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지각변동모델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5초

GPS 정밀단독측위 성과의 보정을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 개발 (Development of Reference Epoch Adjustment Model for Correction of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s)

  • 성우진;윤홍식;황진상;조재명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49-258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정적 측지기준계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GPS 정밀단독측위 해석 결과에 정적 측지기준계의 기준시점으로부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한 위치의 변동량을 보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 중 14개소를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년간의 일별 GPS데이터에 대하여 GIPSY-OASIS II를 이용한 정밀단독측위 해석을 실시하고 이로부터 GPS상시관측소의 지각변동량을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SOPAC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각변동모델식의 파라미터를 계산함으로써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하여진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적용한 결과 GPS상시관측소의 위치는 약 12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일반 측량점의 위치는 약 16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 GPS상시관측소의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결정할 경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하여 변동된 측량점의 위치를 실용적인 정확도 범위 내에서 GPS 정밀단독측위에 의하여 정적 측지계 기준의 좌표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후빙기조륙운동 보정을 통한 한반도 주변 해역의 절대해수면 변화 분석 (Analysis of Absolute Sea-level Change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by Correcting for Glacial Isostatic Adjustment)

  • 김경희;박관동;임채호;한동훈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719-731
    • /
    • 2011
  • 국립해양조사원 39개소 조위관측소의 후빙기조륙운동(Glacial Isostatic Adjustment, GIA)에 의한 지각변동 속도를 ICE-3G와 ICE-5G 모델로 예측하였다. 또한 위도 $32^{\circ}-38.5^{\circ}N$, 경도 $124^{\circ}-132^{\circ}E$ 범위의 한반도 지역을 $0.5^{\circ}{\times}0.5^{\circ}$ 격자로 분할하고 각 격자점에서의 GIA 지각변동 속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ICE-3G 모델의 경우 한반도 GIA 수직 지각변동은 평균 0.33 mm/yr이고, ICE-5G 모델의 경우 평균 1.21 mm/yr의 속도로 지각변위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신 Ice model인 ICE-5G 모델을 사용할 경우 한반도에서도 약 1 mm/yr 이상의 비교적 높은 GIA 수직 지각변동이 발생하므로 절대해수면 변동을 산정하기 위해서 GIA에 의한 수직변위를 보정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제공하는 13개 조위관측소의 상대해수면 변동률에서 ICE-5G 모델에 의한 GIA 지각변동 속도를 보정하여 절대해수면 변동률을 결정하였다. 절대해수면 상승속도를 분석한 결과 GIA 지각변동 속도를 보정한 절대해수면 변동률은 한반도 해역에서 평균 5.04 mm/yr의 상승속도를 나타냈으며, 제주 해역은 평균 8.84 mm/yr로 다른 해역보다 높은 이상 상승률을 나타냈다.

정밀절대측위에 의한 지진 전·후 동아시아 지역 지각변동 모니터링 - 도호쿠 대지진을 중심으로 - (Monitoring the Crustal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By Precise Point Positioning - Focused on 2011 Tohoku Earthquake -)

  • 김민규;박준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77-484
    • /
    • 2012
  • 최근 전세계적으로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면서 지각변동과 재해탐지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1년 3월 발생한 도호쿠 지진에 의한 변위 해석과 지진 전 후 일본 지역 및 주변 유라시아, 태평양, 북아메리카 및 필리핀 지각판에 위치한 IGS 상시관측소의 GPS 관측자료를 정밀절대측위로 처리하여 상시관측소의 정밀위치해석을 통해 지진으로 인한 변위 및 지진 전 후 지각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일본 및 아시아 지역의 IGS 상시관측소를 대상으로 지진 발생 전 후의 관측자료를 정밀절대측위로 처리하여 일본 지역의 지진변위를 분석함으로써 진앙지 가장 가까운 MIZU에서 최대의 변위가 발생하였고, 진앙지와의 거리에 반비례하는 지진 영향권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일본지역 주변 4개 지각판에 위치한 IGS 상시관측소의 정밀위치해석을 통해 지진 전 후 지각변동 속도의 변화를 산출하였다. 지각판 거동모델과의 비교를 통해 지진으로 인한 지각변동 변화를 분석하여 일본지역 주변의 지각변동 특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지진예측 및 지각변동 연구를 위해 GPS를 이용한 지속적인 지각변동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GPS를 이용한 지속적인 지각변동 모니터링을 통해 축적된 자료는 지각변동 및 지진예측 등 관련분야 연구와 함께 지진재해관리에 기여할 것이다.

IGS 자료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지각변동 특성 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Crustal Movement around Korean Peninsula By IGS Data)

  • 박준규;강준묵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45-653
    • /
    • 2010
  • 최근 한반도 주변의 지진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최선의 자료에 의한 지각변동 해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상시관측소의 GP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각변동의 절대속도를 정밀하게 산출하였으며, 지각변동 모델과의 비교 및 기간별 지각변동 분석을 통해 지각변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산출된 지각변동속도로부터 유라시아 및 북아메리카 판은 남동쪽 방향, 필리핀 판은 북서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반도를 기준으로 한 상대속도 산출을 통해 북아메리카 판과 필리핀 판이 우리나라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동아시아 지역의 지진 및 지구물리 연구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GPS로 추정한 지각변동 속도 및 판 거동 모델과의 비교 (Crustal Deformation Velocities Estimated from GPS and Comparison of Plate Motion Models)

  • 송동섭;윤홍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5D호
    • /
    • pp.877-884
    • /
    • 2006
  • GPS는 지각판 속도 추정과 같은 높은 정밀도가 요구되는 연구 분야에서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GPS 상시관측소 8개소의 3년간 관측 데이터를 Gipsy-OasisII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한반도의 지각변동량을 계산하였다. 지각변동 속도벡터는 일별 처리 결과의 시계열 분석에 의한 선형 회귀분석으로 추정하였다. 추정된 변동 속도의 표준편차는 0.1mm/yr 이하였으며, 그 크기는 25.1~31.1mm/yr의 범위로 매우 작게 나타났다. SOPAC에서 계산한 IGS의 계산결과와 비교한 결과 보편적으로 지각변동의 크기와 방향이 잘 일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6개의 판 거동 모델의 결과와도 비교를 하였다.

GPS상대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한반도 지각변동모델 개발 (Improvement of GPS Relative Positioning Accuracy by Using Crustal Deformation Model in the Korean Peninsula)

  • 조재명;윤홍식;이미란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37-247
    • /
    • 2011
  • 우리나라의 GPS상시관측소는 1995년 국토지리정보원내에 최초로 설치된 이후, 2011년 현재 72개가 측량과 항법의 기준점으로 설치되어 활용되고 있다. GPS의 기준좌표계는 지심좌표계로써 그 중심은 1년에 약 1mm내외로 극히 작지만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기 때문에 특정 시간에 고정된 좌표계와 GPS데이터로써 그 좌표를 설정하고 있다. 한 국가 내에서 측량과 지도제작 목적으로 사용되는 GPS상시관측소는 상대적인 측량의 기준이기 때문에 국가적인 규약에 따라서 특정 시간대의 좌표계를 설정하여 사용하는 것이 혼란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지심의 변화가 아닌 지각변동에 의한 GPS상시관측소간 기선의 상대적인 변화는 GPS상대측위의 정확도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비교적 안정된 지각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판단되어 왔기 때문에 지각변동에 따른 국가 기준점의 성과 갱신을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 중 40개와 우리나라 주변의 국제 GPS상시관측소 5개를 선정하여 30개월간의 일별 GPS 데이터에 대하여 정밀기선해석을 실시하고, 전세계 130개 IGS GPS상시관측소망과 결합 조정함으로써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의 연간 변동량을 계산하였다. 이로부터 우리나라 지각변동량의 특성을 분석하고 GPS상시관측소 사이의 상대적인 변동량을 계산하여 GPS상대측위의 기준점 역할수행을 위한 GPS상시관측소의 성과갱신 주기를 분석하고 정밀 GPS상대측위를 위한 한반도 지각변동모델은 개발하였다.

한반도 남부 지각평형과 암석권의 유효탄성두께 (On the isostasy and effective elastic thicness of the lithosphere in southern prt of the Korean Peninsula)

  • 최광선;김정희;신영홍
    • 지구물리
    • /
    • 제5권4호
    • /
    • pp.293-303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2002년까지 수집된 우리나라 일원의 각종 중력자료와 지형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남부지역(위도 $36.5^{\circ}N$, 경도 $127.5^{\circ}E$를 중심으로 하는 $332km{\times}332km$의 지역)에서 탄성판모델을 설정했을 때의 지각평형과 암석권의 탄성강도 및 유효탄성두께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연구범위의 설정에 있어 이질적인 판구조환경을 가지고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동해의 영향을 배제하도록 하였다. 연구지역에서 파워스펙트럼분석에 의한 모호면의 평균깊이가 30km로 계산되었다. 지각을 단일층으로 가정하고 탄성판모델을 적용한 결과, 관측 코히어런스에서 짐이 300km이상의 파장을 가지면 거의 평형을 이루고 있고, 80km에서 300km 사이는 부분적으로 암석권의 강도에 의해 보상되고 있으며, 80km 이하의 파장의 경우는 거의 암석권의 강도에 의해 지지되고 있음이 나타난다. 지각모델과 강도를 가정하고 계산한 예측 코히어런스와 비교한 결과, 암석권의 탄성강도(flexural rigidity)는 $3.0{\times}10^{22}Nm$(유효탄성두께는 15km)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의 지각강도가 상당히 약하다는 것을 지시하며, 안정되고 오래된 지역에서 얻어진 결과보다는 해양이나 판의 경계부에서의 결과와 비슷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규모의 지각변동과 그에 수반된 마그마의 관입이나 화산활동, 그리고 습곡과 단층 등의 영향은 암석권의 강도를 작게 만드는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 PDF

측지측량 결과로부터 조사된 과거 80년간 한국에서 지각의 수평변형 (Horizontal Strain of the Crust in Korea for the Past 80 Years from Geodetic Observations)

  • 최재화
    • 한국지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진공학회 1997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Proceedings of EESK Conference-Fall 1997
    • /
    • pp.49-61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구삼각강(1910-1915)과 정밀1차측지망(1975-1994)을 사용하여 지각변동량을 계산하고, 지체구조의 일반적인 변형패턴을 기하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변형량을 계산하기 위하여 2차원의 무한소 변형모델을 설정하였으며, 수평변형량은 구좌표와 정밀1차측지망의 정밀동시강조정을 자유강조정법에 의하여 최초로 실시하여 일괄성있는 신좌표를 사용하여 계산된 측지선의 변화량으로 추정하였다. 변형설계결과로부터 1910년부터 1994년까지 누적된 변형량은 평균(1.07$\pm$0.5)$\times$10-5이고, 이로부터 년변형속도는 (0.13$\pm$0.063)$\mu$/yr 임을 알 수 있었으며, 변형의 경향을 보면 변형량이 10$\mu$ 보다 큰 값이 한반도의 동해안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서부쪽에는 10$\mu$이하의 값이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한반도의 동해안에서 지진의 발생빈도가 높은 것을 고려한다면 본 연구로부터 계산된 결과는 장래의 연구를 위해 중요한 데이터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주변형축의 방향은 전국적으로 $77.6^{\circ}$$\pm$$13.5^{\circ}$방향임을 보여주고 있어 한반도의 지각은 ENE~WSW방향으로 압축상태에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 결과는 지질학자나 지진학자들의 연구로부터 얻은 결과와 P-축의 방향이 일치하고 있고, 최대전단변형 이론과 일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GPS를 이용한 한반도 연안의 해양조석 부하영향의 추정 (Ocean Tide Loading Effect Prediction using GPS in Coastal Area of Korea Peninsula)

  • 윤홍식;이동하;조재명;황학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40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해양조석의 부하효과가 매우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 우리나라의 서해안을 비롯하여 연안에 설치된 GPS 상시관측소(제주도, 호미곶, 주문진, 마라도, 팔미도, 울릉도, 영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관측소의 해양조석의 부하영향으로 인한 지각의 연직변동량을 계산하였다. 총 12개의 해양조석 부하성분의 결과와 실제 해양조석값을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해 실제 해양조석에 대한 한반도 연안의 해양조석 부하영향을 추정하였다. 그 후 이들을 일본과 우리나라 주변에 대하여 지역적으로 개량한 해양조석모델(NAO99jb)로부터 계산된 결과들과 비교ㆍ분석을 실시하여, 지역적인 해양조석 모델의 개발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PDF

협동 학습이 중학교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 지각 변동 단원에 STAD 모델의 적용 -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Middle School Girls' Science Preferences - Applying the STAD Model in the Unit of Crustal Deformation -)

  • 조규성;이광호;양수미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79-288
    • /
    • 2006
  •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 반을 대상으로, 중학교 과학 '지각 변동' 단원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협동 학습이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협동 학습 모둠은 학습 능력이 이질적으로 되도록 4명을 한 모둠으로 구성하여 약 10주간의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전 후 동일한 검사지로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후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 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 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 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 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견으로는 협동 학습이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과 공부에 더 도움이 되고,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며, 학생들에게 협동심을 길러주는 등의 좋은 점이 있으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소란스러움을 유발시키고, 모둠 내 협동하는데 의견 충돌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