는 물론 수계환경 감시 체계구축에 획기적인 진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