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on Middle School Girls' Science Preferences - Applying the STAD Model in the Unit of Crustal Deformation -

협동 학습이 중학교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 지각 변동 단원에 STAD 모델의 적용 -

  • Cho, Kyu-Seong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Lee, Gwang-Ho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Yang, Su-Mi (The Institute of Science Education, Division of Science Educ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조규성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과학교육연구소) ;
  • 이광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과학교육연구소) ;
  • 양수미 (전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과학교육연구소)
  • Published : 2006.06.30

Abstract

We incorporated cooperative learning focusing on the 'Crustal Deformation' in five classes of second grade students, at an all-girls' middle school of Gimje city. The groups of cooperative learning were composed of four members of students each, according to the heterogeneous level. We conducted a pretest on the students' preference before incorporating the cooperative learning. After ten weeks of cooperative school work, the students took a post test with the same questions as the pretest. The result of this method greatly impacted the change on the students' scientific preference. It means that the student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ir awareness of and 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es, compared to befo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the differences in their scientific attitude on the recognition about scientists and habits which make them think scientifically. This resulted from the short period of ten weeks which is not sufficient to carry out the study strategy effectively. Surveys of the students on cooperative learning indicates that the middle level students prefer this method unlike the higher or lower level students. we are convinced that they can learn from the students of higher level and are able to help the lower level with the interaction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urvey, the method has some weaknesses; it arouses the high noise levels and consequent disturbance due to verbal interaction and of conflicts due to disagreements when they discuss the process. On the contrary, advantages are developing the students's interest in science class, helping them to learn, creating positive participation in class, and fostering mutual collaboration with other students through cooperative learning.

본 연구는 김제시 1개 중학교 2학년 여학생 5개 반을 대상으로, 중학교 과학 '지각 변동' 단원을 중심으로 협동학습을 실시하여 협동 학습이 여학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효과가 있는지 조사하였다. 협동 학습 모둠은 학습 능력이 이질적으로 되도록 4명을 한 모둠으로 구성하여 약 10주간의 협동 학습을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전 후 동일한 검사지로 과학 선호도에 대한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협동 학습 실시 후 여중생들의 과학 선호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과학 수업에 대한 인식과 과학 수업에 대한 참여도가 협동 학습 전과 달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그러나 과학자들에 대한 인식이나 과학적으로 사고하거나 행동하는 습관을 나타내는 과학적 태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10주 동안의 기간은 협동 학습 전략을 효과적으로 시행하는데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생각된다. 협동학습에 대한 학생들의 의견 조사에서 중위 수준 학생들은 상-하위 수준 학생들과 달리 협동 학습에 대해 강한 긍정을 나타냈다. 협동 학습을 통해 상위 수준 학생들에게 배우고, 하위 수준 학생들에게 나누는 모둠 활동에서 자신감을 얻고 흥미를 느낀 것으로 보인다. 다른 의견으로는 협동 학습이 과학 수업에 대한 흥미 유발과 공부에 더 도움이 되고, 학생의 참여도를 높이며, 학생들에게 협동심을 길러주는 등의 좋은 점이 있으나,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소란스러움을 유발시키고, 모둠 내 협동하는데 의견 충돌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재술, 1992, 과학 개념 학습을 위한 수업 절차와 전략.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2), 19-29
  2. 김주훈, 김영민, 이양락, 노석구, 1992, 교육의 본질 추구를 위한 과학 교육 평가 체제 및 예시 평가 도구 개발. 연구보고 RR 91-10-6, 한국교육개발원, 240 p
  3. 노태희, 여경희, 전경문, 1999, 문제 해결 전략에서 협동 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4), 635-644
  4. 노태희, 임희준, 차정호, 노석구, 권은주, 1997, 협동 학습 전략의 교수 효과: 중학교 물상 수업에 LT모델의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39-148
  5. 문용린, 1998, 학교 학습 이론의 한계와 새로운 동향. 한국 교육, 15(2), 113-129
  6. 박성익, 1985, 협동 학습과 경쟁 학습 전략의 교육 효과 비교. 교육학연구, 23(2), 53-64
  7. 이양락, 1997, 협동 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학습 환경 인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68 p
  8. 이윤미, 유정문, 2003, 중학교 과학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법의 협동 학습에 대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41-149
  9. 이현종, 1982, 중등학교 과학 교육에 대한 고찰-경기도 북부 지역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9 p
  10. 임희준, 박수연, 노태희, 1999, 협동 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367-376
  11. 임희준, 차정호, 노태희, 2001, 협동 학습에서 언어적 행동과 학습 변인들 사이의 관계 및 협동 학습에 대한 중학 생들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487-496
  12. 전경문, 여경희, 노태희, 2000, 협동 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34-243
  13. 황정규, 1998,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서울, 728 p
  14. Guzzetti, B.J. and Williams, W.O., 1996, Gender, text, and discussion: Examining intellectual safety in the science classroo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 (1), 5-20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01)33:1<5::AID-TEA1>3.0.CO;2-Z
  15. Mulryan, C.M., 1994, Perceptions of intermediate student's cooperative small group work in mathematic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87 (5), 280-292 https://doi.org/10.1080/00220671.1994.9941255
  16. Peltz, W.H., 1990, Can Girls + Science - Stereotype = Success?. The Science Teacher, 57 (9), 44-49
  17. Slavin, R.E., 1995, Cooperative learning: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nd ed.). Allyn and Bacon, Boston, 194 p
  18. Webb, N.M., 1982, Peer interacting and learning in cooperative small group.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 (5), 642-655 https://doi.org/10.1037/0022-0663.74.5.642
  19. Yager, R.E., 1991, The Iowa assessment handbook. Science Education Center, The University of Iowa, 185 p