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Reference Epoch Adjustment Model for Correction of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s

GPS 정밀단독측위 성과의 보정을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 개발

  • 성우진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윤홍식 (성균관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 황진상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 조재명 (성균관대학교 건설환경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2.02.22
  • Accepted : 2012.06.27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In this study, the epoch adjustment model was developed to correct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 to be suitable for the current geodetic datum of Korea which is tied at past epoch statically. The model is based on the formula describing crustal movements, and the formula is composed of several parameters. To determine the parameters, the data gathered at 14 permanent GPS stations for 10 years, from 2000 to 2011, were processed using GIPSY-OASIS II. It was possible to determine the position of permanent GPS stations with an error range of 16mm and the position of check points with an error range of 12mm by appling the model to GPS precise point positioning result. It is considered that more precise model could be calculated by using GPS data of more permanent GPS stations.

본 연구에서는 정적 측지기준계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GPS 정밀단독측위 해석 결과에 정적 측지기준계의 기준시점으로부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해 발생한 위치의 변동량을 보정함으로써 위치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 GPS상시관측소 중 14개소를 선정하여 2000년부터 2011년까지 약 10년간의 일별 GPS데이터에 대하여 GIPSY-OASIS II를 이용한 정밀단독측위 해석을 실시하고 이로부터 GPS상시관측소의 지각변동량을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SOPAC에서 채택하고 있는 지각변동모델식의 파라미터를 계산함으로써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하여진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적용한 결과 GPS상시관측소의 위치는 약 12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었으며, 일반 측량점의 위치는 약 16mm의 정확도로 결정할 수 있다. 향후 보다 많은 GPS상시관측소의 데이터 처리를 통하여 기준시점 조정모델을 결정할 경우 지진이나 지각변동에 의하여 변동된 측량점의 위치를 실용적인 정확도 범위 내에서 GPS 정밀단독측위에 의하여 정적 측지계 기준의 좌표로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지리정보원 (2010), 국가기준점(위성기준점)의 측량성과, 국토지리정보원 고시 제2010-189호.
  2. 박관동 (2007), 한반도 지각변동 연구, 발간등록번호 1-1500714-000054-01, 국토해양부 국토지리정보원.
  3. 박필호, 최위찬, 안용원, 임형철, 박종욱, 조정호 (2001), 남한지역 GPS 지각속도와 신기지구조의 예비적 해석, 한국지질학회지, 한국지질학회, 제37권, 제3호, pp. 455-464.
  4. 송동섭 (2006), GPS로 추정한 지각변동 속도 및 판 거동 모델과의 비교, 대한토목학회지, 대한토목학회, 제 26권, 제5호, pp. 877-884.
  5. 윤홍식 (2001), GPS 상시관측소의 절대좌표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19권, 제 4호, pp. 415-423.
  6. 윤홍식 (2010), 국가수직기준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발간등록번호 11-1611265-000041-01, 국토지리정보원.
  7. 조재명 (2006), GPS 상시관측소 데이터의 정밀해석 및 한반도 지각변동량 추정, 박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8. 조재명 (2011), GPS상대측위 정확도 향상을 위한 한반도 지각변동모델 개발, 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제 3호, pp. 237-247.
  9. 황진상 (1999), ITRF에 준거한 정밀 GPS 측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10. Blick, Graeme (2007), Imlementing Localised Deformation Models into a semi-dynamic datum,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Geodesy Symosia, Vol. 130, Part V, pp. 631-637. https://doi.org/10.1007/978-3-540-49350-1_91
  11. Herring, T. A. (1999). Geodetic aplications of GPS. Proceeding of IEEE, Vol. 87, Issue 1, pp. 92-110. https://doi.org/10.1109/5.736344
  12. Khan, Shfaqat Abbas (2005), Surface deformations analyzed using GPS time series,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penhagen, Copenhagen.
  13. Nikolaidis, Rosanne (2002), Observation of geodetic and seismic deformation with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California.
  14. Tregoning, P. and Jackson, R. (1999), The need for dynamic datum, Geomatics Research Australasia, No. 71, pp. 87-102.
  15. Wolf, Paul R. and Ghilani, Charles D. (1997), Adjustment computations, 4th ed., John Wiley & Sons Inc., pp. 169-195.

Cited by

  1. Development of Precise Point Positioning Solution for Detection of Earthquake and Crustal Movement vol.14, pp.9,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9.4587
  2. Long-Term GNSS Analysis for Local Geodetic Datum After 2011 Tohoku Earthquake vol.71, pp.01, 2018, https://doi.org/10.1017/S03734633170005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