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지각실험

Search Result 619,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perceptu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ing of Korean polysemic ending and its boundary tone (동형다의 종결어미의 의미와 경계성조의 상관성에 대한 지각연구)

  • Youngsook Yune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4 no.4
    • /
    • pp.1-10
    • /
    • 2022
  • The Korean polysemic ending '-(eu)lgeol' can has two different meanings, 'guess' and 'regret'. These are expressed by different boundary-tone types: a rising tone for guess, a falling one for regret. Therefore the sentence-final boundary-tone type is the most salient prosodic feature. However, besides tone type, the pitch difference between the final and penultimate syllables of '-(eu)lgeol' can also affect semantic discrimination. To investigate this aspect, we conducted a perception test using two sentences that were morphologically and syntactically identical. These two sentences were spoken using different boundary-tone types by a Korean native speaker. From these two sentences, the experimental stimuli were generated by artificially raising or lowering the pitch of the boundary syllable by 1Qt while fixing the pitch of the penultimate syllable and boundary-tone type. Thirty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ree levels of perceptual test, in which they were asked to mark whether the experimental sentences they listened to were perceived as guess or regret. The results revealed that regardless of boundary-tone types, the larger the pitch difference between the final and penultimate syllable in the positive direction, the more likely it is perceived as guess, and the smaller the pitch difference in the negative direction, the more likely it is perceived as regret.

Simulation of Human Perception of Similarity between Textures Using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사람의 텍스쳐간 유사도 지각의 모의실험)

  • 임도형;정찬섭;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98-204
    • /
    • 1998
  • 텍스쳐는 그 정의화 특징이 명확하지 않은 패턴이며, 무한한 변형에 따른 무한한 수의 텍스쳐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사람의 텍스쳐 지각에 관한 연구에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신경망으로 사람의 텍스쳐 특징 지각과 텍스쳐간의 유사도 지각을 모의실험하였다. 쌍별비교와 비교판단법칙을 사용하여 사람이 지각하는 텍스쳐의 특징값과 텍스쳐간의 유사도 값을 구하였다. 구한 값을 바탕으로 신경망의 일종인 다층퍼셉트론을 사용하여 특징 추출기와 유사도 특정기를 구현하여 모의 실험하였다. 신경망을 사용하여 모의실험한 결과, 사람의 텍스쳐 특징 지각과 텍스쳐간의 유사도 지각과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실험결과는 신경망으로 구현된 시스템이 사람의 감성적인 수치를 구하는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 PDF

Perceptual Ques of Korean Affricate vs. Fricative Distinction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의 지각 단서)

  • 박순복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8.06c
    • /
    • pp.371-374
    • /
    • 1998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을 변별적으로 지각하게 해 주는 결정적 단서를 찾아보려는 것이다. 마찰음의 마찰 소음 구간 길이를 감소시키고, 파찰음의 마찰 소음 구간 길이를 증가시키는 두 가지 실험을 통해 소음 구간의 길이 변화가 지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보았다. 실험 결과, 소음 구간 길이의 변화가 주된 지각적 단서임을 확인하였다.

  • PDF

Differential Priming Effects for Pictures and Words in Data-driven and Conceptually-driven Processes (처리유형에 따른 그림자극과 단어자극의 점화효과 차이)

  • 김성일;이정모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87-92
    • /
    • 2000
  • 이 연구에서는 단어를 지각하게 되면 그 단어에 대한 의미가 자동적으로 활성화되고 그림표상까지도 활성화되지만, 그림을 지각하고 난 후에는 의미표상체계는 활성화되지만 단어의 지각적 표상체계는 활성화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 1과 2에서는 지연시간을 달리하여 그림을 지각적으로 처리를 하게 한 후 단어에 대한 점화효과를 보았으며, 실험 3 에서는 그림을 개념주도적 처리를 하게 한 후 단어에 대한 점화효과 및 암묵적 기억과 재인기억을 비교해 보았다. 실험결과 지각적 판단과제에서는 조건간의 아무런 차이가 없었지만, 의미적 판단과제에서는 동일조건과 그림조건에서의 반응시간이 통제조건을 포함한 기타 조건들에서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미적 표상체계로부터 단어의 지각적 표상체계까지의 상호작용 통로가 존재하지 않으며, 그림자극이 단어자극의 점화효과에 영향을 주는 이유는 동일한 의미적 표상체계의 활성화가 단어자극의 지각적 표상체계까지 확산되기 때문이 아니라, 그림자극에 대한 의미적 표상체계가 활성화되기 때문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 PDF

Speaker age estimation and acoust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pitch and speech rate (화자 연령 지각과 음성적 특성: 음높이와 발화 속도를 중심으로)

  • Seo, YoonJeong;Shin, Jiyoung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11 no.4
    • /
    • pp.9-18
    • /
    • 2019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er's chronological age (CA) and perceived age (PA) and to specify the effect of pitch and speech rate as acoustic cue on judging age, using perceptual testing and acoustic analysis. Three tasks were conducted to identify the degree of listener's accuracy about age estimation. Three perception task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accuracy of 80 Korean listeners when presented with different types of speech. In all the tasks, participants listened to speech samples and gave their estimate of the speaker's age in figures. It was found that Korean listeners are able to gauge the age of a speaker fairly precisely. CA and mean PA were positively correlated in all three tasks. It is clear that the amount and type of information included in the voice samples affected the accuracy of a listener's judgement. Moreover, the result revealed that listeners make use of acoustic information such as pitch and speech rate to estimate speaker's age.

The Influence of perceptual load on target identification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in post-cueing forced choice task (순간 노출되는 표적의 식별과 부적 반복효과에 지각부하가 미치는 영향)

  • Kim, Inik;Park, ChangH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33 no.1
    • /
    • pp.1-22
    • /
    • 2022
  • Lavie's perceptual load theory (Lavie, 1995) proposes that the influence of distractors would be blocked as the load gets higher. Studies of perceptual load have usually adopted the flanker task, developed by Eriksen and Eriksen (1974), which measures reaction time on the target flanked by distractors. In the post-cueing forced task, participants should report the identity of the target cued later, and negative repetition effect (NRE) has often been observed. NRE means the effect that the accuracy of identification is worse when the target is flanked by the same nontargets than when flanked by different nontargets. This study has tried to check whether perceptual load has an effect on identification rate and NRE. Experiment 1 manipulated the similarity between targets and a distractor, and observed a tendency of NRE, but not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Experiment 2 used 4, 2 (in two kinds of diagonal arrangement), or none distractors of the same identity to burden more perceptual load. NRE was significant and perceptual load showed significance but not a linear trend. Experiment 3 checked again whether NRE would be varied according to two levels of perceptual load strengthened by positional variability of load stimuli, but did not find the effect of perceptual load. It is concluded that perceptual load might have a limited effect on the early stage of perceptual processing due to divided attentional processing of the targets briefly expose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The perceptual span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reading (우리글 읽기에서 중학생들의 지각폭 연구)

  • Choi, Soyoung;Koh, Sungryong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5 no.3
    • /
    • pp.189-210
    • /
    • 2014
  •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perceptual span(or the span of effective vision)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during reading Korean, using the material and the moving-window display change technique used in Choi & Koh(2009). The 8 different window sizes were us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3, 5, 7, 9, 11, 13, 15 characters in size and the whole line. Reading rate, number of fixation, saccadic distance, fixation duration were compared between each window-size condition and the whole line condition. Considering the pattern of eye-movement measures above, the size of the perceptual span of junior-high school students in Korean reading may be estimated to be 9 characters, that is 4 characters to the right and 1 characters to the left of the fixation.

한글 인식에선 표의와 표음의 이중성

  • Lee, Yang;Kim, Jeong-O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5.10a
    • /
    • pp.215-227
    • /
    • 1995
  • 본 연구는 한글 어휘의 지각과정을 분석하여 한글이 표의와 표음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문자로 쓰여진 어휘들이 표음심도에 따라서 그 지각과정이 달라진다는 표음심도가설의 한계를 확인하고 다음에 어휘들의 지각과정에 표음심도와 독립적으로 표의강도가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했다. 실험 1은 칠종성어휘와 비칠종성어휘를 대비시킴으로써 표음심도를 조작하였지만 그 어휘들의 지각과정이 달라지지 않았으므로 표음심도가설의 한계가 드러났다. 실험 2는 의성-의태어와 일반어를 대비시킴으로써 표의강도를 조작하여 그 효과를 얻었다. 두 실험을 종합하면 어휘의 지각에 표의성과 표음성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한글의 어휘는 표음적이면서 표의적이라는 것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휘의 지각을 바탕으로 표음이 아니면 표의라는 배타적 분류의 한계를 지적하고 표의와 표음의 이차원적 분류를 제안한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Membership Perspective on Consumer Decision (소비자의 집단구성원에 대한 지각이 소비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김영아
    • Asia Marketing Journal
    • /
    • v.5 no.4
    • /
    • pp.31-47
    • /
    • 2003
  • 소비자의 집단 구성원에 대한 자아지각은 소비자 의사결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 집단소비자 상호간에 영향을 미치는 의사결정 상황이나 소비자 개인적 의사결정상황 등 의사결정 상황에 따라 다르게 영향을 미칠까? 본 연구는 소비자가 집단의식을 인식할 때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 차원에서 행해지는 의사결정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검증하고, 이때, 소비자의 위험회피성향에 따라 소비자 의사결정이 어떻게 조절되는가를 2 가지 실험을 통해 밝히고자 하였다. 미국 오레곤 주립대학교의 아시아계 학생들을 대상으로 2 가지 실험을 실시한 결과, 집단의식을 지각한 소비자는 집단관련 의사결정은 물론 개인관련 의사결정에서도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위험회피성향의 조절효과에 대한 실험결과는 집단의식을 지각한 소비자와 집단의식을 지각하지 않는 개인적 소비자 모두 처벌에 관한 상황에서 형평성 선호와 협상적 대안을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의식지각의 의사결정에 대한 위험회피성향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나타났다.

  • PDF

Stereoscopic 3-D shape constancy (입체시에 근거한 3차원 모양 항상성의 검증)

  • 이형철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0 no.3
    • /
    • pp.17-28
    • /
    • 1999
  • Systematic distortions in perceived 3-D shape were obtained for elliptical and parabolic stereoscopic surfaces viewed at different distances under full and reduced cue conditions. In both conditions of Experiments 1 and 3, elliptical hemi-cylinders a appeared near veridical at the 45 cm viewing distances and flattened up to 74% of veridical at 135 cm. In Experiment 2, under full cue conditions, parabolic hemi-cylinders a appeared stretched to 118% of veridical at 45 cm, near veridical at 90 cm, and flattened to 85% of veridical at 135 cm. Under reduced cue conditions parabolas appeared flatter overall: veridical curvature was obtained at 45 cm viewing distance with flatness increasing to 68% of veridical at 135 cm. Results support a scaling explanation of perceived 3-D shape from disparity and rule out the alternative hypothesis that disparity curvature, an optical invariant, provides information for the direct perception of 3-D s sha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